[제어공학] 5. 라플라스 변환의 응용
미분방정식의 라플라스 변환의 해가 \(s\)에 대한 유리함수일 때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G(s)=\frac{Q(s)}{P(s)}$$여기서 \(P(s)\)와 \(Q(s)\)는 \(s\)의 다항식이고, \(P(s)\)의 \(s\)의 차수가 \(Q(s)\)의 차수보다 크다고 가정한다. 다항식 \(P(s)\)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P(s)=s^{n}+a_{n-1}s^{n-1}+\cdots+a_{1}s+a_{0}$$\(a_{0},\,a_{1},\,...,\,a_{n-1}\)은 실수 계수이다.
\(G(s)\)가 단순극, 중복극, 공액복소극인 각 경우에 대해 부분분수로 나타내어 구할 수 있다.
\(G(s)\)가 단순극을 갖는 경우: \(G(s)\)의 모든 극이 단순하고 실수이면, \(G(s)\)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G(s)=\frac{Q(s)}{P(s)}=\frac{Q(s)}{(s+s_{1})(s+s_{2})\cdots(s+s_{n})}$$여기서 \(s_{1}\neq s_{2}\neq\cdots\neq s_{n}\)이다. 부분분수로 전개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G(s)=\frac{K_{s_{1}}}{s+s_{1}}+\frac{K_{s_{2}}}{s+s_{2}}+\cdots+\frac{K_{s_{n}}}{s+s_{n}}$$계수 \(K_{s_{i}}\,(i=1,\,2,\,...,\,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K_{s_{i}}=\left\{(s+s_{i})\frac{Q(s)}{P(s)}\right\}_{s=-s_{i}}=\frac{Q(-s_{i})}{(s_{2}-s_{i})(s_{3}-s_{i})\cdots(s-s_{i-1})(s-s_{i+1})\cdots(s_{n}-s_{i})}$$예를들어 다음의 함수$$G(s)=\frac{5s+3}{(s+1)(s+2)(s+3)}$$를 다음과 같이 부분분수로 나타내자.$$G(s)=\frac{K_{-1}}{s+1}+\frac{K_{-2}}{s+2}+\frac{K_{-3}}{s+3}$$\(K_{-1},\,K_{-2},\,K_{-3}\)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begin{align*}K_{-1}&=\{(s+1)G(s)\}_{s=-1}=\frac{5(-1)+3}{(2-1)(3-1)}=-1\\K_{-2}&=\{(s+2)G(s)\}_{s=-2}=\frac{5(-2)+3}{(1-2)(3-2)}=7\\K_{-3}&=\{(s+3)G(s)\}_{s=-3}=\frac{5(-3)+3}{(1-3)(2-3)}=-6\end{align*}$$따라서 \(G(s)\)를 다음과 같이 부분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G(s)=-\frac{1}{s+1}+\frac{7}{s+2}-\frac{6}{s+3}$$\(G(s)\)가 중복근을 갖는 경우: \(G(s)\)의 \(n\)개의 극 중 \(r\)개가 같다면, 즉 \(s=-s_{i}\)의 극이 \(r\)차의 중근이라면, \(G(s)\)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G(s)=\frac{Q(s)}{P(s)}=\frac{Q(s)}{(s+s_{1})(s+s_{2})\cdots(s+s_{n-r})(s+s_{i})^{r}}$$(\(i\neq1,\,2,\,...,\,n-r\)) \(G(s)\)는 다음과 같이 전개할 수 있다.$$G(s)=\frac{K_{s_{1}}}{s+s_{1}}+\cdots+\frac{K_{s_{(n-r)}}}{s+s_{n-r}}+\frac{A_{1}}{s+s_{i}}+\cdots+\frac{A_{r}}{(s+s_{i})^{r}}$$단순극에 대응되는 \(n-r\)개의 계수 \(K_{s_{1}},\,...,\,K_{s_{n-r}}\)은 앞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구하면 되고, 중복극에 대응되는 계수의 결정은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begin{align*}A_{r}&=\{(s+s_{i})^{r}G(s)\}_{s=-s_{i}}\\A_{r-1}&=\frac{d}{ds}\{(s+s_{i})^{r}G(s)\}_{s=-s_{i}}\\A_{r-2}&=\frac{1}{2!}\frac{d^{2}}{ds^{2}}\{(s+s_{i})^{r}G(s)\}_{s=-s_{i}}\\&\vdots\\A_{1}&=\frac{1}{(r-1)!}\frac{d^{r-1}}{ds^{r-1}}\{(s+s_{i})^{r}G(s)\}_{s=-s_{i}}\end{align*}$$예를들어 다음의 함수$$G(s)=\frac{1}{s(s+1)^{3}(s+2)}$$를 다음과 같이 부분분수로 나타내자.$$G(s)=\frac{K_{0}}{s}+\frac{K_{-2}}{s+2}+\frac{A_{1}}{s+1}+\frac{A_{2}}{(s+1)^{2}}+\frac{A_{3}}{(s+1)^{3}}$$\(K_{0},\,K_{-2},\,A_{1},\,A_{2},\,A_{3}\)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begin{align*}K_{0}&=\{sG(s)\}_{s=0}=\frac{1}{2},\,K_{-2}=\{(s+2)G(s)\}_{s=-2}=\frac{1}{2}\\A_{3}&=\{(s+1)^{3}G(s)\}_{s=-1}=-1\\A_{2}&=\frac{d}{ds}\{(s+1)^{3}G(s)\}_{s=-1}=\frac{d}{ds}\left\{\frac{1}{s(s+2)}\right\}_{s=-1}=0\\A_{1}&=\frac{1}{2!}\frac{d^{2}}{ds^{2}}\{(s+1)^{3}G(s)\}=\frac{1}{2}\frac{d^{2}}{ds^{2}}\left\{\frac{1}{s(s+2)}\right\}=-1\end{align*}$$따라서 \(G(s)\)를 다음과 같이 부분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G(s)=\frac{1}{2s}+\frac{1}{2(s+2)}-\frac{1}{s+1}-\frac{1}{(s+1)^{3}}$$\(G(s)\)가 단순복소극을 갖는 경우: \(G(s)\)가 공액복소극 \(s=-\sigma\pm j\omega\)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이 극에 대응되는 계수들은 앞과 같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begin{align*}K_{-\sigma+j\omega}&=\{(s+\sigma-j\omega)G(s)\}_{s=-\sigma+j\omega}\\K_{-\sigma-j\omega}&=\{(s+\sigma+j\omega)G(s)\}_{s=-\sigma-j\omega}\end{align*}$$예를들어 다음의 함수$$G(s)=\frac{\omega_{n}^{2}}{s^{2}+2\zeta\omega_{n}s+\omega_{n}^{2}}\,(\zeta<1)$$라 하자. 그러면$$G(s)=\frac{K_{-\sigma+j\omega}}{s+\sigma-j\omega}+\frac{K_{-\sigma-j\omega}}{s+\sigma+j\omega}$$이고$$\sigma=\zeta\omega_{n},\,\omega=\omega_{n}\sqrt{1-\zeta^{2}}$$이며$$\begin{align*}K_{-\sigma+j\omega}&=\{(s+\sigma-j\omega)G(s)\}_{s=-\sigma+j\omega}=\frac{\omega_{n}^{2}}{2j\omega}\\K_{-\sigma-j\omega}&=\{(s+\sigma+j\omega)G(s)\}_{s=-\sigma-j\omega}=-\frac{\omega_{n}^{2}}{2j\omega}\end{align*}$$이므로$$G(s)=\frac{\omega_{n}^{2}}{2j\omega}\left\{\frac{1}{s+\sigma-j\omega}-\frac{1}{s+\sigma+j\omega}\right\}$$이다.
다음은 선형 1, 2계 상미분방정식이다.$$\begin{align*}&\frac{dy(t)}{dt}+a_{0}y(t)=f(t)\\&\frac{d^{2}y(t)}{dt^{2}}+a_{1}\frac{dy(t)}{dt}+a_{0}y(t)=f(t)\end{align*}$$다음의 과정을 거쳐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해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
1. 라플라스 변환표를 이용하여 미분방정식을 라플라스 변환에 의해 \(s\)에 대한 함수로 변환한다.
2. 변환된 대수방정식으로부터 출력변수(구하고자 하는 해)를 구한다.
3. 변환된 대수방정식에 대해 부분분수 전개를 한다.
4. 라플라스 변환표로부터 역 라플라스 변환을 구한다.
다음의 1계 미분방정식$$\tau\frac{dy(t)}{dt}+y(t)=u_{s}(t),\,y(0)=0$$에 대해 \(\displaystyle y(0)=0,\,\mathcal{L}(u_{s}(t))=\frac{1}{s}\)이므로 \(\mathcal{L}(y(t))=Y(s)\)라고 하면 위의 미분방정식의 라플라스 변환은$$\tau sY(s)+Y(s)=\frac{1}{s}$$이고,$$Y(s)=\frac{1}{s(\tau s+1)}=\frac{1}{s}-\frac{\tau}{\tau s+1}$$이므로 그 해는 다음과 같고,$$y(t)=1-e^{-\frac{t}{\tau}}$$여기서 \(\tau\)는 \(\displaystyle\lim_{t\,\rightarrow\,\infty}{y(t)}=1\)의 최종값의 63%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다음의 2계 미분방정식$$\frac{d^{2}y(t)}{dt^{2}}+34.5\frac{dy(t)}{dt}+1000y(t)=1000u_{s}(t),\,y(0)=0,\,\frac{dy}{dt}_{t=0}=0$$에서 \(\mathcal{L}(f(t))=Y(s)\)라 하고, 라플라스변환을 해서 \(Y(s)\)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Y(s)=\frac{1000}{s(s^{2}+34.5s+1000)}=\frac{\omega_{n}^{2}}{s(s^{2}+2\zeta\omega_{n}s+\omega_{n}^{2})}=\frac{K_{0}}{s}+\frac{K_{-\sigma+j\omega}}{s+\sigma-j\omega}+\frac{K_{-\sigma-j\omega}}{s+\sigma+j\omega}$$여기서 \(\zeta=0.5455,\,\omega_{n}=\sqrt{1000}=31.62\)이다. \(K_{0},\,K_{-\sigma+j\omega},\,K_{-\sigma-j\omega}\)를 구하면$$\begin{align*}&K_{0}=\{sY(s)\}_{s=0}=1\\&K_{-\sigma+j\omega}=\{(s+\sigma-j\omega)Y(s)\}_{s=-\sigma+j\omega}=\frac{e^{-j\phi}}{2j\sqrt{1-\zeta^{2}}}\\&K_{-\sigma-j\omega}=\{(s+\sigma+j\omega)Y(s)\}_{s=-\sigma-j\omega}=-\frac{e^{-j\omega}}{2j\sqrt{1-\zeta^{2}}}\end{align*}$$이고 여기서 \(\phi=\pi-\cos^{-1}\zeta\)이다. 따라서$$\begin{align*}y(t)&=1+\frac{1}{2j\sqrt{1-\zeta^{2}}}e^{-\zeta\omega_{n}t}\left\{e^{j(\omega t-\phi)}-e^{-j(\omega t-\phi)}\right\}\\&=1+\frac{1}{\sqrt{1-\zeta^{2}}}e^{-\zeta\omega_{n}t}\sin(\omega_{n}\sqrt{1-\zeta^{2}}t-\phi)\\&=1-\frac{1}{\sqrt{1-\zeta^{2}}}e^{-\zeta\omega_{n}t}\sin(\omega_{n}\sqrt{1-\zeta^{2}}+\cos^{-1}\zeta)\,(t\geq0)\end{align*}$$이고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y(t)=1-1.193e^{-17.25t}\sin(26.5t+0.9938)\,(t\geq0)$$
참고자료:
Automatic Control Systems 9th edition, Kuo, Golnaraghi, Wiley
'전자공학 > 제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공학] 7. 블록선도(1) (0) | 2020.07.04 |
---|---|
[제어공학] 6. 선형시스템의 임펄스 응답, 전달함수 (0) | 2020.07.03 |
[제어공학] 4. 미분방정식과 라플라스 변환 (0) | 2020.07.01 |
[제어공학] 3. 주파수영역(2) (0) | 2020.06.30 |
[제어공학] 3. 주파수영역(1)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