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학/제어공학2020. 6. 28. 20:00
반응형

[제어공학] 2. 복소수와 복소함수



복소수를 직각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z=x+jy$$여기서 \(j=\sqrt{-1}\)(허수단위)이고, \((x,\,y)\)는 각각 \(z\)에 대한 실수부와 허수부이다. 다음의 그림에서처럼 직각좌표계에서 \((x,\,y)\)의 한 점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직각좌표계의 한 점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x=R\cos\theta,\,y=R\sin\theta,\,\left(R=\sqrt{x^{2}+y^{2}},\,\theta=\tan^{-1}\frac{y}{x}\right)$$다음의 식은 오일러 공식(Euler formula)이다.$$e^{j\theta}=\cos\theta+j\sin\theta$$이고, 복소수 \(z=x+jy\)를 다음과 같이 극형식(polar form)으로 나타낼 수 있다.$$z=Re^{j\theta}=R\angle\theta$$복소수 \(z=x+jy\)의 공액복소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z^{*}=x-jy(=R\cos\theta-jR\sin\theta=Re^{-j\theta})$$이때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zz^{*}=R^{2}=x^{2}+y^{2}$$다음은 복소수의 기초적인 수학적 특성이다.

예를들어 \(\displaystyle j=\sqrt{-1}=\cos\frac{\pi}{2}+j\sin\frac{\pi}{2}=e^{j\frac{\pi}{2}}\)이므로 다음이 성립하고$$j^{2}=(e^{j\frac{\pi}{2}})^{2}=e^{j\pi}=-1,\,j^{3}=j^{2}j=-e^{j\frac{\pi}{2}}=-i,\,j^{4}=(e^{j\pi})^{2}=(-1)^{2}=1$$또한 다음이 성립한다.$$z^{n}=(Re^{j\theta})^{n}=R^{n}e^{jn\theta}=R^{n}\angle n\theta$$복소변수 \(s\)는 실수 성분 \(\sigma\)와 허수 성분 \(\omega\)를 갖고있다. 즉 \(s=\sigma+j\omega\). 아래의 복소 \(s\)평면에서

\(s\)의 실수 성분들은 수평방향인 \(\sigma\)축으로, 허수성분은 수직방향인 \(j\)축으로 나타낸다. 위의 그림에 있는 임의의 점 \(s_{1}\)은 좌표 \(\sigma=\sigma_{1}\)과 \(\omega=\omega_{1}\) 또는 간단히 \(s_{1}=\sigma_{1}+j\omega_{1}\)로 나타낸다.


모든 \(s\)값에 대해 하나 이상의 대응되는 \(G(s)\)가 존재하면 \(G(s)\)를 복소변수 \(s\)의 함수라고 한다. \(s\)가 실수부와 허수부를 가지므로 \(G(s)\)도 다음과 같이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 나타낼 수 있다.$$G(x)=\text{Re}G(s)+j\text{Im}G(s)$$여기서 \(\text{Re}G(s)\)는 \(G(s)\)의 실수부, \(\text{Im}G(s)\)는 \(G(s)\)의 허수부를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함수 \(G(s)\)는 실수축이 \(\text{Re}G(s)\), 허수축이 \(\text{Im}G(s)\)를 갖는 복소 \(G(s)\)평면 상에 나타낼 수 있다. 모든 \(s\)에 대해 단 하나의 \(G(s)\)값만이 존재하면 \(G(s)\)를 단가함수(single-value function)라 하고, 이때, \(s\)평면의 점들이 \(G(s)\)평면의 점들에 사상(mapping)되는 것을 단가라고 한다.(아래 그림 참고)

\(G(s)\)평면에서 \(s\)평면으로의 사상도 단가이면, 이 사상을 일대일이라고 한다. 실제로 함수평면에서 복소평면으로 사상이 단가가 아닌 함수도 많다. 그 예로 다음의 함수$$G(s)=\frac{1}{s(s+1)}$$가 주어질 때 각 \(s\)에 대해 오직 하나의 \(G(s)\)가 대응되나 그 역사상은 그렇지가 않은데 그 이유는 \(G(x)=\infty\)는 \(s=0\)과 \(s=-1\)의 두 점에 사상되기 때문이다.


어떤 함수와 그 함수의 모든 도함수가 \(s\)평면의 어떤 영역에서 존재하면, 복소함수 \(s\)의 함수 \(G(s)\)는 그 영역에서 해석적(analytic)이라고 한다. 앞에서 다루었던 함수 \(\displaystyle G(x)=\frac{1}{s(s+1)}\)은 \(s=0\), \(s=-1\)의 두 점을 제외하고 해석적이다. 그 이유는 이들 두 점에서 함수값이 무한대가 되기 때문이다. \(H(s)=s+2\)는 모든 \(s\)평면상의 유한영역에서 해석적이다.


어떤 함수의 특이점(singularity)은 그 함수 또는 그 함수의 도함수들이 정의되지 못하는 \(s\)평면의 점이다. 

극(pole)은 어떤 함수 \(G(s)\)가 \(s=p_{i}\)근방에서 해석적이고 단가이며, 극한값 \(\displaystyle\lim_{s\,\rightarrow\,p_{i}}{(s-p_{i})^{r}G(s)}\)가 0이 아닌 유한한 값을 가지면 이 함수 \(G(s)\)는 \(s=p_{i}\)에서 \(r\)차의 극을 갖는다고 한다. 즉, \(G(s)\)의 분모에는 \((s-p_{i})^{r}\)이 반드시 포함해야 하고, \(s=p_{i}\)일 때 이 함수는 무한대가 된다. 또한 극은 특이점이다. \(r=1\)일 경우, \(s=p_{i}\)의 극은 단순극(simple pole)이라고 한다. 다음의 함수$$G(s)=\frac{10(s+2)}{s(s+1)(s+3)^{2}}$$는 \(s=-3\)에서 2차 극을 갖고, \(s=0\), \(s=-1\)에서 단순극을 갖는다. 이러한 점들을 제외하고 \(s\)평면에서 해석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영점(zero)은 함수 \(G(s)\)가 \(s=z_{i}\)에서 해석적이고 극한값 \(\displaystyle\lim_{s\,\rightarrow\,z_{i}}{(s-z_{i})^{-r}G(s)}\)가 0이 아닌 유한한 값을 가지면, \(G(s)\)는 \(s=z_{i}\)에서 \(r\)차의 영점을 갖는다고 한다. 또한 \(\displaystyle\frac{1}{G(s)}\)가 \(s=s_{i}\)에서 \(r\)차의 극을 가지면, \(G(s)\)는 \(s=z_{i}\)에서 \(r\)차의 영점을 갖는다. 다음의 그림은 앞에서 다룬 함수 \(\displaystyle G(s)=\frac{10(s+2)}{s(s+1)(s+3)^{2}}\)의 극점과 영점을 \(s\)평면에 나타낸 것이다.

앞에서 다룬 함수 \(G(s)\)에서 \(s=2j\)일 때 \(G(s)\)의 극좌표 표현(polar representation)을 구하자.$$s=2j=2e^{j\frac{\pi}{2}},\,s+1=1+2j=\sqrt{5}e^{j\tan^{-1}\frac{1}{2}}$$이므로$$G(2j)=\frac{1}{2j(2j+1)}=\frac{1}{2\sqrt{5}}e^{j\left(\frac{\pi}{2}+\tan^{-1}\frac{1}{2}\right)}$$이다. 다음은 \(s_{1}=1+2j\)를 평면에 나타낸 것이다.

\(s=j\omega\)이고 \(\omega\)가 0에서 무한대의 값을 갖는다고 할 때 다음 함수의 극좌표 표현을 구하자.$$G(s)=\frac{16}{s^{2}+10s+16}=\frac{10}{(s+2)(s+8)}$$개별적인 요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j\omega=\sqrt{\omega^{2}+4}e^{j\tan^{-1}\frac{\omega}{2}},\,8+j\omega=\sqrt{\omega^{2}+64}e^{j\tan^{-1}\frac{\omega}{8}}$$

따라서 \(G(j\omega)\)는 다음과 같다.$$G(j\omega)=\frac{16}{\sqrt{(\omega^{2}+4)(\omega^{2}+64)}}e^{-j\left(\tan^{-1}\frac{\omega}{2}+\tan^{-1}\frac{\omega}{8}\right)}$$다음은 \(\omega\)가 고정된 값을 가질 때 \(\displaystyle G(j\omega)=\frac{10}{(2+j\omega)(8+j\omega)}\)의 분자와 분모에 분모의 켤레복소수 \((2-j\omega)(8-j\omega)\)를 곱해도 앞과 같은 결과를 얻고, 다음은 \(\omega\)가 고정된 값을 가질 때 \(G(j\omega)\)를 \(s\)평면에 나타낸 것이다.


참고자료:

Automatic Control Systems 9th edition, Kuo, Golnaraghi, Wiley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