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element/mml/optable/GeneralPunctuation.js

반응형

3-1 강한 극한정리



αL2([a,b]), xC0([a,b])에 대해 αx에 대한 P.W.Z적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고baα(t)˜dx(t)로 나타내어지고 ma.e.x에 대해 이 적분은 존재한다.X(t,x)=x(t),t[a,b],xC0([a,b])로 정의되는 위너과정 X로 이 적분을 나타내면baα(t)˜dX(t,x)이고, 이 적분에서 위너과정 X(t,x)를 브라운운동 B(t,ω)로 대치하면baα(t)˜dB(x,ω),ωΩ이고, 이 적분을 확률적분이라고 한다.


보조정리 3.1 f:(a,b)R(a,b)에서 미분가능하고 그 도함수가 유계라 하자. 즉 모든 t(a,b)에 대해 상수 B0가 존재해서 |f(t)|B. 그러면 limta+f(t)limtbf(t)가 존재하고, c(a,b)에 대해 다음의 부등식을 만족한다.|limta+f(t)f(c)|B(ca)|limtbf(t)f(c)|B(bc)증명: 위의 부등식을 보이기 위해 [a0,c](a,b)라 하자. 그러면 f[a0,c]에서 유계이므로 절대연속이고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f(c)f(a0)=[a0,c]f(t)dλ(t)여기서 λ는 르베그 측도이다. 그러면 lima0a+f(a0)가 존재하고 다음의 부등식으로부터 성립한다.|f(c)lima0a+f(a0)|(a,c]|f(t)|dλ(t)B(ca)같은 방법으로 아래의 부등식도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보조정리 3.2 f:(a,b)R(a,b)에서 미분가능한 함수이고, 다음의 두 극한값들이 존재하고 유한하다고 하자.α=limta+f(t),β=limtbf(t)그러면 다음의 극한값들이 존재하고 유한하다.limta+f(t),limtbf(t)또한f(a)=limtaf(t),f(b)=limtb+f(t)로 정의하면 x=a의 우변도함수 f+(a)x=b의 좌변도함수 f(b)가 존재하고 다음이 성립한다.α=f+(a),β=f(b)증명: 점 x=a에 대해 증명하자. α가 유한하므로, 어떤 δ>0에 대해 f은 구간 (a,a+δ)에서 유계이다. 보조정리 3.1에 의해 극한 limta+f(t)가 존재하고 유한하다.

a0(a,a+δ)를 택하자. f(a,a0]에서 유계이므로 f[a,a0]에서 절대연속이고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f(a0)f(a)=[a,a0]f(t)dλ(t)따라서lima0a+|f(a0)f(a)a0aα|lima0a+1a0a[a,a0]|f(t)α|dλ(t)=0이므로 f+(a)=α이다. 

같은 방법으로 점 x=b에 대해서도 보일 수 있다.


보조정리 3.3 r(s,t)가 다음의 삼각형에서 정의되는 실함수라고 하고,Δ1={(s,t)R2|s(0,t),t(0,1)}이 삼각형 Δ1에서 2rs2, 2rts가 존재하고 다음의 부등식이 성립하며|2rs2|B,|2rts|Br(t,t)=limstr(s,t)로 정의하자. 그러면 모든 t(0,1)에 대해D(t)=limstr(s,t)r(t,t)st가 존재한다. 또한 D(0,1)에서 유계이고 연속이며, 다음의 성질들이 성립한다.D(t)=limstrs(s,t)|D(t)rs(s,t)|B(ts)|D(t)D(t같은 방법으로 삼각형\Delta_{2}={(s,\,t)\in\mathbb{R}^{2}\,|\,s\in(t,\,1),\,t\in(0,\,1)}에서 r의 우변도함수D^{+}(t)=\lim_{s\,\rightarrow\,t+}{\frac{r(s,\,t)-r((t,\,t)}{s-t}}에 대한 성질도 얻을 수 있다.

증명: 고정된 t\in(0,\,1)에 대해 g(s)=r(s,\,t),\,s\in(0,\,t)라 하자. (0,\,t)에서 g''이 유계이므로 보조정리 3.1에 의해 다음의 두 극한값들이 존재하고 유한하다.\lim_{s\,\rightarrow\,0+}{g'(s)},\,\lim_{s\,\rightarrow\,t-}{g'(s)}g'(0,\,t)에서 연속이고 위의 두 극한값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g'(0,\,t)에서 유계이다. 보조정리 3.1에 의해 다음의 부등식이 성립하고\left|\lim_{s\,\rightarrow\,t-}{g'(s)}-g'(s)\right|\leq B(t-s)이고, 보조정리 3.2에 의해 g의 좌변도함수 D^{-}_{g}(t)가 존재하고 \displaystyle D_{g}^{-}(t)=\lim_{s\,\rightarrow\,t}{g'(s)}이다. 

마지막으로 t',\,t''\in(0,\,1), t'<t''인 경우를 생각하고 s\in(0,\,t')이라 하자. 그러면 다음의 부등식이 성립하고\begin{align*}|D^{-}(t')-D^{-}(t'')|&\leq\left|D^{-}(t')-\frac{\partial r}{\partial s}(s,\,t')\right|+\left|\frac{\partial r}{\partial s}(s,\,t')-\frac{\partial r}{\partial s}(s,\,t'')\right|+\left|\frac{\partial r}{\partial s}(s,\,t'')-D^{-}(t'')\right|\\&\leq B(t'-s)+\left|\frac{\partial^{2}r}{\partial t\partial s}(s,\,t^{*})\right|(t''-t')+B(t''-s)\\&\leq B(t'-s)+B(t''-t')+B(t''-s)\end{align*}여기서 t^{*}\in(t',\,t'')이며, 위 부등에 극한 s\,\rightarrow\,t'-를 취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정리 3.4 (강한 극한정리) 확률공간 (\Omega,\,\mathcal{B},\,P)T=[0,\,1]\subset\mathbb{R}에서 정의된 가우스 과정 X가 다음의 조건들을 만족한다고 하자.

(1) 평균함수 m(t)T에서 유계 도함수를 갖는다.

(2) 공분산함수 r(s,\,t)T\times T에서 연속이고 (T\times T)-I에서 유계 편도함수 \displaystyle\frac{\partial^{2}r}{\partial s^{2}}, \displaystyle\frac{\partial^{2}r}{\partial s\partial t}를 갖는다. 여기서 I=\{(s,\,t)\in T\times T\,|\,s=t\}

t\in(0,\,1)에 대해 r(s,\,t)의 좌변도함수 D^{-}(t)와 우변도함수 D^{+}(t)를 각각 다음과 같다고 하자.D^{-}(t)=\lim_{s\,\rightarrow\,t-}{\frac{r(s,\,t)-r(t,\,t)}{s-t}},\,D^{+}(t)=\lim_{s\,\rightarrow\,t+}{\frac{r(s,\,t)-r(t,\,t)}{s-t}}\alpha(t)Z_{n}(\omega)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begin{align*}\alpha(t)&=D^{-}(t)-D^{+}(t)\\Z_{n}(\omega)&=\sum_{k=1}^{2n}{\left\{X\left(\frac{k}{2^{n}},\,\omega\right)-X\left(\frac{k-1}{2^{n}},\,\omega\right)\right\}^{2}}\end{align*}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P\left(\left\{\omega\in\Omega\,|\,\lim_{n\,\rightarrow\,\infty}{Z_{n}(\omega)}=\int_{0}^{1}{\alpha(t)dt}\right\}\right)=1증명: 생략


따름정리 3.5 가우스 과정 X가 정리 3.4(강한 극한정리)의 가정을 만족하고, t\in(0,\,1)에 대해 \displaystyle\frac{\partial r}{\partial s}(t,\,t)가 존재한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P\left(\left\{\omega\in\Omega\,|\,\lim_{n\,\rightarrow\,\infty}{Z_{n}(\omega)}=0\right\}\right)=1증명: t\in(0,\,1)에 대해 \displaystyle\frac{\partial r}{\partial s}(t,\,t)가 존재하면D^{-}(t)=D^{+}(t)=\frac{\partial r}{\partial s}(t,\,t),\,\alpha(t)=0,\,\alpha(t)=0\,(t\in(0,\,1))이므로 \displaystyle\int_{0}^{1}{\alpha(t)dt}=0이다.


따름정리 3.6 a(t)T=[0,\,1]에서 정의된 실함수로 T에서 유계 도함수를 갖고, b(t)는 단조증가함수로서 T에서 유계 2계도함수를 갖는다고 하자.

일반 브라운운동과정 X(t,\,\omega), t\in T, \omega\in\Omega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자.

c\in\mathbb{R}, t',\,t''\in T,\,t'<t''일 때

(1) X(t'',\,\cdot)-X(t',\,\cdot)\,\sim\,N(a(t'')-a(t'),\,b(t'')-b(t'))

(2) X(0,\,\omega)=c\,a.e.\,\omega\in\Omega

그러면 다음의 등식이 성립하고P\left(\left\{\omega\in\Omega\,|\,\lim_{n\,\rightarrow\,\infty}{Z_{n}(\omega)}=\int_{0}^{1}{b'(t)dt}\right\}\right)=1특히 a(t)=0, b(t)=tt\in T, c=0인 브라운 운동과정인 경우에는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P\left(\left\{\omega\in\Omega\,|\,\lim_{n\,\rightarrow\,\infty}{Z_{n}(\omega)}=1\right\}\right)=1증명: 평균함수 m(t)와 공분산함수 r(s,\,t)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begin{align*}m(t)&=E(X(t,\,\cdot))=a(t)-a(0)+c,\,t\in T\\r(s,\,t)&=C(X(s,\,\cdot),\,X(t,\,\cdot))=b(\min\{s,\,t\})-b(0)\\&=\min\{b(s),\,b(t)\}-b(0)\end{align*}a'(t), b''(t)는 존재하고 T에서 유계이므로 mr은 정리 3.4(강한 극한정리)의 조건을 만족한다. 또한 t\in(0,\,1)에 대해서\begin{align*}D^{-}(t)&=\lim_{s\,\rightarrow\,t-}{\frac{r(s,\,t)-r(t,\,t)}{s-t}}=\lim_{s\,\rightarrow\,t-}{\frac{b(s)-b(t)}{s-t}}=b'(t)\\D^{+}(t)&=\lim_{s\,\rightarrow\,t+}{\frac{r(s,\,t)-r(t,\,t)}{s-t}}=\lim_{s\,\rightarrow\,t-}{\frac{b(s)-b(t)}{s-t}}=0\end{align*}이므로 \alpha(t)=D^{-}(t)-D^{+}(t)=b'(t)이고 강한 극한정리에 의해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참고자료:

위너 적분론, 장건수, 민음사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