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팰리-위너-지그문드 적분(3)
정리 2.26 \(\varphi\in L_{2}([a,\,b])\)이고 \(\displaystyle X_{\varphi}(x)=\int_{a}^{b}{\varphi(t)\tilde{d}x(t)}\)라 하자. 사상 \(\Phi:\varphi\,\rightarrow\,X_{\varphi}\)는 \(L_{2}([a,\,b])\)를 \(L_{2}(C_{0}([a,\,b]))\)의 닫힌 부분공간 위로(onto)보내는 선형 등거리(거리보존) 사상이다.
증명: 선형성은 P.W.Z적분의 선형성으로부터 얻는다. 거리보존(등거리)성은 다음에 의해 증명된다.
\(X_{\varphi}\,\sim\,N(0,\,\|\varphi\|_{2}^{2})\)이므로 \(\displaystyle\int_{C_{0}([a,\,b])}{|X_{\varphi}(x)|^{2}d\mathfrak{m}(x)}=\|\varphi\|_{2}^{2}\)
따름정리 2.27 정리 2.26에서 정의된 사상 \(\Phi\)는 내적을 보존한다. 즉 \(\langle X_{\varphi_{1}},\,X_{\varphi_{2}}\rangle=\langle\varphi_{1},\,\varphi_{2}\rangle\)
증명: 힐베르트공간에서 노름을 보존하는 사상은 내적을 보존한다.
힐베르트 공간에서 내적과 노름 사이에는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langle h,\,k\rangle=\frac{1}{4}(\|h+k\|^{2}+\|h-k\|^{2})$$정리 2.28 \(v\in L_{2}([a,\,b])\), \(y\)는 \([a,\,b]\)에서 절대연속, \(y'\in L_{2}([a,\,b])\)라 하자. 그러면 \(v\)의 \(y\)에 대한 P.W.Z적분이 존재하고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int_{a}^{b}{v(t)\tilde{d}y(t)}=\int_{a}^{b}{v(t)y'(t)dt}$$증명: \(\{e_{k}\}\)를 정의 2.13에서 주어진 집합(완비 정규직교집합)이라고 하자.$$v_{n}(t)=\sum_{k=1}^{n}{\left\{\int_{a}^{b}{v(s)e_{k}(s)ds}\right\}e_{k}(t)}$$로 정의하면 P.W.Z적분의 정의에 의해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int_{a}^{b}{v(t)\tilde{d}y(t)}=\lim_{n\,\rightarrow\,\infty}{\int_{a}^{b}{v_{n}(t)dy(t)}}$$다음의 두 적분은 존재하고 그 적분값은 같다.$$\int_{a}^{b}{v_{n}(t)dy(t)}=(L)\int_{a}^{b}{v_{n}(t)dy(t)}$$여기서 위 식의 우변의 적분은 유계변동함수 \(y\)에 의해 만들어진 측도에 관한 르베그 적분이다.
\(y'\in L_{2}([a,\,b])\subset L_{1}([a,\,b])\)이므로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L)\int_{a}^{b}{v_{n}(t)dy(t)}=\int_{a}^{b}{v_{n}(t)y'(t)dt}$$\(\|v_{n}-v\|_{2}\,\rightarrow\,0\)이므로 \(v_{n}\,\rightarrow\,v\)는 약 수렴(weak convergence)한다. 따라서$$\int_{a}^{b}{v_{n}(t)dy(t)}=\int_{a}^{b}{v_{n}(t)y'(t)dt}\,\rightarrow\,\int_{a}^{b}{v(t)y'(t)dt}$$이므로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정리 2.29 \(\mu\)를 \(\mathcal{B}(L_{2}([a,\,b]))\)에서 정의되는 복소 보렐측도라고 하자. 그러면 \(\displaystyle\int_{a}^{b}{v(t)\tilde{d}x(t)}\)는 \(\mathfrak{m}\times\mu-\)가측인 \((x,\,v)\)의 함수이다(따라서 P.W.Z적분이 존재하는 \((x,\,v)\)들의 집합은 가측이다). 또한 \(s-a.e.\,x\)에 대해 P.W.Z적분 \(\displaystyle\int_{a}^{b}{v(t)\tilde{d}x(t)}\)는 \(\mu-a.e.\,v\in L_{2}([a,\,b])\)에 대해 존재한다.
증명: 생략
따름정리 2.30 \(\mu\)를 \(L_{2}([a,\,b])\)에서 복소 보렐측도라 하자. \(F\)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F(x)=\int_{L_{2}}{e^{i\int_{a}^{b}{v(t)\tilde{d}x(t)}}d\mu(v)},\,x\in C_{0}([a,\,b])$$\(s-a.e.\,x\)에 대해 \(F(x)\)는 존재하고, 위너적분 가능하다.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G(x)=\int_{L_{2}([a,\,b])}{e^{i(\varphi)\int_{a}^{b}{v(t)\tilde{d}x(t)}}d\mu(v)},\,x\in C_{0}([a,\,b])$$여기서 \(\varphi=\{\varphi_{n}\}\)은 P.W.Z적분을 정의하는 또 다른 완비 정규직교집합이라고 하자. 그러면 \(F\approx G\), 즉 \(s-a.e.\,x\)에 대해 \(F(x)=G(x)\)이다.
증명: 생략
\((x,\,w)\in C_{0}([a,\,b])\times C_{0}([a,\,b])\)에 대해$$\begin{align*}P(x,\,w)&=\int_{a}^{b}{x(t)\tilde{d}w(t)}\\&=\lim_{n\,\rightarrow\,\infty}{\sum_{k=1}^{n}{\left(\int_{a}^{b}{x(t)e_{k}(t)dt}\right)\int_{a}^{b}{e_{k}(t)dw(t)}}}\end{align*}$$이므로 \(P(x,\,w)\)는 \((x,\,w)\)의 함수로서 보렐가측이다. 각 \(v\in L_{2}([a,\,b])\)에 대해 \(\displaystyle\int_{a}^{b}{v(t)\tilde{d}w(t)}\)는 \(\mathfrak{m}-a.e.\)에 대해 정의되므로 각 \(x\in C_{0}([a,\,b])\)에 대해 \(P(x,\,w)\)는 \(\mathfrak{m}-a.e.\,w\)에 대해 정의된다. 따라서 \(P(x,\,w)\)는 \(\mathfrak{m}^{2}-a.e.\,(x,\,w)\)에 대해 정의된다. 같은 방법으로 \(P(w,\,x)\)도 \((x,\,w)\)의 함수로서 보렐가측이고, \(\mathfrak{m}^{2}-a.e.\,(x,\,w)\)에 대해서 정의된다.
P.W.Z적분 \(\displaystyle\int_{a}^{b}{x(t)\tilde{d}x(t)}\)와 \(\displaystyle\int_{a}^{b}{w(t)\tilde{d}x(t)}\)와의 관계는 다음의 P.W.Z적분의 부분적분 공식에 의해 설명된다.
정리 2.31
(1) \(\mathfrak{m}\times\mathfrak{m}-a.e.\,(x,\,w)\in C_{0}([a,\,b])\times C_{0}([a,\,b])\)에 대해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int_{a}^{b}{x(t)\tilde{d}x(t)}=x(b)w(b)-x(a)w(a)-\int_{a}^{b}{w(t)\tilde{d}x(t)}$$(2) \(\mathfrak{m}-a.e.\,x\)에 대해 위 부분적분 공식은 \(s-a.e.\,w\)에 대해 성립한다. \(\mathfrak{m}-a.e.\,w\)에 대해 위 부분적분 공식은 \(s-a.e.\,x\)에 대해 성립한다.
증명: 생략
정리 2.32 \(g\in BV([a,\,b])\)라 하자. 그러면 \(\mathfrak{m}\times\mathfrak{m}-a.e.\,(x,\,w)\in C_{0}([a,\,b])\times C_{0}([a,\,b])\)에 대해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int_{a}^{b}{\int_{a}^{b}{g(t)dw(t)}\tilde{d}x(t)}=\int_{a}^{b}{x(s)g(s)\tilde{d}w(s)}$$증명: 생략
다음은 팰리-위너-지그문드 정리를 포함하는 보다 일반적인 정리이고, 이 정리에 대한 증명은 Ewan, R의 The Cameron-Storvick operator-valued function space integral for a class of finite dimensional functionals, Ph. D. thesis, Univ. of Nebraska, 1972를 참고한다.
정리 2.33 \(\alpha_{1},\,...,\,\alpha_{n}\in L_{2}([a,\,b])\)이고 \(f\)가 \(\mathbb{R}^{n}\)에서 르베그 가측이라고 하자. 확률변수$$\int_{a}^{b}{\alpha_{1}(t)\tilde{d}x(t)},\,...,\,\int_{a}^{b}{\alpha_{n}(t)\tilde{d}x(t)}$$의 공분산행렬을 \(A\), 이때 \(\det A\neq0\)이라 하자. 그러면 \(\displaystyle f(\vec{u})e^{-\frac{1}{2}\langle\vec{u},\,A^{-1}\vec{u}\rangle}\)가 \(\mathbb{R}^{n}\)에서 적분가능할 필요충분조건은$$F(x)=f\left(\int_{a}^{b}{\alpha_{1}(t)\tilde{d}x(t)},\,...,\,\int_{a}^{b}{\alpha_{n}(t)\tilde{d}x(t)}\right)$$가 \(C_{0}([a,\,b])\)에서 위너적분 가능한 것이고, 이 경우에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int_{C_{0}([a,\,b])}{F(x)d\mathfrak{m}(x)}=\frac{1}{\sqrt{(2\pi)^{n}\det A}}\int_{\mathbb{R}^{n}}{f\vec{u})e^{-\frac{1}{2}\langle\vec{u},\,A^{-1}\vec{u}\rangle}d\vec{u}}$$증명: Theorem 2.2참고
정리 2.34 \(\{\alpha_{1},\,...,\,\alpha_{n}\}\)이 \(L_{2}([a,\,b])\)에서 일차독립이고 \(f(x)\), \(F(x)\), \(A\)는 정리 2.33에서 정의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displaystyle f(\vec{u})e^{-\frac{1}{2}\langle\vec{u},\,A^{-1}\vec{u}\rangle}\)가 \(\mathbb{R}^{n}\)에서 적분가능할 필요충분조건은 \(F(x)\)가 \(C_{0}([a,\,b])\)에서 위너적분 가능한 것이고, 이 경우에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int_{C_{0}([a,\,b])}{F(x)d\mathfrak{m}(x)}=\frac{1}{\sqrt{(2\pi)^{n}\det A}}\int_{\mathbb{R}^{n}}{f(\vec{u})e^{-\frac{1}{2}\langle\vec{u},\,A^{-1}\vec{u}\rangle}d\vec{u}}$$증명: Theorem 2.3 참고
따름정리 2.35 \(\{\alpha_{1},\,...,\,\alpha_{n}\}\)이 \(L_{2}([a,\,b])\)에서 정규직교집합이고, \(F\)와 \(f\)는 정리 2.33에서 정의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displaystyle f(\vec{u})e^{\displaystyle\tiny-\frac{1}{2}\sum_{i=1}^{n}{u_{i}^{2}}}\)가 \(\mathbb{R}^{n}\)에서 적분가능할 필요충분조건은 \(F(x)\)가 \(C_{0}([a,\,b])\)에서 적분가능한 것이고, 이 경우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int_{C_{0}([a,\,b])}{F(x)d\mathfrak{m}(x)}=\frac{1}{\sqrt{(2\pi)^{n}}}\int_{\mathbb{R}^{n}}{f(\vec{u})e^{\displaystyle\tiny-\frac{1}{2}\sum_{i=1}^{n}{u_{i}^{2}}}d\vec{u}}$$증명: 생략
정리 2.36 \(\{\alpha_{1},\,...,\,\alpha_{n}\}\)이 \(L_{2}([a,\,b])\)에서 일차독립이고$$X_{i}(x)=\int_{a}^{b}{\alpha_{i}(t)\tilde{d}x(t)},\,i=1,\,...,\,n$$이라 하자. \(A=(a_{ik})\)를 확률변수 \(X_{1},\,...,\,X_{n}\)의 공분산행렬이라고 하면,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a_{ik}=\langle\alpha_{i},\,\alpha_{k}\rangle=\int_{a}^{b}{\alpha_{i}(t)\alpha_{k}(t)dt},\,1\leq i,\,k\leq n$$증명: Theorem 2.4 참고
참고자료:
위너 적분론, 장건수, 민음사
'확률및통계 > 위너 적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 완비 정규직교집합(2) (0) | 2020.07.11 |
---|---|
2-6 완비 정규직교집합(1) (0) | 2020.07.10 |
2-4 팰리-위너-지그문드 적분(2: 카메룬-마틴 변환정리의 확장) (0) | 2020.07.08 |
2-3 팰리-위너-지그문드 적분(1) (0) | 2020.07.07 |
2-2. 카메룬-마틴 변환정리(2) (0) | 202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