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반응형

[일반화학] 18. 원자가 결합이론, 혼성 오비탈



앞에서 다뤘던 VSEPR 모형은 분자 모양을 예측하는 간단한 방법이지만 공유결합의 전자 성질을 설명하지 못한다. 원자가 결합이론(valence bond theory)은 공유결합에서 전자싸잉 어떻게 공유되는지를 시각적으로 잘 보여주는 오비탈 모형을 제시한다. 핵심은 두 원자들이 서로 접근해서 오비탈끼리 겹칠 때 공유결합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다음은 H2분자에서 두 수소의 홀전자 점유 1s오비탈이 겹쳐 HH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원자 오비탈은 슈뢰딩거 파동방정식에서 얻으며, p 원자 오비탈에서 서로 다른 위상(phase)을 갖는다. 원자가 결합모형에서 두 로브의 겹침은 같은 위상이어야 하고 공유결합의 세기는 오비탈 겹침 정도에 의존하는데, 겹침이 클수록 결합의 세기는 크다. F2분자의 각 플루오린 원자는 바닥상태에서 [He]2s22p2x2p2y2p1z전자배치를 가지며 2개의 홀전자 점유 2p오비탈이 겹쳐서 FF결합을 형성한다. 두 개의 2p오비탈은 최적의 겹침이 일어나도록 서로 직접적으로 행해야 하며, FF결합은 오비탈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을 시그마(σ)결합(sigma bond)이라고 한다. HCl에서 공유결합은 수소의 1s오비탈과 염소의 3p오비탈이 p오비탈 축을 따라 겹쳐 형성된다.

다음은 원자가 결합이론의 중요개념을 요약한 것이다.

-공유결합은 반대 스핀의 홀전자를 갖는 원자 오비탈들이 겹쳐 형성되는데 이때 두 로브의 겹침은 반드시 같은 위상이어야 한다.

-결합에 참여하는 각 원자는 자신의 원자 오비탈을 유지하되 겹치는 오비탈에 존재하는 전자쌍은 두 원자에 의해 공유된다. 

-오비탈의 겹침이 클 수록 결합은 세다. s오비탈 이외의 다른 오비탈이 결합에 관여할 때, 이 결합은 방향성을 갖는다. 


메테인(CH4)을 원자가 결합이론으로 살펴보자. 여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1. 탄소의 바닥상태 전자배치는 [He]2s22p1x2p1y이다. 따라서 탄소는 4개의 원자가 전자를 갖고, 이중 2개는 2s오비탈에서, 나머지 2개의 전자는 임의로 2px, 2py로 지정된 서로 다른 2p오비탈에 홀전자로 존재한다. 이때 "나머지 2개의 짝짓지 않은 전자만 공유결합에 이용할 수 있다면 탄소는 어떻게 4개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생기는데 그 답은 들뜬 상태의 [He]2s12p1x2p1y2p1z이다. 이 상태는 4개의 홀전자를 갖고 4개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2. "들뜬 상태의 탄소가 두 종류의 오비탈(2s, 2p)을 결합에 이용해서 어떻게 4개의 동등한 결합이 형성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생긴다. 여기에 대한 답은 파동함수를 수학적으로 결합해 혼성 원자 오비탈(hybrid atomic orbital)이라는 파동함수이다. 들뜬 상태 탄소원자에서와 같이 1개의 s오비탈과 3개의 p오비탈이 결합될 때 sp3혼성 오비탈이라고 부르는 4개의 혼성 오비탈이 형성된다. 여기서 sp3의 위첨자 3은 혼성 오비탈이 형성될 때 얼마나 많은 p오비탈이 참여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지 오비탈에 존재하는 전자의 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원자의 p오비탈처럼 4개이 동등한 sp3혼성 오비탈은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의 2개의 로브를 갖는데 그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크기 때문에 상당한 방향성을 갖는다. 4개의 커다란 로브는 다음 그림과 같이 서로 109.5의 각도로 사면체의 네 꼭짓점을 향한다.

방향성이 큰 혼성 오비탈로 형성된 공유결합에서 공유전자는 결합된 두 핵 사이의 영역에 머물고, 그 결과 sp3혼성 오비탈로 구성된 공유결합은 대부분 상당히 강하다. 다음은 메테인의 4개의 CH시그마 결합이 수소의 1s오비탈과 sp3혼성 오비탈의 정면 겹침에 의해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위의 방법으로 삼각뿔 구조인 암모니아(NH3) 분자의 질소, 굽은모양 구조인 물(H2O) 분자의 산소, VSEPR모형에 의해 4개 전하구름의 사면체 배열로 예측되는 기타 모든 원자는 sp3혼성화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3개의 전하구름을 갖는 원자의 경우 1개의 s원자 오비탈과 2개의 p원자 오비탈이 합쳐 혼성화되어 3개의 sp2혼성 오비탈을 형성한다. 이러한 sp2혼성 오비탈은 한 평면 위에 있고, 서로 120로 정삼각형의 꼭짓점을 향하며 1개의 p오비탈은 그대로 남아 다음의 그림처럼 sp2혼성 오비탈 평면에 대해 90각을 이루며 배향한다.

에틸렌(H2C=CH2)의 각 탄소 원자는 3개의 전하구름을 갖고 sp2혼성화된다. sp2 혼성화된 탄소 원자 2개가 서로 접근해 sp2 오비탈들이 정면으로 겹쳐서 시그마 결합을 형성한다. 두 탄소의 혼성화되지 않은 p 오비탈도 접근해 결합을 형성하나 측면으로 평행하게 접근한다. 이러한 결합을 파이(π) 결합(pi bond)이라고 한다.

에틸렌의 C=C결합과 같은 이중결합은 하나의 시그마 결합과 하나의 파이 결합으로 구성된다.

2개의 전하구름을 갖는 원자의 경우 1개의 s오비탈과 1개의 p오비탈이 합쳐 혼성화되어 서로 180를 향하는 2개의 sp 혼성 오비탈을 형성한다. 원자 한 개의 sp혼성화에는 1개의 p오비탈만 참여하고 나머지 2개의 p오비탈은 그대로 남아 sp혼성 오비탈에 대해 90로 향한다.

아세틸렌(HCCH) 분자의 두 탄소 원자는 선형 기하구조를 갖고 sp혼성화 되어있다.

다음은 앞의 결과들을 정리한 것이다.


참고자료:

Chemistry 7th edition, McMurry, Fay, Robinson, Pearson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