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 17. VSEPR 모형
앞에서 다룬 전자점(electron-dot) 구조는 공유결합의 위치를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이나 분자구조의 정밀한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그 이상의 정보가 필요하다. 전자점 구조는 2차원이지만 분자는 3차원이고, 전자점 구조만으로는 전자확률(electron probability)을 설명하는데 양자역학적 조건에서 공유결합의 성질을 설명할 수 없다.
3차원 모양은 분자의 화학적, 생물학적 기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음은 물(H2O), 암모니아(NH3), 메테인(CH4)의 3차원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3차원 모양으로 분자를 그리는 것은 유용하다. 분자 모양은 결합원자의 전자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어떤 분자의 대략적 구조는 원자가껍질 전자쌍 반발모형(valence-shell electron pair repulsion(VSEPR) model)을 이용해서 예측할 수 있다. 결합전자 및 고립전자쌍들은 서로 반발해 멀리 떨어져서 고유한 분자모양을 갖게 되어서 '전하구름'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음은 VSEPR모형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두 단계이다.
1. 전자점 구조의 방식대로 전자점 구조를 그리고 중심원자 주위의 전하구름 수를 센다. 여기서 전하구름은 화학결합이나 고립전자쌍에서 원자 주변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한 그룹의 전자이다.
2. 전하구름은 공간에서 가능한 서로 멀리 떨어지도록 배향한다는 가정 하에 각 원자 주위 전하구름의 공간적 배치를 예측한다. 방향은 전자구름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2개의 전하구름: CO2와 HCN은 선형분자이고, 결합각(bond angle)은 180∘이다.
3개의 전하구름: 폼알데하이드(HCHO) 분자는 평면 삼각형 모양(trigonal planar shape)이고, H−C−H와 H−C=O결합각은 120∘에 가깝다.
SO2분자도 삼각 평면 배열을 갖지만 삼각형의 한 꼭짓점은 1개의 고립전자쌍이, 두 꼭짓점은 산소 원자가 점유하므로 이 분자는 굽은모양(bent shape)이고 O−S=O결합각은 180∘가 아닌 약 120∘이다.
주의할 점은 모양(shape)은 한 분자 안에서 전체 원자의 배열을 의미하는 것이지 특정 원자 주위의 전하구름의 기하적인 배열을 의미하지 않는다.
4개의 전하구름: 메테인(CH4), 암모니아(NH3), 물(H2O)의 중심 원자처럼 4개의 전하구름이 있을 때 그 구름들은 정사면체의 꼭짓점을 향하는 구조를 가질 때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위의 그림의 왼쪽의 정사면체는 동일한 4개의 면이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기하 구조이다. 중심 원자는 사면체 중심에 위치하고, 전하구름은 네 꼭짓점을 향하며, 중심에서 어떠한 두 꼭짓점으로 그린 두 선 사이의 각은 109.5∘이다.
메테인은 109.5∘의 H−C−H결합각을 갖는 사면체 구조를 갖는다. 암모니아에서 질소 원자의 4개 전하구름은 사면체 배열을 하고 있으나 그 사면체의 꼭짓점 중 하나는 1개의 고립 전자쌍에 의해 점유되기 때문에 분자의 모양은 삼각뿔이다. 마찬가지로 물은 사면체의 두 꼭짓점이 고립 전자쌍에 의해 점유되고 따라서 굽은 모양을 갖고 있다. 고립 전자쌍 때문에 암모니아의 H−N−H 결합각은 107∘이고 물의 H−O−H 결합각은 104.5∘이다. 이것으로부터 고립 전자쌍의 전자구름은 다른 부분의 결합각을 축소시킴을 알 수 있다.
5개의 전하구름: PCl5, SF4, ClF3, I−3의 중심원자에서 발견되듯이, 5개의 전하구름은 삼각쌍뿔(trigonal bipyramid)이라고 불리는 기하학적 구조의 꼭짓점을 향한다.
3개의 전하구름은 평면에 위치해서 정삼각형의 꼭짓점을 향하고, 네 번째 전하구름은 똑바로 위쪽을, 다섯 번째 전하구름은 똑바로 아래쪽을 향한다.
삼각쌍뿔 구조를 갖는 물질은 5개의 전하구름이 결합 전자인가 또는 비결합 전자인가에 따라 다른 모양을 갖는다.
-PCl5에서 인 원자(P)는 주위의 5개의 위치를 모두 염소 원자가 차지하기 때문에 삼각쌍뿔 모양을 갖는다.
-SF4에서 황 원자(S)는 다른 4개의 원자와 결합하고, 1쌍의 비결합 고립 전자쌍을 갖는다. 고립 전자쌍은 결합 전자쌍보다 더 퍼져있고 더 많은 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SF4의 비결합 전자쌍도 2개의 전하구름만 가까이에 위치하는(90∘각도) 적도 위치를 차지한다.
-ClF3의 염소원자는 다른 3개의 원자와 결합하고, 2개의 비결합 고립 전자쌍을 갖는다. 2개의 고립 전자쌍은 적도 위치에 있어서 T모양의 구조를 갖는다.
-I3−이온의 아이오딘 중심 원자는 다른 2개의 원자와 결합하고, 3개의 고립 전자쌍을 갖는다. 3개의 고립 전자쌍은 모두 적도 위치를 차지해서 선형구조를 갖는다.
6개의 전하구름: 중심원자 주위에 있는 6개의 전하구름은 8개의 정삼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기하구조인 정팔면체의 6개 꼭짓점을 향한다. 6개의 위치는 동일하고 두 이웃한 위치 사이의 각은 90∘이다.
5개 전하구름의 경우처럼 6개의 전하구름 원자를 갖는 분자들은 전하구름들이 결합 전자인지 또는 비결합 전자인지에 따라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SF6은 황(S) 주위의 6개 위치를 모두 플루오린 원자들이 차지한다.
-SbCl52−이온의 안티모니 원자(Sb)도 6개의 전하구름을 갖지만 5개의 원자와만 결합하고, 1개의 비결합 고립 전자쌍을 가지므로 이 이온은 사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사각뿔(square pyramid) 모양을 갖는다.
-XeF4의 제논 원자(Xe)는 4개의 원자와 결합하고, 2개의 고립 전자쌍을 갖는다. 이 두 고립 전자쌍은 전기적 반발을 최소화하도록 멀리 떨어져 위치해서 그 결과 이 분자는 사각 평면(square planar)모양을 갖는다.
다음은 앞에서 설명한 2~6개의 전하구름에 대한 기하학적 구조를 정리한 것이다.
에틸렌(H2C=CH2)에서 2개의 탄소 원자는 각각 3개의 전하구름을 가지며, 따라서 각 탄소 주위의 기하구조는 삼각평면이다.
다른 4개의 원자와 결합한 탄소 원자들은 각각 사면체 중심에 위치한다. 에테인(H3C−CH3)은 아래 그림처럼 한 사면체의 중심 탄소 원자가 다른 사면체의 꼭짓점 탄소 원자가 되는 모습으로 두 사면체가 결합한다.
참고자료:
Chemistry 7th edition, McMurry, Fay, Robinson, Pearson
'기초자연과학 > 일반화학 이론(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화학] 19. 분자 오비탈 이론 (0) | 2020.03.08 |
---|---|
[일반화학] 18. 원자가 결합이론, 혼성 오비탈 (0) | 2020.03.07 |
[일반화학] 16. 전자점 구조, 공명구조 (0) | 2020.03.05 |
[일반화학] 15. 공유결합 (0) | 2020.03.04 |
[일반화학] 14. 전자친화도, 팔전자규칙, 이온결합 (0) | 2020.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