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반응형

연속함수의 근사


닫힌구간 [a,b]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f는 균등연속이다. 또한 임의의 ϵ>0에 대하여 |xy|<ϵ일 필요충분조건은 x=y임이 알려져 있다. 이를 이용하여 연속함수 f를 계단함수 s로 근사시킬 수 있다.


닫힌구간 [a,b]에서 정의된 함수 f가 구간 [a,b]의 분할P:a=x0<x1<<xn1<xn과 적당한 실수 a1,a2,,an이 존재해서 xi1<x<xi일 때 f(x)=ai이면 함수 f[a,b]에서 정의된 계단함수(step function)라고 한다.


다음은 구간 [a,b]에서 연속인 함수 f를 근사시키는 계단함수 s를 구하는 과정이다.


함수 f는 구간 [a,b]에서 연속이므로 [a,b]에서 균등연속이다. 그러면 모든 ϵ>0x,y[a,b]에 대하여 δ>0이 존재해서 |xy|<δ일 때 |f(x)f(y)|<ϵ이다. 구간 [a,b]의 분할 P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P:a=x0<x1<<xn1<xn=b|xixi1|<δ(i=1,2,,n)이라 하자. [a,b]에서의 계단함수 s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s(x)={f(xi1)(xi1x<xi,i=1,2,,n)f(b)(x=xn)그러면 |xixi1|<δ이므로 모든 x[a,b]에 대하여|f(x)s(x)|<ϵ이다.


참고자료:

실해석학개론, 정동명, 조승제, 경문사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