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5. 교육심리(1: 교육심리의 기초)
학생을 가르치기 이전에 학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학생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들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므로 교육하는 사람은 교육에 대한 심리학인 교육심리학이 필요하다.
심리학은 인간행동에 관한 보편적 원리와 법칙의 확립에 주목적을 두고, 교육은 특수한 상황에서 개개 학습자의 행동변화에 관심이 있다.
다음의 표는 교육과 심리학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 교육학 |
심리학 |
학문목적 | 응용학문 |
기초학문 |
관심 | 학습자의 행동변화 |
인간의 보편활동 |
가치 | 가치지향적 |
가치중립적 |
연구방법 | 자연상태 |
실험실 |
심리학을 교육에 응용하려면 1. 기초학문들이 교육에 관한 타당한 지식을 확보하지 못하다는 점, 2. 응용은 가치판단을 전제로 하는데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객관적 방법이 없다는 점 이 두 가지 점들을 염두해야 한다.
초기의 교육심리학은 심리학적 방법으로 교육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려는 학문이었다. 이것은 현상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결과로 얻어진 지식을 이용해 교육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노력을 집대성한 학문이다.
최근의 교육심리학은 좁은 의미로, 교사는 가르치고, 학생은 배우는 수업과정인 교수(teaching)와 학습(learning)에 주로 관심을 갖는다.
스키너(Skinner): 교육심리학은 교수와 학습을 다루는 심리학의 한 분야.
스텝펀(Stephone): 교육심리학은 교육적인 성장과 발달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위트록(Wittrock): 교육심리학은 교육장면에서 인간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따라서 교육심리학은 주로 인간은 어떻게 학습하는가와 인간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목적으로 성장하는 세대들을 교육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과학이다.
교육심리학의 대상은 학습자(학생), 교육환경, 교수-학습, 교육평가이다.
학습자: 교육의 목적이 학습자의 행동변화에 있고, 교육이 학습자를 중심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교교육과 관련된 심리적 속성(언어력, 기억력, 학습력, 창조력, 문제해결력, 감상력 등)에 관심을 갖는다.
교육환경: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 발달하고, 교육심리학은 학교의 환경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는다.
교육심리학이 특별히 관심을 가져야 하는 환경은 교사, 학생, 학생-학생 상호작용에 의한 상호작용환경이다.
교수-학습: 학습은 교육현장과 가장 밀접한 변인으로 학습자와 환경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만났을 때, 학습자에게 일어나는 사상이다. 현대 학습이론 중 행동주의이론과 인지이론이 서로 대립하고 있다.
행동주의이론: 학습자의 외형적 행동변화에 관심이 있다.
인지이론: 최근에 강세를 보이고, 학습자의 내적 변화에 관심이 있다.
교육평가: 교육의 목적이 인간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교육의 과정이 계획적이어야 한다면, 교육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시작한 교육 또는 수업이 적절했는가, 설정한 목적이 달성되었는가를 따져야 한다.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관찰법: 인간이해의 기본적인 방법으로 피험자가 누구든지 간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자신이 사실을 직접 관찰하고 기록해 두었다가 자료로 삼는다. 그렇기 때문에 관찰계획을 사전에 면밀하게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법: 통제된 관찰법으로 학생에 의해 사전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순한 관찰과는 다르다. 다른 개인이나 집단과 비교해서 실험할 수 있고, 실험방법은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인과관계)를 증명할 수 있고, 새로운 이론 구성, 가설 검증을 위한 수단으로서 중요한 방법이다.
질문법: 미리 준비한 문제를 질문해서 그 응답에 따라 그 문제에 대한 지식, 이해, 의지, 사고, 태도 등을 알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는 질문지법과 면접법이 있다.
평정법: 개인의 어떤 행동특성에 관한 의견을 객관적으로 수집하는 방법이다. 관찰 또는 면접 등 어떠한 경우에도 손쉽게 교사가 제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 처음에는 미적 가치 문제에만 국한되었으나 현재에는 대중성, 보편성, 간편성으로 인해 응용심리학, 사회심리학 분야에도 이용되고 있다.
사회성 측정법: 집단 내 학습자의 관계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려는 것이다. 학습자들이 하위 집단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왜 이런 집단이 형성되었는지, 학습자는 그 집단에서 어떤 위치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해서 학습자를 지도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사례연구법(사례분석): 개인의 적응곤란이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현재 상황과 관련되는 여러 종류의 항목을 조사해서 그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방법을 찾는 것이다.
참고자료:
교육의 이해, 허정무 외 3인, 학지사
교육학개론, 이명기 외 11인, 학지사
'교육학&수학교육 > 교육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학개론] 7. 교육심리(3: 학습) (0) | 2019.09.05 |
---|---|
[교육학개론] 6. 교육심리(2: 발달) (0) | 2019.09.04 |
[교육학개론] 4. 교육철학 (0) | 2019.09.01 |
[교육학개론] 3. 교육사 (0) | 2019.08.27 |
[교육학개론] 2. 교육의 형태, 가능성과 한계 (0) | 2019.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