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학개론] 1. 교육의 개념, 어원, 정의, 구성요소



교육종사자 또는 교육관련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교육"이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알아야 한다. 교육의 정의는 대개 기능적 정의, 목적론적(규범)적 정의, 조작적 정의 이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교육의 어원


다음은 맹자의 진심장(盡心章) 상편에 있는 문장이다.


孟子曰 君子有三樂이 而王天下不與存焉이니라. 父母俱存하고 兄弟無故이 一樂也요, 仰不憁於天하여 俯作於人이 二樂也요, 得天下英才而敎育三樂也니 君子有三樂이 而王天下不與存焉이니라.

(군자에게 세가지 즐거움은 첫째, 부모가 건강하고 형제가 아무 사고 없는것, 둘째, 행하는 바가 공명정대하여 위로는 하늘에 대해 부끄러울 것이 없고, 아래로는 사람에 대해서도 부끄러운 일이 없는것, 셋째, 천하의 영재를 모아 인재를 교육하는 것이다.)


이것은 군자(君者)에게 있는 세 가지 즐거움을 설명한 것이고 여기서 '敎(가르칠 교)'자는 '上所施下所效也(윗사람이 베풀고, 피교육자가 학습한다)'라고, '育(기를 육)'자는 '養子便作善也(자녀를 양성해서 선을 행하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두 단어의 뜻을 정리하면 교육은 성숙자이고 전문적인 입장에 있는 교육자(교사, 성인, 부모)가 좋은 영향으로 가르치고 인도해 나가고, 미성숙자인 피교육자(학생)는 그 뜻을 따르고 본받는다는 것이다.


영어에서의 교육은 'education'인데 이것은 학습자의 잠재성을 '바깥으로(e)+이끌어낸다(deucare)'는 의미를 지닌 라틴어 '에두카레(educare)'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단어의 의미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신체적 또는 정신적 발전가능한 잠재력을 끌어내 향상 발전시키는 것을 뜻한다.


기능적 정


교육의 기능적 정의는 "교육을 무엇을 위한 수단으로 규정하는가"에 대한 견해로 교육이 공헌하는 초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교육이 정치, 경제, 사회 등 국가발전에 어떻게 공헌하는가에 따라 수많은 기능적 정의가 가능하다.

그러나 교육의 도구적 가치를 중시하여 기능적으로 정의할 경우 교육의 본질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를 등한시하게 될 수 있다.


목적론(규범)적 정의


교육의 목적론(규범)적 정의는 교육을 그 궁극적인 목적과 결부한다. 이 정의는 기능적 적의와 대조적이고 교육의 목적적 가치 실현을 위한 교육 자체의 발전에 더 비중을 두는 입장이다. 이 정의에 의하면 교육은 민주적 인격의 계발과정 또는 어떤 영원한 진리, 가치로의 지향 또는 접근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목적론적 정의는 교육의 목적적 가치 실현을 위한 교육 자체의 발전에 더 비중을 둔다. 

다음은 교육의 개념을 교육 그 자체에 내재하고 있는 의미를 중심으로 피터스(Peters)가 정의한 것이다. 교육의 개념적 실체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세 가지 준거들이다.


규범적 준거: 교육은 사람들에게 가치 있는 일을 전달함으로써 그것에 헌신하도록 한다.

인지적 준거: 교육은 지식, 이해, 지적안목을 배양하는 것이며, 무기력한 지식을 제외하고 있다.

과정적 준거: 교육은 학습자의 의식과 자발성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세뇌, 조건화, 훈련 등은 교육이 아니다.


조작적 정의


교육의 조작적 정의는 정의의 대상이 되는 개념의 내용과 활동의 조건이나 절차 등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인간행동은 교육의 직접 관심이 우선 인간이며, 교육은 인간을 만들고 기른다는 뜻을 함축한다. 

변화는 육성, 조성, 함양, 계발, 교정, 개선, 성숙, 발달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고 계획적이란 (1) 기르고자 하는 인간행동에 관한 명확한 설정, 의식이 있는것, (2) 그것을 기를 수 있는 이론과 실증의 뒷받침이 있는 계획과 과정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육은 궁극적으로 개인의 인격 완성과 자아실현을 도모하며, 국가, 사회발전을 촉진하도록 인간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그러나 잠재적 교육과정과 같은 교육은 제외하게 되기 때문에 교육의 개념을 협소하게 규정한다는 단점이 있다. 


교육의 본질적 기능 


문화의 계승 및 발전으로서의 교육: 교육은 인류가 수천년의 역사를 통해 축적한 다양한 영역의 문화유산을 다음 세대에 계승과 유지를 하게 하며 창의적 활동을 통해 가치지향적으로 발전과 확장을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교육은 문화의 번식이고 이 문화의 번식이 교육의 본질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문화를 계승하여 창조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활동을 의미하고, 이러한 문화, 전통을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사회화로서의 교육: 교육은 사회의 구성원이 소속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게 하고, 창의적인 참가를 통해 새로운 가치, 체제, 문화의 창출을 도모하는 사회혁신을 위한 기반 조성의 능력을 갖게 한다. 즉 교육은 사회의 존속, 발전을 위한 개혁의 수단이다(페스탈로치).


이상적 자아실현으로서의 교육: 인간은 현실적 자아에 만족하지 않고 이상적 자아를 추구하는 존재로 출생하면서 교육에 의해 생리, 심리, 정신적으로 성장 및 발달한다.


인재 양성으로서의 교육: 교육은 무형의 문화의 발전을 도움으로써 국가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국가가 발전하는 데는 과거에는 물질적 자원이 필요했으나 현재는 그것들을 다룰 수 있는 인간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육을 통해 인적자원개발에 주력한다.

그러나 물질적으로 부강해도 국민의 정신적, 도덕적 문화가 타락하면 그 국가는 장차 쇠퇴할 것이기 때문에 정신문화의 개발 또한 필요하다.


교육의 구성요소


교육의 활동은 교사와 학생, 이 둘을 매개하는 교육내용을 포함한다. 이 중 하나라도 없으면 교육활동이 아니기 때문에 교사, 학생, 교육내용을 교육의 3요소라고 한다.


교육자: 과거 교사는 교육의 주체로 '교육하는 자'로 인식되었으나 오늘날은 교육자의 도움자, 안내자, 조력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인간의 탐구자: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인간의 형성이다. 그러므로 교육자가 먼저 인간이 되어야 하고, 항상 '인간이란 무엇인가', '이상적인 인간상은 어떤 인간인가'라는 질문속에서 살아야 한다.

문화, 역사의 연구자: 교육자는 현대사회와 생성된 문화와 역사를 이해해야 하고 과거의 문화와 역사를 재인식하고 새로운 세계사의 창조에 참여해야 한다.


-진리의 탐구자: 인간은 진리를 추구하며 살아야 한다. 따라서 교육자는 진리를 추구하는 철학자, 과학자이며 진리의 구현자, 실천가가 되어야 한다.


-사랑의 자각자: 인간애는 진리애, 곧 교육애이기 때문에 피교육자(학생)를 사랑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교육자의 사랑은 단순한 애정인 에로스(eros)가 아니라 종합적인 사랑인 아가페(agape)이어야 한다.


-교육전문가: 교육은 피교육자의 내적 생명의 성장, 발달에 따르고 협력하고 봉사하는 기술이고, 이 기술은 인간의 생명 또는 정신에 작용하는 대인적 기술 또는 협력적 기술이므로 따라서 고도의 전문성을 지닌 기술이어야 한다.


-예술가: 끊임없는 교육실천과 창작활동, 이상, 새로운 계획을 실천하는 노력과 태도는 하나의 예술활동이다. 교육자는 피교육자를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이끄는 예술가이다.


-실천가: 실천 없는 교육은 존재할 수 없고, 행동력이 약한 교육자는 교육자가 아니므로 교육자는 이상가이면서 현실가이어야 한다.    


학습자: 과거 학습자(학생)는 수동적인 피교육자였으나 오늘날은 보다 훌륭하게 성장할 수 있고, 적즉적인 학습자로 본다. 학습자는 미숙한 신체와 정신, 지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가능한 소질과 능력을 가진 존재이므로 이러한 가능성과 싹은 자극을 가해서 개발하고 성장시켜야 한다. 


교육내용: 교육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교육자는 학습자에게 무엇을 가르칠 지, 학습자는 무업을 배울 것인가를 생각할 때, 그 대상이 곧 교육의 내용이다. 이때 교육내용은 가치가 있는 인류 문화유산과 생활경험이다.


*인간의 신체 또는 정신이 교육에 의해 변화되며, 보다 완전하게 되어 가는 것을 도야(陶冶)라고 한다


참고자료:

교육의 이해, 허정무 외 3인, 학지사

교육학개론, 이명기 외 11인, 학지사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