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반응형

2006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14번, 2009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2차 2교시 4번



2006학년도 14번 문제:

실수 집합을 R이라 하자.  n차 다항식 xn이 주어질 때, 함수 f:[0,1]R가 연속이면 다음 식을 만족하는 c[0,1]가 존재함을 보이시오.(n+1)10f(x)xndx=f(c)풀이: f[0,1]에서 연속이므로 최대, 최소정리에 의해 최댓값 M과 최솟값 m을 갖는다. 즉 모든 x[0,1]에 대해 mf(x)M이다.

그러면 모든 x[0,1]에 대해mxnf(x)xnMxn이고 이 부등식의 각 변들을 [0,1]에서 적분하면mn+1=10mxndx10f(x)xndx10Mxndx=Mn+1이며m(n+1)10f(x)xndxM이다. 그러면 중간값(사이값) 정리에 의해 (n+1)10f(x)xndx=f(c)c[0,1]가 존재한다.


2009학년도 2차 2교시 4번 문제:

다음 (가), (나), (다)를 아래의 <조건>에 따라 각각 증명하고, (가)와 (나)의 의미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그리고 (다)와 관련된 다음 명제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정의된 함수 f:RRC급 함수이고 유계(bounded)이면 상수함수이다.'


가 성립하면 그 이유를 설명하고, 성립하지 않으면 반례를 제시하시오.

 

(가) 실수 전체의 집합 R의 두 원소 a,b (단, a<b)에 대하여, 닫힌 구간 I=[a,b]에서 R로의 두 함수 f,g가 연속이고, 모든 xI에 대하여 g(x)>0이라고 하자. 그러면baf(x)g(x)dx=f(c)bag(x)dx를 만족하는 cI가 존재한다.


(나) 복소평면 C에 있는 중심이 z0이고 반지름이 r(>0)인 닫힌 원판 B={zC||zz0|r}에서 정의된 함수 f:BC가 해석적(analytic)이면 f(z0)=12π2π0f(z0+reiθ)dθ이다.


(다) 복소평면 C에서 정의된 함수 f:CCC에서 해석적이고 유계이면 상수함수이다.   

   

                                                                        <조 건>

(가), (나), (다)를 증명할 때, 각 증명에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을 사용하시오.

-최대, 최소의 정리

-중간값(사이값)의 정리

-코시(Cauchy)의 적분공식


                                                                        <참 고>

함수 f:RRC급 함수라는 것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R에서 n계도함수 f(n)이 존재하고 f(n)이 연속임을 뜻한다.

풀이: 

(가): 함수 fI에서 연속이므로 최대, 최소의 정리에 의해 최댓값 M과 최솟값 m을 갖는다. 즉 모든 xI에 대하여 mf(x)M이다. 연속함수 g는 모든 xI에 대하여 g(x)>0이므로 모든 xI에 대하여mg(x)f(x)g(x)Mg(x)이고 이 부등식의 각 변들을 구간 I에서 적분하면mbag(x)dxbaf(x)g(x)dxMbag(x)dx이다. bag(x)dx>0이므로 위의 식을 bag(x)dx로 나누면mbaf(x)g(x)dxbag(x)dxM이고 중간값(사이값)의 정리에 의해baf(x)g(x)dxbag(x)dx=f(c)를 만족하는 cI가 존재한다. 따라서baf(x)g(x)dx=f(c)bag(x)dx를 만족하는 cI가 존재한다.

(나): 함수 f는 닫힌원판 B={zC||zz0|r}에서 해석적이므로 코시 적분공식에 의해f(z0)=12πiBf(z)zz0dz이고 여기서 B는 닫힌원판 B의 경계이다.B:z=z0+reiθ(0θ2π)이므로f(z0)=12πiBf(z)zz0dz=12πi2π0f(z0+reiθ)reiθireiθdθ=12π2π0f(z0+reiθ)dθ이다.

(다): 임의의 z0C에 대해 닫힌원판 B={zC||zz0|r}r일 때 복소평면 전체인 C가 된다. 함수 fC에서 유계이므로 M>0이 존재해서 모든 zC에 대해 |f(z)|M이다. 또한 fC에서 해석적이므로 코시 적분공식에 의해f(z0)=12πiBf(z)(zz0)2dz이고 여기서 BB의 경계이다. 그러면|f(z0)|=|12πiBf(z)(zz0)2dz|12πC|f(z)(zz0)2|dz12π(2πr)Mr2=Mr이고 limrMr=0이므로 |f(z0)|=0이고 f(z0)=0이다. z0C상의 임의의 점이므로 모든 zC에 대하여 f(z)=0이고 따라서 f는 상수함수이다. 

(가)와 (나)의 의미: (가)는 실수함수에 대한 적분에 관한 평균값 정리, (나)는 복소함수에 대한 적분에 관한 평균값 정리이다.

명제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정의된 함수 f:RRC급 함수이고 유계이면 상수함수이다'는 거짓이다. 그 반례로 함수 f(x)=sinxC급 함수이고 모든 xR에 대하여 |f(x)|=|sinx|1이므로 유계이지만 상수함수가 아니다.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