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전역학] 15. 변분법(2)



\(x\)의 함수가 아닌 함수 \(\displaystyle\frac{\partial f}{\partial x}=0\)에 대한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오일러 방정식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begin{align*}\frac{df}{dx}&=\frac{d}{dx}f(y,\,y';\,x)\\&=\frac{\partial f}{\partial y}\frac{dy}{dx}+\frac{\partial f}{\partial y'}\frac{dy'}{dx}+\frac{\partial y}{\partial x}\\&=y'\frac{\partial f}{\partial y}+y''\frac{\partial f}{\partial y'}+\frac{\partial f}{\partial x}\end{align*}$$이고$$\begin{align*}\frac{d}{dx}\left(y'\frac{\partial f}{\partial y'}\right)&=y''\frac{\partial f}{\partial y'}+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frac{df}{dx}-\frac{\partial f}{\partial x}-y'\frac{\partial f}{\partial y}+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end{align*}$$이며 이때 오일러 방정식에 의해 \(\displaystyle\frac{\partial f}{\partial 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0\)이므로$$\frac{\partial f}{\partial x}-\frac{d}{dx}\left(f-y'\frac{\partial f}{\partial y'}\right)=0$$을 얻는다. 이 방정식을 오일러 방정식의 제 2의 형태(second form of Euler equation)라고 하고 \(\displaystyle\frac{\partial f}{\partial x}=0\)인 경우에 유용하다. 

실제 역학에서는 \(f=f(y_{i}(x),\,y_{i}'(x);\,x)\,(i=1,\,2,\,\cdots,\,n)\)인 경우가 많다. 이전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y_{i}(\alpha,\,x)=y_{i}(0,\,x)+\alpha\eta_{i}(x)\)를 이용하면$$\frac{\partial J}{\partial\alpha}=\int_{x_{1}}^{x_{2}}{\sum_{i}{\left(\frac{\partial f}{\partial y_{i}}-\frac{d}{dx}\frac{\partial f}{\partial y_{i}'}\right)\eta_{i}(x)}dx}$$을 얻고 \(\eta_{i}(x)\)들은 서로 독립이므로 \(\displaystyle\frac{\partial J}{\partial\alpha}|_{\alpha=0}=0\)이 되려면$$\frac{\partial f}{\partial y_{i}}-\frac{d}{dx}\frac{\partial f}{\partial y_{i}'}=0$$이어야 한다.

어떤 곡면 위의 두 점 사이의 최소경로를 구하는 데에는 위의 조건말고도 곡면의 식 \(g(y_{i};\,x)=0\)을 만족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방정식 \(g(y_{i};\,x)=0\)을 구속조건식(equations of constraint)이라고 한다.$$f=f(y_{i},\,y_{i}';\,x)=f(y,\,y',\,z,\,z';\,x)$$인 경우$$\frac{\partial J}{\partial\alpha}=\int_{x_{1}}^{x_{2}}{\left\{\left(\frac{\partial f}{\partial 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right)\frac{\partial y}{\partial\alpha}+\left(\frac{\partial f}{\partial z}-\frac{d}{dx}\frac{\partial f}{\partial z'}\right)\frac{\partial z}{\partial\alpha}\right\}dx}$$이고. 구속조건식 \(g(y_{i};\,x)=g(y,\,z;\,x)=0\)이 있을 때 \(\displaystyle dg=\left(\frac{\partial g}{\partial y}\frac{\partial y}{\partial\alpha}+\frac{\partial g}{\partial z}\frac{\partial z}{\partial\alpha}\right)d\alpha=0\)이고 \(\displaystyle\frac{\partial x}{\partial\alpha}=0\)이므로$$\begin{cases}y(\alpha,\,x)=y(x)+\alpha\eta_{1}(x)\\z(\alpha,\,x)=z(x)+\alpha\eta_{2}(x)\end{cases}$$라 하고 여기서 \(\displaystyle\frac{\partial y}{\partial\alpha},\,\frac{\partial z}{\partial\alpha}\)를 결정한 다음 식 \(dg=0\)을 이용하면 \(\displaystyle\frac{\partial g}{\partial y}\eta_{1}(x)=-\frac{\partial g}{\partial z}\eta_{2}(x)\)를 얻고$$\begin{align*}\frac{\partial J}{\partial\alpha}&=\int_{x_{1}}^{x_{2}}{\left\{\left(\frac{\partial f}{\partial 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right)\eta_{1}(x)+\left(\frac{\partial f}{\partial z}-\frac{d}{dx}\frac{\partial f}{\partial z'}\right)\eta_{2}(x)\right\}dx}\\&=\int_{x_{1}}^{x_{2}}{\left\{\left(\frac{\partial f}{\partial 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right)-\left(\frac{\partial f}{\partial z}-\frac{d}{dx}\frac{\partial f}{\partial z'}\right)\left(\frac{\partial g}{\partial y}\right)\left(\frac{\partial g}{\partial z}\right)^{-1}\right\}\eta_{1}(x)dx}\end{align*}$$이다. 따라서 \(\alpha=0\)일 때$$\left(\frac{\partial f}{\partial 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right)\left(\frac{\partial g}{\partial y}\right)^{-1}=\left(\frac{\partial f}{\partial z}-\frac{d}{dx}\frac{\partial f}{\partial z'}\right)\left(\frac{\partial g}{\partial z}\right)^{-1}$$를 얻고, \(y,\,z\)모두 \(x\)의 함수이고, 이 식의 좌변, 우변 모두 \(x\)의 함수이므로 이 식을 \(-\lambda(x)\)와 같다고 하면 다음의 연립미분방정식을 얻는다.$$\begin{cases}\displaystyle\frac{\partial f}{\partial 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lambda(x)\frac{\partial g}{\partial y}=0\\ \displaystyle\frac{\partial f}{\partial z}-\frac{d}{dx}\frac{\partial f}{\partial z'}+\lambda(x)\frac{\partial g}{\partial z}=0\end{cases}$$여기서 \(\lambda(x)\)는 라그랑주의 미정 승수(Lagrange undetermined multiplier)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begin{cases}\displaystyle\frac{\partial f}{\partial y_{i}}-\frac{d}{dx}\frac{\partial f}{\partial y_{i}'}+\sum_{i}{\lambda_{i}(x)\frac{\partial g_{j}}{\partial y_{i}}}=0\\g_{j}(y_{i};\,x)=0\end{cases}$$위의 두번째 식(구속조건식)은 \(\displaystyle\sum_{i}{\frac{\partial g_{j}}{\partial y_{i}}dy_{i}}=0\)과 같다. \(i=1,\,2,\,\cdots,\,m\), \(j=1,\,2,\,\cdots,\,n\)이라고 하면 \(m+n\)개의 미지수를 포함하는 \(m\)개의 방정식과 \(n\)개의 구속조건식으로 구성되므로 \(m+n\)개의 미지수에 대해 \(m+n\)개의 방정식이 있게 되어 문제를 풀 수 있다.


아래 그림의 경사면을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는 원판에서

\(y=R\theta\)이므로 구속조건식은 \(g(y,\,\theta)=y-R\theta=0\)이고 \(\displaystyle\frac{\partial g}{\partial y}=1,\,\frac{\partial g}{\partial\theta}=-R\)이다.


구속조건식을 적분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범함수 \(\displaystyle J(y)=\int_{a}^{b}{f(y,\,y';\,x)dx}\)가 극값을 갖게 하는 곡선 \(y=y(x)\)를 찾는 문제는 등주 문제(isoperimetric problem: 둘레의 길이가 주어졌을 때, 최대 넓이를 갖는 경우를 구하는 것)와 같다. 

곡선 \(y(x)\)는 곡선의 길이(\(\ell\))가 고정된 값을 갖는 범함수 \(\displaystyle K(y)=\int_{a}^{b}{g(y,\,y';\,x)dx}\) 뿐만 아니라 경계조건 \(y(a)=A,\,y(b)=B\)의 경계조건을 만족한다. 범함수 \(K\)가 구속조건식이다.

\(y\)가 범함수 \(\displaystyle\int_{a}^{b}{(f+\lambda g)dx}\)의 극값이 되게 하는 상수 \(\lambda\)가 존재하고 \(y(x)\)가 \(y(a)=A,\,y(b)=B,\,K(y)=\ell\)의 구속조건을 가지고 있으면 다음의 미분방정식$$\frac{\partial f}{\partial 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lambda\left(\frac{\partial g}{\partial y}-\frac{d}{dx}\frac{\partial g}{\partial y'}\right)=0$$을 만족한다. 이 문제를 디도 문제(Dido problem)이라고 한다.


점 \((-a,\,0),\,(a,\,0)\)을 지나고 가장 큰 면적을 감싸는 \(x\)축으로 한정된 길이 \(\ell\)의 곡선 \(y(x)\)를 찾는 문제가 있다.

위의 그림에서 \(dA=ydx\)이고 범함수 \(\displaystyle J=\int_{-a}^{a}{ydx}\)가 극값을 갖게 하는 \(y\)를 찾아야 한다. 구속조건식은$$y(-a)=0,\,y(a)=0,\,K=\int{d\ell}=\ell$$이고 \(\displaystyle d\ell=\sqrt{dx^{2}+dy^{2}}=\sqrt{1+(y')^{2}}dx\,\left(y'=\frac{dy}{dx}\right)\)이다. \(\displaystyle K=\int_{-a}^{a}{\sqrt{1+(y')^{2}}dx}=\ell\)이고 \(y=y(x)\), \(g(x)=\sqrt{1+(y')^{2}}\)를 이용하면$$\frac{\partial f}{\partial y}=1,\,\frac{\partial f}{\partial y'}=0,\,\frac{\partial g}{\partial y}=0,\,\frac{\partial g}{\partial y'}=\frac{y'}{\sqrt{1+(y')^{2}}}$$이므로 \(\displaystyle1-\lambda\frac{d}{dx}\frac{y'}{\sqrt{1+(y')^{2}}}=0\)이고 \(\displaystyle\frac{d}{dx}\frac{y'}{\sqrt{1+(y')^{2}}}=\frac{1}{\lambda}\)이므로 \(\displaystyle\frac{\lambda y'}{\sqrt{1+(y')^{2}}}=x-C_{1}\)(\(C_{1}\)은 적분상수)이다. 이 식을 다시 정리하면 \(\displaystyle dy=\pm\frac{(x-C_{1})}{\sqrt{\lambda^{2}-(x-C_{1})^{2}}}dx\)이고 \(y=\mp\sqrt{\lambda^{2}-(x-C_{1})^{2}}+C_{2}\)(\(C_{2}\)는 적분상수)이므로 다음의 원의 방정식을 얻는다.$$(x-C_{1})^{2}+(y-C_{2})^{2}=\lambda^{2}$$최대영역은 \(y=0\)(\(x\)축)으로 분할되는 반원이다. 이 반원에서 \(C_{1}=C_{2}=0\)이고 반지름이 \(a=\lambda\)일 때 원의 중심이 원점에 있고 구속조건에서 \(y(-a)=y(a)=0\)이어야 하므로 반원의 위쪽 둘레길이를 \(\ell\)이라고 하면 \(\ell=a\pi\)이고 \(\displaystyle a=\frac{\ell}{\pi}\)이다.


변분법에서 지금까지$$\frac{\partial J}{\partial\alpha}d\alpha=\int_{x_{1}}^{x_{2}}{\left(\frac{\partial f}{\partial 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right)\frac{\partial f}{\partial y'}\frac{\partial y}{\partial\alpha}d\alpha dx}$$로 나타냈었다. 간단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delta\)를 사용하여$$\delta J=\int_{x_{1}}^{x_{2}}{\left(\frac{\partial f}{\partial 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right)\delta ydx}$$나타낸다. 여기서 \(\displaystyle\delta J=\frac{\partial J}{\partial\alpha}d\alpha\), \(\displaystyle\delta y=\frac{\partial y}{\partial\alpha}d\alpha\)라고 하면 극값을 갖기 위한 조건을\(\displaystyle\delta J=\delta\int_{x_{1}}^{x_{2}}{f(y,\,y';\,x)dx}=0\)으로 나타낼 수 있고$$\begin{align*}\delta J&=\int_{x_{1}}^{x_{2}}{\delta fdx}=\int_{x_{1}}^{x_{2}}{\left(\frac{\partial f}{\partial y}\delta y+\frac{\partial f}{\partial y'}\delta y'\right)dx}\\ \delta y'&=\delta\left(\frac{dy}{dx}\right)=\frac{d}{dx}(\delta y)\end{align*}$$이므로$$\begin{align*}\delta J&=\int_{x_{1}}^{x_{2}}{\left(\frac{\partial f}{\partial y}\delta y+\frac{\partial f}{\partial y'}\frac{d}{dx}(\delta y)\right)dx}\\&=\int_{x_{1}}^{x_{2}}{\left(\frac{\partial f}{\partial y}-\frac{d}{dy}\frac{\partial f}{\partial y'}\right)\delta ydx}\end{align*}$$이다. 변분 \(\delta y\)는 임의로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극값을 갖기 위한 조건 \(\delta J=0\)에 의해 피적분 함수는 \(0\)이 되고 오일러 방정식 \(\displaystyle\frac{\partial f}{\partial y}-\frac{d}{dx}\frac{\partial f}{\partial y'}=0\)을 얻는다.


\(\delta\)기호는 정확한 미분량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고 \(\delta y\)는 물리적으로 모든 힘과 구속, 모순이 없는 실질적인 경로로부터의 가상 변위이고 \(dt=0\)(시간이 고정되어있다는 조건)이므로 실제의 미분변위 \(dy\)와 구별된다.(아래 그림 참고)


참고자료:

Classical Dynamics of Particles and Systems 5th edition, Thornton, Marion, Cengage Learning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