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7. 편각원리, 루셰 정리



함수 \(f\)가 극점을 제외하고 영역 \(D\)에서 해석적이면, \(f\)를 \(D\)에서의 유리형 함수(meromorphic function)라고 한다.

\(f\)가 아래 그림의 양의 방향의 단순닫힌경로 \(C\)의 내부에서 유리형 함수이고 \(C\)에서 해석적이고 \(0\)이 아니라고 하자. \(C\)의 변환 \(w=f(z)\)에 의한 상 \(\Gamma\)는 일반적으로 단순곡선이 아니지만 닫힌경로이고 \(f\)가 \(C\)에서 \(0\)이 아니므로 \(w\)평면의 원점을 지나지 않는다.

\(w_{0}=f(z_{o}),\,w=f(z)\), \(\phi_{0}\)를 \(\text{arg}w_{0}\)의 값들 중 하나라고 하자. 그러면 점 \(w\)가 \(w_{0}\)에서 출발해 \(w=f(z)\)에 의해 결정되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w_{0}\)로 되돌아오면 \(\text{arg}w\)는 \(\text{arg}w_{0}\)의 특정한 값을 갖고 이 값을 \(\phi_{1}\)이라고 하면 \(w\)가 \(w_{0}\)에서 한 바퀴 회전할 때 \(\text{arg}w\)는 \(\phi_{1}-\phi_{0}\)만큼 변한다. \(\phi_{1}-\phi_{0}\)은 점 \(z\)가 \(z_{0}\)에서 출발해서 \(C\)의 양의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할 때 \(f(z)\)의 편각의 변화이고 \(\Delta_{C}\text{arg}f(z)=\phi_{1}-\phi_{0}\)로 나타낸다. 이때 \(\Delta_{C}\text{arg}f(z)\)는 \(2\pi\)의 정수배이고, 따라서 \(\displaystyle\frac{1}{2\pi}\Delta_{C}\text{arg}f(z)\)는 정수이고 이 정수는 점 \(w\)가 \(w\)평면에서 원점둘레를 회전한 회수이므로 원점 \(w=0\)에 대한 \(\Gamma\)의 회전수(winding number)라고 한다.

\(\Gamma\)가 원점둘레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수는 양수이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수는 음수이며, \(\Gamma\)가 원점을 둘러싸지 않으면 회전수는 \(0\)이다.

회전수는 \(C\)내부에 있는 \(f\)의 영점과 극점의 개수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극점의 개수는 항상 유한하고 \(f(z)\)가 \(C\)내부의 다른 모든 점에서 항상 \(0\)이 아니면 \(f\)의 영점과 그 차수는 항상 유한하다.


편각원리(argument principle)

(1) \(f(z)\)는 양의 방향의 단순닫힌경로 \(C\)의 내부에서 유리형 함수이다.

(2) \(f(z)\)는 \(C\)에서 해석적이고 \(0\)이 아니다.

(3)\(C\)의 내부에서 \(f\)의 영점이 \(Z\)개, 극점이 \(P\)개 있다고 하자(점 \(z_{0}\)가 \(f\)의 \(m_{0}\)차 영점이면 \(z_{0}\)에 \(m_{0}\)개의 영점이 있고, \(z_{0}\)이 \(f\)의 \(m_{p}\)차 극점이면 \(z_{0}\)에 \(m_{p}\)개의 극점이 있다고 한다).

그러면 \(\displaystyle\frac{1}{2\pi}\Delta_{C}\text{arg}f(z)=Z-P\)이다.

증명: \(C:\,z=z(t)\,(a\leq t\leq b)\)라고 하면 \(\displaystyle\int_{C}{\frac{f'(z)}{f(z)}dz}=\int_{a}^{b}{\frac{f'(z(t))z'(t)}{f(z(t))}dt}\)이고 \(w=f(z)\)에 의한 \(C\)의 상 \(\Gamma\)는 원점을 지나지 않으므로 \(w=\rho(t)e^{i\phi(t)}\,(a\leq t\leq b)\)로 나타낼 수 있고 경로 \(\Gamma\)의 매끄러운 호에서$$f'(z(t))z'(t)=\frac{d}{dt}f(z(t))=\frac{d}{dt}\left\{\rho(t)e^{i\phi(t)}\right\}=\rho'(t)e^{i\phi(t)}+i\rho(t)e^{i\phi(t)}\phi'(t)$$이고 \(\rho'(t)\)와 \(\phi'(t)\)는 \(a\leq t\leq b\)에서 조각연속이므로 \(\displaystyle\int_{C}{\frac{f'(z)}{f(z)}dz}=\int_{a}^{b}{\frac{\rho'(t)}{\rho(t)}dt}+i\int_{a}^{b}{\phi'(t)dt}\)이며 \(\rho(b)=\rho(a)\), \(\phi(b)-\phi(a)=\Delta_{C}\text{arg}f(z)\)이므로 \(\displaystyle\int_{C}{\frac{f'(z)}{f(z)}dz}=i\Delta_{C}\text{arg}f(z)\)이다.

한편 \(z_{0}\)가 \(f\)의 \(m_{0}\)차 영점이면 \(z_{0}\)에서 해석적이고 \(0\)이 아닌 해석함수 \(g(z)\)가 존재해서 \(f(z)=(z-z_{0})^{m_{0}}g(z)\)이고 \(f'(z_{0})=m_{0}(z-z_{0})^{m_{0}-1}g(z)+(z-z_{0})^{m_{0}}g'(z)\)이므로 \(\displaystyle\frac{f'(z)}{f(z)}=\frac{m_{0}}{z-z_{0}}+\frac{g'(z)}{g(z)}\)이다. 그러면 \(z=z_{0}\)에서 \(\displaystyle\frac{f'(z)}{f(z)}\)의 유수는 \(m_{0}\)이다.

이와 비슷하게 \(z_{0}\)가 \(f\)의 \(m_{p}\)차 극이면, \(z=z_{0}\)에서 \(\displaystyle\frac{f'(z)}{f(z)}\)의 유수는 \(-m_{p}\)이다.

그러므로 유수정리로부터 \(\displaystyle\int_{C}{\frac{f'(z)}{f(z)}dz}=2\pi i(Z-P)\)이다.

결과를 종합하여 \(\displaystyle\frac{1}{2\pi i}\Delta_{C}\text{arg}f(z)=Z-P\)를 얻는다.


\(z=0\)은 복소함수 \(\displaystyle\frac{1}{z^{2}}\)의 2차 극이다. \(C\)를 양의 방향의 단위원이라고 하면 이 복소함수는 단위원에서 해석적이고 \(0\)이 아니므로 편각원리로부터 \(\displaystyle\frac{1}{2\pi}\Delta_{C}\text{arg}\frac{1}{z^{2}}=-2\)이다.


루셰 정리(Rouche's theorem)

\(C\)를 단순 닫힌 경로라고 하고

(1) \(f(z),\,g(z)\)모두 \(C\)와 그 내부에서 해석적이다.

(2) \(z\in C\)에 대하여 \(|f(z)|>|g(z)|\)이다.

그러면 \(C\)의 내부에서 \(f(z)\)와 \(f(z)+g(z)\)의 영점의 개수는 서로 같다.

증명: \(h(z)=f(z)+g(z)\)라고 하자. 그러면 \(z\in C\)에 대하여 \(|f(z)|>|f(z)-h(z)|\)이고 \(\displaystyle k(z)=\frac{h(z)}{f(z)}\)라고 하면$$\frac{k'(z)}{k(z)}=\frac{f(z)}{h(z)}\cdot\frac{h'(z)f(z)-h(z)f'(z)}{\{f(z)\}^{2}}=\frac{h'(z)}{h(z)}-\frac{f'(z)}{f(z)}$$이고 \(C:\,z=z(t)\,(a\leq t\leq b)\)라고 하면$$\int_{C}{\frac{h'(z)}{h(z)}dz}-\int_{C}{\frac{f'(z)}{f(z)}dz}=\int_{C}{\frac{k'(z)}{k(z)}dz}=\int_{a}^{b}{\frac{k'(z(t))}{k(z(t))}z'(t)dt}=\int_{k[C]}{\frac{1}{z}dz}$$이다. \(\displaystyle|k(z(t))-1|=\left|\frac{h(z(t))}{f(z(t))}-1\right|<1\)이므로 곡선 \(k[C]\)는 원판 \(|z-1|<1\)위에 있고, 이 원판에서 \(\displaystyle\frac{1}{z}\)가 해석적이므로 \(\displaystyle\int_{C}{\frac{h'(z)}{h(z)}dz}-\int_{C}{\frac{f'(z)}{f(z)}dz}=\int_{k[C]}{\frac{1}{z}dz}=0\)이고 \(\displaystyle\int_{C}{\frac{h'(z)}{h(z)}}dz=\int_{C}{\frac{f'(z)}{f(z)}dz}\)이므로 편각원리의 증명과정으로부터 \(f(z)\)와 \(h(z)=f(z)+g(z)\)의 영점의 수는 같다.


원 \(|z|=1\)의 내부에 속한 방정식 \(z^{7}-4z^{3}+z-1=0\)의 근의 개수를 구하자.

\(f(z)=-4z^{3},\,g(z)=z^{7}+z-1\)이라고 하면 \(|z|=1\)일 때 \(|f(z)|=4|z|^{3}=4\), \(|g(z)|\leq|z|^{7}+|z|+1=3\)이므로 이 두 함수는 루셰 정리의 가정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원 \(|z|=1\)의 내부에 방정식 \(f(z)=0\)의 근의 개수가 \(3\)이므로 \(f(z)+g(z)=z^{7}-4z^{3}+z-1=0\)의 근의 개수도 \(3\)이다.


루셰 정리를 이용하여 대수학의 기본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 \(n\,(n\geq1)\)차 다항함수 \(P(z)=a_{n}z^{n}+a_{n-1}z^{n-1}+\cdots+a_{1}z+a_{0}\,(a_{n}\neq0)\)에 대하여 \(f(z)=a_{n}z^{n}\), \(g(z)=a_{n-1}z^{n-1}+\cdots+a_{1}z+a_{0}\)라고 하자. 

\(|z|>1\)이면$$\begin{align*}\left|\frac{g(z)}{f(z)}\right|&\leq\frac{(|a_{0}|+|a_{1}|+\cdots+|z_{n-1}|)|z|^{n-1}}{|a_{n}||z|^{n}}\\&=\frac{|a_{0}|+|a_{1}|+\cdots+|a_{n-1}|}{|a_{n}||z|}\end{align*}$$이다. \(\displaystyle R=\max\left\{1,\,\frac{|a_{0}|+|a_{1}|+\cdots+|a_{n-1}|}{|a_{n}|}\right\}\)라고 하면 \(|z|>R\)일 때 \(\displaystyle\left|\frac{g(z)}{f(z)}\right|<1\)이므로 \(|z|>R\)일 때 \(|f(z)|>|g(z)|\)이고 루셰 정리에 의해 \(C: |z|=R\)의 내부에서 \(f(z)\)와 \(f(z)+g(z)\)의 영점의 개수는 같다. 따라서 \(P(z)\)는 \(n\)개의 영점을 갖는다.


원환 \(1\leq|z|<2\)위에서 방정식 \(2z^{5}-6z^{2}+z+1=0\)의 해의 개수를 구하자. 이 경우는 \(|z|=2\)인 경우에 구한 해의 개수를 \(|z|=1\)인 경우에 구한 해의 개수로 빼주면 된다.

\(|z|=2\)일 때 \(f(z)=2z^{5}\), \(g(z)=-6z^{2}+z+1\)라고 하면 \(|f(z)|=2|z|^{5}=2^{6}=64\), \(|g(z)|=|-6z^{2}+z+1|\leq6|z|^{2}+|z|+1=24+2+1=27\)이므로 \(|f(z)|>|g(z)|\)이고 \(|z|=2\)일 때 방정식 \(f(z)=0\)의 해의 개수가 \(5\)이므로 따라서 \(2z^{5}-6z^{2}+z+1=0\)의 해는 \(5\)개 이다.

\(|z|=1\)일 때 \(f(z)=-6z^{2}\), \(g(z)=2z^{5}+z+1\)이라고 하면 \(|f(z)|=6|z|^{2}=6\), \(|g(z)|=|2z^{5}+z+1|\leq2|z|^{5}+|z|+1=4\)이므로 \(|f(z)|>|g(z)|\)이고 \(|z|=1\)일 때 방정식 \(f(z)=0\)의 해의 개수가 \(2\)이므로 따라서 \(2z^{5}-6z^{2}+z+1=0\)의 해는 \(2\)개 이다.

그러므로 원환에서의 방정식의 해의 개수는 \(5-2=3\)이다.


참고자료:

Complex Variables and Applications 8th edition, Brown, Churchill, McGraw-Hill

기초 복소해석, 계승혁, 김영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