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반응형

11. 귀환회로(3: 실제 귀환회로)



*여기에서 β는 귀환양이고, BJT의 전류이득은 hfe이다. 

voltage-series 귀환회로

위의 그림에서 맨 윗쪽 왼쪽 회로가 해석하고자 하는 회로이고, 맨 윗쪽 오른쪽 회로는 왼쪽 회로에서 귀환의 영향을 제거한 회로, 아래의 회로들은 각각 위의 회로에 대한 교류등가회로이다.


위의 회로에서 샘플링 신호 Xo는 저항 Ro의 양단전압인 Vo이고 귀환신호 Xf는 저항 R2의 양단전압 Vf=R2R1+R2Vo이므로 귀환양은 β=VfVo=R2R1+R2이고 Vo=0일 때 R11=R1||R2, Ii=0일 때 R22=R1+R2이다.(아래 그림 참고)


Rp=RD||(R1+R2)||Ro라고 하면 Av=VoVs=gmVgsRpVs=gmRp(Vgs=VgVsource=Vg=Vs)(VsourceVs)이므로 Avf=Av1+βAv=gmRp1R2R1+R2(gmRp)=gmRp1+gmRpR2R1+R2이다.


위의 오른쪽 회로는 위의 왼쪽 회로에서 귀환의 영향을 제거한 회로이고 이 회로에서 β=VfVo=R2R1+R2,Ao=VoVs=AdVdVs=Ad,Avf=Av1+βAv이다.


 위의 회로에서 샘플링 신호 Xo는 저항 RE의 양단전압인 Vo이고 귀환신호 Xf는 저항 RE의 양단전압 Vf이다. Vo=Vf이므로 귀환양은 β=VfVo=1이고 Vo=0일 때 R11=0, Ii=0일 때 R22=RE이다.(아래 그림 참고)

Av=VoVs=hfeIbhieIb=hfeREhie=REre(hie=hfere)이므로 Avf=Av1+βAv=REre1+REre=REre+RE1이다.


위의 왼쪽 증폭기 회로(오른쪽은 왼쪽 증폭기 회로의 교류등가회로)에서 R11=R1||R2, R22=R1+R2이므로 (아래 그림 참고)

Vi=RidRs+Rid+R11Vs=RL||R22ro+RL||R22μVi=RidRs+Rid+(R1||R2)Vs,Vo=RL||(R1+R2)ro+RL||(R1+R2)μVi이므로 Av=VoVs=ViVsVoVi=RL||(R1+R2)ro+RL||(R1+R2)RidRs+Rid+(R1||R2)μ이고 Ri=Rs+Rid+R1||R2,Ro=ro||(R1+R2)||RL이다.

귀환양이 β=VfVo=R1R1+R2이므로 Avf=Av1+βAv, Rif=(1+βAv)Ri, Rin=RifRs, Rof=Ro(1+βAv), Rout=(1Rof1RL)1이다.


current-series 귀환회로


왼쪽의 회로가 해석하고자 하는 회로이고, 오른쪽 회로는 왼쪽 회로의 교류등가회로이다.


위의 회로에서 샘플링 신호 XoIo이고, 피드백 신호 Xf는 저항 RE의 양단전압 Vf=IoRE이므로 귀환양은 β=VfIo=IoREIo=RE이고 Io=0일 때 R11=RE, Ii=0일 때 R22=RE이다.(아래 그림 참고)

Gm=IoVs=hfeIb(hie+RE)Ib=hfehie+RE이므로 둔감도는 D=1+βGm=1+REhfehie+RE=hie+(1+hfe)REhie+RE이고 Gmf=GmD=hfehie+(1+hfe)RE, Ri=RB||(hie+RE), Rif=DRi=hie+(1+hfe)REhie+RE(hie+RE)=hie+(1+hfe)RE, Ro=RC, Rof=DRo=hie+(1+hfe)REhie+RERC이다.


저항 RFIo를 샘플링해서 Vf=IoRF로 귀환시켜서 current-series 구조이다.

(Vs가 증가하면 v가 증가해서 VG2가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VS2G2=VSVG2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면 Io가 증가해서 Vf가 증가하게 되고 v+가 증가하므로 VG2가 증가하게 된다.) 


귀환양은 β=VfIo=RF이고 R11=R22=RF, Vid=RidRs+Rid+RFVi, Vgs2=A1Vid, Io=gm2Vgs2ro2ro2+RL+RF이므로 Gm=IoVi=VidViVgs2VidIoVgs2=A1gm2RidRs+Rid+RFro2ro2+RL+RFA1gm2(RidRs+RF,ro2RL+RF)이다.

Ri=Rs+Rid+RF이고 Ro를 구하기 위해 Vi=0으로 놓고 위 그림의 두 점 D2,D2사이에 전압원 Vx를 연결하고 이때 흐르는 전류를 Ix라고 한다. 그러면 Vi=0이므로 Vid=0이고 Vgs2=A1Vid=0이므로 Ro=VxIx=ro2+RL+RL이다. 

Gmf=A1+βA=A1gm21+A1gm2RF1RF(A1gm2RF1)이고 Rif=(1+βGm)Ri=Rs+Rid+RF+ro2ro2+RL+RFA1gm2RFRidRs+Rid+RF+A1gm2RFRid(ro2RL+RF)Rof=(1+βGm)Ro=ro2+RL+RF+RidRs+Rid+RFA1gm2RFro2ro2+RL+RF+A1gm2RFro2(RidRs+RF)이며

Rin=RifRs=Rid+RF+A1gm2RFRid(1+A1gm2RF)Rid(RidRF), Rout=RofRL=ro2+RF+A1gm2RFro2(1+A1gm2RF)ro2(ro2RF)이다.


current-shunt 귀환회로


위의 회로에서 샘플링 신호 XoIo이고, 피드백 신호 Xf는 저항 R으로 흐르는 전류 If이다. 

If=RER+RE(Io)=RER+RE이므로 귀환양은 β=IfIo=RER+RE이고 Io=0일 때 R11=R+RE, Vi=0일 때 R22=R||RE이다.(아래 그림 참고)

다음의 회로는 앞의 회로에서 귀환 성분을 제거한 회로이고

이 회로의 교류등가회로는 다음과 같다.

Ib1=Rs||(R+RE)Rs||(R+RE)+hie1Is, Ic1=hfe1Ib1, Ib2=Rc1Rc1+Ri2(Ic1)=Rc1Rc1+Ri2Ic1, Ri2=hie+(1+hfe)(RE||R), Ie2=(1+hfe2)Ib2이므로 Ai=IoIs=IC2Is=Ib1IsIc1Ib1Ib2Ic1Ic2Ib2=Rs||(R+RE)Rs||(R+RE)+hie1Rc1Rc1+Ri2hfe1(1+hfe2)이고 둔감도가 D=1+βAi이므로 Aif=AiD(1+RRE)=1β, Avf=VoVs=(Ic2)IsRc2RsIoIsRc2Rs=AifRc2Rs=Rc2βRs이다.


위의 그림에서 왼쪽 회로는 해석하고자 하는 회로이고 오른쪽 회로는 왼쪽 회로에서 귀환 성분을 제거한 회로의 교류등가회로이다.


If=R1R1+R2Io이므로 귀환양은 β=IfIo=R1R1+R2 R11=R1+R2, R22=R1||R2이다.(아래 그림 참고)

Ri=Rs||Rid||(R1+R2), Vgs=VgVs=μV1(R1||R2)Io(Vi=IsRi)이므로 Io=ro2(R1||R2)+ro2gmVgs=gmro2(R1||R2)+ro2{μIsRi(R1||R2)Io}이고 Ai=IoIs=gmro2μRi(R1||R2)+ro21+gmroR1||R2(R1||R2)+ro2=μRiR1||R2R1||R2||ro2R1||R2||ro2+g1m, Ro=ro2+(1+gmro2)(R1||R2)이다.

Rif=Ri1+βA,Rof=(1+βA)이고 Rin=(1Rif1Rs)1,Rout=RofRL=Rof(RL=0)이다.


voltage-shunt 귀환회로


샘플링 하고자 하는 신호 Xo는 출력전압 Vo이고, 피드백 신호 Xf는 저항 R에 흐르는 전류 If이다.

Vo=IfR이므로 귀환양은 β=IfVo=1R, Vo=0일 때 R11=R, Vi=0일 때 R22=R이다.(아래 그림 참고)

아래의 회로는 위 회로의 귀환 성분을 제거한 회로이고

R=Rs||R, Ib=RR+hieIs, Vo=Ic(Rc||R), Ic=hfeIb이므로 Rm=VoIs=Ic(Rc||R)Is=hfeIb(Rc||R)Is=hfe(Rc||R)RR+hie이고 Rmf=Rm1+βRmR=1β, Avf=VoVs=VoIs1Rs=Rmf1RsRRs=1βRs이다.

Ri=Rs||R||hie,Ro=ro||RC||R이므로 Rif=Ri1+βRm,Rof=Ro1+βRm이다.


위 회로에서 Vid=(Rs||RF||Rid)(Is), Vo=(RF||RL)ro+(RF||RL)μVid이므로 Rm=VoIs=VidIsVoVid=μ(Rs||Rid||RF)(RF||RL)ro+(RF||RL), Ri=Rs||Rid||RF,Ro=ro||RF||RL이다.

Vo=IfRF이므로 귀환양은 β=VfIo=1RF이고(아래 그림 참고)

Rmf=Ri1+βRm,Rif=Ri1+βRm, Rof=Ro1+βRm, Avf=VoVs=VoIs1Rs=RmRs이다.   


참고자료: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ory 11th edition, Boylestad, Nashelsky, Pearson

Microelectronic Circuits 7th edition, Sedra, Smith, Oxford

https://slideplayer.com/slide/7530535/

https://slideplayer.com/slide/4519316/

http://www.ee.hacettepe.edu.tr/~usezen/ele315/feedback-2p.pdf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