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0. 귀환회로(2: 귀환 증폭기 회로의 해석)



귀환회로의 입력, 출력저항


이상적인 귀환회로는 어떠한 부하효과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즉 출력단에서 전압을 샘플링(병렬, shunt)하면 귀환회로는 개방회로로 동작하고 전류를 샘플링(직렬, series)하면 단락회로로 동작한다.

입력단으로 전압이 귀환(직렬, series)되면 귀환회로는 이상적인 전압원으로 동작하고 전류가 귀환(병렬, shunt)되면 이상적인 전류원으로 동작한다.


(1) voltage-series feedback 회로


이상적인 회로구조

전압원 \(V_{s}\)의 내부저항을 \(R_{s}=\infty\), 부하저항을 \(R_{L}=\infty\)라고 가정하고 병렬로 \(V_{o}\)를 샘플링하면 \(V_{s}\)에 직렬로 \(V_{f}=\beta V_{o}\)를 제공하고 voltage-series(series-shunt) 구조가 된다.

\(V_{o}=AV_{i}\), \(V_{i}=V_{s}-V_{f},\,V_{f}=\beta V_{o}\)이므로 \(\displaystyle A=\frac{V_{o}}{V_{i}}=A_{v}\)이고 \(V_{s}=V_{i}+V_{f}=V_{i}+\beta V_{o}=V_{i}+\beta AV_{i}=(1+\beta A)V_{i}\)이므로 \(\displaystyle A_{vf}=\frac{V_{o}}{V_{s}}=\frac{AV_{i}}{(1+\beta A)V_{i}}=\frac{A}{1+\beta A}\)이다.

\(V_{s}=(1+\beta A)V_{i}=(1+\beta A)R_{i}I_{i}\)이므로 입력저항은 \(\displaystyle R_{if}=\frac{V_{s}}{I_{i}}=\frac{(1+\beta A)I_{i}R_{i}}{I_{i}}=(1+\beta A)R_{i}=DR_{i}\)(\(D\)는 둔감도)이다. 만약 귀환신호가 직렬(series)로 연결되어 있으면 입력저항 \(R_{if}\)는 증가한다.

출력저항을 구하기 위해 다음 그림처럼 \(V_{s}=0\)으로 설정하고 \(V_{o}\) 위치에 전압원 \(V_{x}\)를 연결하고 흐르는 전류를 \(I_{x}\)라고 하면

\(V_{x}=V_{o}\)이고 \(V_{s}=V_{f}+V_{i}=0\)이므로  \(V_{i}=-V_{f}=-\beta V_{o}\)이고 \(V_{x}=I_{x}R_{o}+AV_{i}=I_{x}R_{o}+A(-\beta V_{x})\)이므로 \((1+\beta A)V_{x}=I_{x}R_{o}\)이고 출력저항은 \(\displaystyle R_{of}=\frac{V_{x}}{I_{x}}=\frac{R_{o}}{1+\beta A}=\frac{R_{o}}{D}\)이다. 만약 출력전압을 병렬(shunt)로 연결되어 있으면(또는 샘플링되어 있으면) 출력저항 \(R_{of}\)는 감소한다.


실제 회로구조


실제 회로는 \(R_{s},\,R_{L}\)을 모두 고려해야 하고, 귀환회로가 보통 저항으로 구성되므로 기본증폭기에 부하효과를 일으켜 \(A,\,R_{i},\,R_{o}\)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위에서 세번째 그림의 저항 \(R_{11}\)은 입력단에서 기본 증폭기에 대한 귀환회로의 부하효과로 (전압 샘플링이 병렬이여서 귀환을 제거하기 위해)귀환회로의 포트 2를 단락하고 포트 1에서 바라본 저항이다. \(R_{22}\)는 출력단에서 기본증폭기에 대한 귀환회로의 부하효과로 (귀환전압이 직렬이여서 귀환을 제거하기 위해)귀환회로의 포트 1을 개방하고 포트 2에서 바라본 저항이다.


다음은 voltage-series 귀환회로의 h-파라미터들을 나타낸 것이다.

위의 2포트 회로에서 \(V_{1}=h_{11}I_{1}+h_{12}V_{2}\), \(I_{2}=h_{21}I_{1}+h_{22}V_{2}=h_{22}V_{2}\)(귀환회로에서는 \(h_{21}=0\)이다)이고 \(\displaystyle h_{11}=\frac{V_{1}}{I_{1}}|_{V_{2}=0}(=R_{11})\)은 출력 단락 시 입력저항, \(\displaystyle h_{12}=\frac{V_{1}}{V_{2}}|_{I_{1}=0}(=\beta)\)는 입력 개방시 출력전압에 대한 입력전압비로 귀환양, \(\displaystyle h_{22}=\frac{I_{2}}{V_{2}}|_{I_{1}=0}\left(=\frac{1}{R_{22}}\right)\)는 입력 개방시 출력 컨덕턴스로 출력저항의 역수이다.

이때 귀환양은 입력 개방 상태(귀환을 제거)에서 \(\displaystyle\beta=\frac{V_{f}}{V_{o}}\)이다.

위 회로에서 개방회로(open loop) 일 때 이득은 \(\displaystyle A=A_{v}=\frac{V_{o}}{V_{i}}\)이고 입력저항은 \(R_{i}\), 출력저항은 \(R_{o}\)이다. 폐회로(closed loop) 일 때 이득이 \(\displaystyle A_{vf}=\frac{V_{o}}{V_{s}}=\frac{A_{v}}{1+\beta A_{v}}\)이므로 입력저항은 \(R_{if}=(1+\beta A_{v})R_{i}\), 출력저항은 \(\displaystyle R_{of}=\frac{R_{o}}{1+\beta A_{v}}\)이다.

귀환 증폭기의 실제 입력저항 \(R_{in}\)은 \(R_{s}\)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R_{in}=R_{if}-R_{s}\)이고 실제 출력저항 \(R_{out}\)은 \(R_{L}\)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displaystyle\frac{1}{R_{of}}=\frac{1}{R_{out}}+\frac{1}{R_{L}}\)이고 \(\displaystyle R_{out}=\left(\frac{1}{R_{of}}-\frac{1}{R_{L}}\right)^{-1}\)이다.


(2) current-shunt feedback 회로


이상적인 회로구조

전류원 \(I_{s}\)의 내부저항을 \(R_{s}=\infty\), 부하저항을 \(R_{L}=0\)으로 가정하고 귀환회로가 기본증폭기의 부하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I_{o}\)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귀환회로의 저항을 \(0\), 직렬로 \(I_{o}\)를 샘플링하면 \(I_{s}\)에 병렬로 \(I_{f}=\beta I_{o}\)를 제공하고 current-shunt(shunt-series) 구조가 된다. 

\(I_{o}=AI_{i}\), \(I_{i}=I_{s}-I_{f}\), \(I_{f}=\beta I_{o}\)이므로 \(\displaystyle A=\frac{I_{o}}{I_{i}}\)이고 \(I_{s}=I_{i}+I_{f}=I_{i}+\beta I_{o}=I_{i}+\beta AI_{i}=(1+\beta A)I_{i}\)이므로 \(\displaystyle A_{if}=\frac{I_{o}}{I_{s}}=\frac{AI_{i}}{(1+\beta A)I_{i}}=\frac{A}{1+\beta A}\)이다.

\(\displaystyle V_{i}=I_{i}R_{i}\), \(I_{s}=(1+\beta A)I_{i}\)이므로 입력저항은 \(\displaystyle R_{if}=\frac{V_{i}}{I_{s}}=\frac{I_{i}R_{i}}{(1+\beta A)I_{i}}=\frac{R_{i}}{1+\beta A}=\frac{R_{i}}{D}\)이다. 만약 귀환신호가 입력에 병렬(shunt)로 연결되어 있으면 입력저항 \(R_{if}\)는 감소한다.

출력저항을 구하기 위해 다음 그림처럼 \(I_{s}=0\)으로 설정하고 \(V_{o}\) 위치에 전압원 \(V_{x}\)를 연결하고 흐르는 전류를 \(I_{x}\)라고 하면

\(I_{x}=I_{o}\)이고 \(I_{s}=I_{i}+I_{f}=0\)이므로 \(I_{i}=-I_{f}=-\beta I_{o}=-\beta I_{x}\)이고 \(\displaystyle I_{x}=AI_{i}+\frac{V_{x}}{R_{o}}=-A\beta I_{x}+\frac{V_{x}}{R_{o}}\)이므로 \(\displaystyle(1+\beta A)I_{x}=\frac{V_{x}}{R_{o}}\)이고 출력저항은 \(\displaystyle R_{of}=\frac{V_{x}}{I_{x}}=(1+\beta A)R_{o}\)이다. 만약 출력전류를 샘플링(직렬연결)하면 출력저항 \(R_{of}\)가 증가한다.


실제 회로구조


실제 회로는 \(R_{s},\,R_{L}\) 모두 고려해야 하고, 귀환회로가 보통 저항으로 구성되므로 기본증폭기에 부하효과를 일으켜 \(A,\,R_{i},\,R_{o}\)에 영향을 미친다.

위 그림에서 저항 \(R_{11}\)은 입력단에서 기본증폭기에 대한 귀환회로의 부하효과로 (전류 샘플링이 직렬이므로 귀환을 제거하기 위해)귀환회로의 포트 2를 개방하고 포트 1에서 바라본 저항이다. 저항 \(R_{22}\)는 출력단에서 기본증폭기에 대한 귀환회로의 부하효과로 (귀환전류가 병렬이므로 귀환을 제거하기 위해)귀환회로의 포트 1을 단락하고 포트 2에서 바라본 저항이다.


다음은 current-shunt 귀환회로의 g-파라미터들을 나타낸 것이다.

위의 2포트 회로에서 \(I_{1}=g_{11}V_{1}+g_{12}I_{2}\), \(V_{2}=g_{21}V_{1}+g_{22}I_{2}=g_{22}I_{2}\)(귀환회로에서 \(g_{21}=0\)이다)이고 \(\displaystyle g_{11}=\frac{I_{1}}{V_{11}}|_{I_{2}=0}\left(=\frac{1}{R_{11}}\right)\), \(\displaystyle g_{22}=\frac{V_{2}}{I_{2}}|_{V_{1}=0}(=R_{22})\), \(\displaystyle g_{12}=\frac{I_{1}}{I_{2}}|_{V_{1}=0}(=\beta)\)이다.

이때 귀환양은 입력 단락 상태(귀환을 제거)에서 \(\displaystyle \beta=\frac{I_{f}}{I_{o}}\)이다.

위 회로에서 개방회로(open loop)일 때 이득은 \(\displaystyle A=A_{i}=\frac{I_{o}}{I_{i}}\)이고 입력저항은 \(R_{i}\), 출력저항은 \(R_{o}\)이다. 폐회로(closed loop)일 때 이득이 \(\displaystyle A_{if}=\frac{I_{o}}{I_{s}}=\frac{A_{i}}{1+\beta A_{i}}\)이므로 입력저항은 \(\displaystyle R_{if}=\frac{R_{i}}{1+\beta A_{i}}\), 출력저항은 \(R_{of}=(1+\beta A_{i})R_{o}\)이다.

귀환 증폭기의 실제 입력저항 \(R_{in}\)은 \(R_{s}\)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displaystyle\frac{1}{R_{if}}=\frac{1}{R_{s}}+\frac{1}{R_{in}}\)이고 \(\displaystyle R_{in}=\left(\frac{1}{R_{if}}-\frac{1}{R_{s}}\right)^{-1}\)이다. 실제 출력저항 \(R_{out}\)은 \(R_{L}\)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R_{out}=R_{of}-R_{L}\)이다.


(3) current-series feedback 회로(series-series)

\(R_{L}=0\)으로 가정하면 \(\displaystyle\beta=\frac{V_{f}}{I_{o}},\,A=G_{m}=\frac{I_{o}}{V_{i}},\,A_{f}=G_{mf}=\frac{G_{m}}{1+\beta G_{m}}\)이므로

\(R_{if}=(1+\beta G_{m})R_{i}\)(series), \(R_{of}=(1+\beta G_{m})R_{o}\)(전류 샘플링), \(R_{in}=R_{if}-R_{s}\), \(R_{out}=R_{of}-R_{L}\)이다.


(4) voltage-shunt feedback 회로

\(R_{L}=\infty\)로 가정하면 \(\displaystyle\beta=\frac{I_{f}}{V_{o}},\,A=R_{m}=\frac{V_{o}}{I_{i}},\,A_{f}=R_{mf}=\frac{R_{m}}{1+\beta R_{m}}\)이므로 

\(\displaystyle R_{if}=\frac{R_{i}}{1+\beta R_{m}}\)(shunt), \(\displaystyle R_{of}=\frac{R_{o}}{1+\beta R_{m}}\)(전압 샘플링), \(\displaystyle R_{in}=\left(\frac{1}{R_{if}}-\frac{1}{R_{s}}\right)^{-1},\,R_{out}=\left(\frac{1}{R_{of}}-\frac{1}{R_{L}}\right)^{-1}\)이다.


귀환 증폭기의 해석순서 및 요약


해석을 하기 이전에 우선 \(A\)와 \(\beta\)를 계산해서 \(A_{f},\,R_{if},\,R_{of}\)를 계산한다.

1. 귀환 회로와 귀환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들을 확인한다.


2. 피드백 구조를 확인한다.

입력 연결의 경우 귀환회로의 소자 중 일부가 입력 루프에 포함되면 직렬연결이고 분로 형태로 연결되면 병렬연결(\(X_{f}\)가 \(V_{s}\)와 직렬연결이면 series, 병렬연결이면 shunt)이다.

출력 연결의 경우 귀환회로의 소자 중 일부가 출력 루프에 포함되면 직렬연결(전류 샘플링)이고 분로 형태로 연결되면 병렬연결(전압 샘플링)이다.(\(X_{o}\)를 \(V_{o}\)의 노드에서 샘플링하면 voltage(shunt) sampling, \(X_{o}\)를 \(V_{o}\)의 루프로부터 샘플링하면 current(series) sampling)


3. 귀환을 제거하고 귀환회로의 부하효과를 고려한 개방루프 기본증폭기를 구한다.

(i) 입력신호를 구성하는데 출력신호 \(X_{o}\)가 샘플링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 구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R_{11}\)을 계산한다.

출력이 voltage sampling(병렬)일 때 \(V_{o}=0\)으로, current sampling(직렬)일 때 \(I_{o}=0\)으로 설정한다.

(ii) 출력회로를 구성하는데 입력회로에서의 귀환신호 \(X_{f}\)를 배제한 상태에서 구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R_{22}\)를 계산한다.

입력이 shunt연결일 때 \(V_{i}=0\)(전류가 합해지는 입력 노드를 접지로 단락)로 설정하고 series연결일 때 \(I_{i}=0\)(전압이 합해지는 입력 귀환 루프를 개방)로 설정한다. 


4. \(X_{f}\)가 전압이면 테브난 전원을, \(X_{f}\)가 전류이면 노턴 전원을 사용한다.

5. 개방회로 증폭기에서 교류등가회로를 이용하여 \(A(A_{v},\,A_{i},\,G_{m},\,R_{m}),\,\beta,\,R_{i},\,R_{o}\)를 구한다.


6. 주어진 귀환증폭기 전체에 대한 폐루프 변수 \(A_{f}(A_{vf},\,A_{if},\,G_{mf},\,R_{mf}),\,R_{if},\,R_{of}\)를 구한다.


 

voltage-series

(series-shunt) 

current-series

(series-series) 

current-shunt

(shunt-series) 

voltage-shunt

(shunt-series) 

귀환 신호 \(X_{f}\)

전압 

전압 

전류 

전류 

샘플링 신호 \(X_{o}\) 

전압 

전류 

전류 

전압 

입력회로 구성시 

\(V_{o}=0\) 

\(I_{o}=0\) 

\(I_{o}=0\) 

\(V_{o}=0\) 

출력회로 구성시 

\(I_{i}=0\) 

\(I_{i}=0\) 

\(V_{i}=0\) 

\(V_{i}=0\) 

신호원 model 

테브난 

테브난 

노턴 

노턴 

\(\displaystyle\beta=\frac{X_{f}}{X_{o}}\) 

\(\displaystyle\frac{V_{f}}{V_{o}}\) 

\(\displaystyle\frac{V_{f}}{I_{o}}\) 

\(\displaystyle\frac{I_{f}}{I_{o}}\) 

\(\displaystyle\frac{I_{f}}{V_{o}}\) 

\(\displaystyle A=\frac{X_{o}}{X_{i}}\)

(\(R_{L}\)을 고려하지 않음) 

\(\displaystyle A_{v}=\frac{V_{o}}{V_{i}}\) 

\(\displaystyle G_{m}=\frac{I_{o}}{V_{i}}\) 

\(\displaystyle A_{i}=\frac{I_{o}}{I_{i}}\) 

\(\displaystyle R_{m}=\frac{V_{o}}{I_{i}}\) 

둔감도 \(D=1+\beta A\) 

\(1+\beta A_{v}\) 

\(1+\beta G_{m}\) 

\(1+\beta A_{i}\) 

\(1+\beta R_{m}\) 

\(A_{f}\) 

\(\displaystyle\frac{A_{v}}{D}\) 

\(\displaystyle\frac{G_{m}}{D}\) 

\(\displaystyle\frac{A_{i}}{D}\) 

\(\displaystyle\frac{R_{m}}{D}\) 

\(R_{if}\) 

\(DR_{i}\) 

\(DR_{i}\) 

\(\displaystyle\frac{R_{i}}{D}\) 

\(\displaystyle\frac{R_{i}}{D}\) 

\(R_{of}\) 

\(\displaystyle\frac{R_{o}}{D}\) 

\(DR_{o}\) 

\(DR_{o}\) 

\(\displaystyle\frac{R_{o}}{D}\) 


참고자료:

Microelectronic Circuits 7th edition, Sedar, Smith, Oxford

http://electricalacademia.com/basic-electrical/hybrid-parameters-two-port-network/

https://slideplayer.com/slide/10546068/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