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귀환회로(2: 귀환 증폭기 회로의 해석)
귀환회로의 입력, 출력저항
이상적인 귀환회로는 어떠한 부하효과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즉 출력단에서 전압을 샘플링(병렬, shunt)하면 귀환회로는 개방회로로 동작하고 전류를 샘플링(직렬, series)하면 단락회로로 동작한다.
입력단으로 전압이 귀환(직렬, series)되면 귀환회로는 이상적인 전압원으로 동작하고 전류가 귀환(병렬, shunt)되면 이상적인 전류원으로 동작한다.
(1) voltage-series feedback 회로
이상적인 회로구조
전압원 Vs의 내부저항을 Rs=∞, 부하저항을 RL=∞라고 가정하고 병렬로 Vo를 샘플링하면 Vs에 직렬로 Vf=βVo를 제공하고 voltage-series(series-shunt) 구조가 된다.
Vo=AVi, Vi=Vs−Vf,Vf=βVo이므로 A=VoVi=Av이고 Vs=Vi+Vf=Vi+βVo=Vi+βAVi=(1+βA)Vi이므로 Avf=VoVs=AVi(1+βA)Vi=A1+βA이다.
Vs=(1+βA)Vi=(1+βA)RiIi이므로 입력저항은 Rif=VsIi=(1+βA)IiRiIi=(1+βA)Ri=DRi(D는 둔감도)이다. 만약 귀환신호가 직렬(series)로 연결되어 있으면 입력저항 Rif는 증가한다.
출력저항을 구하기 위해 다음 그림처럼 Vs=0으로 설정하고 Vo 위치에 전압원 Vx를 연결하고 흐르는 전류를 Ix라고 하면
Vx=Vo이고 Vs=Vf+Vi=0이므로 Vi=−Vf=−βVo이고 Vx=IxRo+AVi=IxRo+A(−βVx)이므로 (1+βA)Vx=IxRo이고 출력저항은 Rof=VxIx=Ro1+βA=RoD이다. 만약 출력전압을 병렬(shunt)로 연결되어 있으면(또는 샘플링되어 있으면) 출력저항 Rof는 감소한다.
실제 회로구조
실제 회로는 Rs,RL을 모두 고려해야 하고, 귀환회로가 보통 저항으로 구성되므로 기본증폭기에 부하효과를 일으켜 A,Ri,Ro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위에서 세번째 그림의 저항 R11은 입력단에서 기본 증폭기에 대한 귀환회로의 부하효과로 (전압 샘플링이 병렬이여서 귀환을 제거하기 위해)귀환회로의 포트 2를 단락하고 포트 1에서 바라본 저항이다. R22는 출력단에서 기본증폭기에 대한 귀환회로의 부하효과로 (귀환전압이 직렬이여서 귀환을 제거하기 위해)귀환회로의 포트 1을 개방하고 포트 2에서 바라본 저항이다.
다음은 voltage-series 귀환회로의 h-파라미터들을 나타낸 것이다.
위의 2포트 회로에서 V1=h11I1+h12V2, I2=h21I1+h22V2=h22V2(귀환회로에서는 h21=0이다)이고 h11=V1I1|V2=0(=R11)은 출력 단락 시 입력저항, h12=V1V2|I1=0(=β)는 입력 개방시 출력전압에 대한 입력전압비로 귀환양, h22=I2V2|I1=0(=1R22)는 입력 개방시 출력 컨덕턴스로 출력저항의 역수이다.
이때 귀환양은 입력 개방 상태(귀환을 제거)에서 β=VfVo이다.
위 회로에서 개방회로(open loop) 일 때 이득은 A=Av=VoVi이고 입력저항은 Ri, 출력저항은 Ro이다. 폐회로(closed loop) 일 때 이득이 Avf=VoVs=Av1+βAv이므로 입력저항은 Rif=(1+βAv)Ri, 출력저항은 Rof=Ro1+βAv이다.
귀환 증폭기의 실제 입력저항 Rin은 Rs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Rin=Rif−Rs이고 실제 출력저항 Rout은 RL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1Rof=1Rout+1RL이고 Rout=(1Rof−1RL)−1이다.
(2) current-shunt feedback 회로
이상적인 회로구조
전류원 Is의 내부저항을 Rs=∞, 부하저항을 RL=0으로 가정하고 귀환회로가 기본증폭기의 부하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Io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귀환회로의 저항을 0, 직렬로 Io를 샘플링하면 Is에 병렬로 If=βIo를 제공하고 current-shunt(shunt-series) 구조가 된다.
Io=AIi, Ii=Is−If, If=βIo이므로 A=IoIi이고 Is=Ii+If=Ii+βIo=Ii+βAIi=(1+βA)Ii이므로 Aif=IoIs=AIi(1+βA)Ii=A1+βA이다.
Vi=IiRi, Is=(1+βA)Ii이므로 입력저항은 Rif=ViIs=IiRi(1+βA)Ii=Ri1+βA=RiD이다. 만약 귀환신호가 입력에 병렬(shunt)로 연결되어 있으면 입력저항 Rif는 감소한다.
출력저항을 구하기 위해 다음 그림처럼 Is=0으로 설정하고 Vo 위치에 전압원 Vx를 연결하고 흐르는 전류를 Ix라고 하면
Ix=Io이고 Is=Ii+If=0이므로 Ii=−If=−βIo=−βIx이고 Ix=AIi+VxRo=−AβIx+VxRo이므로 (1+βA)Ix=VxRo이고 출력저항은 Rof=VxIx=(1+βA)Ro이다. 만약 출력전류를 샘플링(직렬연결)하면 출력저항 Rof가 증가한다.
실제 회로구조
실제 회로는 Rs,RL 모두 고려해야 하고, 귀환회로가 보통 저항으로 구성되므로 기본증폭기에 부하효과를 일으켜 A,Ri,Ro에 영향을 미친다.
위 그림에서 저항 R11은 입력단에서 기본증폭기에 대한 귀환회로의 부하효과로 (전류 샘플링이 직렬이므로 귀환을 제거하기 위해)귀환회로의 포트 2를 개방하고 포트 1에서 바라본 저항이다. 저항 R22는 출력단에서 기본증폭기에 대한 귀환회로의 부하효과로 (귀환전류가 병렬이므로 귀환을 제거하기 위해)귀환회로의 포트 1을 단락하고 포트 2에서 바라본 저항이다.
다음은 current-shunt 귀환회로의 g-파라미터들을 나타낸 것이다.
위의 2포트 회로에서 I1=g11V1+g12I2, V2=g21V1+g22I2=g22I2(귀환회로에서 g21=0이다)이고 g11=I1V11|I2=0(=1R11), g22=V2I2|V1=0(=R22), g12=I1I2|V1=0(=β)이다.
이때 귀환양은 입력 단락 상태(귀환을 제거)에서 β=IfIo이다.
위 회로에서 개방회로(open loop)일 때 이득은 A=Ai=IoIi이고 입력저항은 Ri, 출력저항은 Ro이다. 폐회로(closed loop)일 때 이득이 Aif=IoIs=Ai1+βAi이므로 입력저항은 Rif=Ri1+βAi, 출력저항은 Rof=(1+βAi)Ro이다.
귀환 증폭기의 실제 입력저항 Rin은 Rs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1Rif=1Rs+1Rin이고 Rin=(1Rif−1Rs)−1이다. 실제 출력저항 Rout은 RL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Rout=Rof−RL이다.
(3) current-series feedback 회로(series-series)
RL=0으로 가정하면 β=VfIo,A=Gm=IoVi,Af=Gmf=Gm1+βGm이므로
Rif=(1+βGm)Ri(series), Rof=(1+βGm)Ro(전류 샘플링), Rin=Rif−Rs, Rout=Rof−RL이다.
(4) voltage-shunt feedback 회로
RL=∞로 가정하면 β=IfVo,A=Rm=VoIi,Af=Rmf=Rm1+βRm이므로
Rif=Ri1+βRm(shunt), Rof=Ro1+βRm(전압 샘플링), Rin=(1Rif−1Rs)−1,Rout=(1Rof−1RL)−1이다.
귀환 증폭기의 해석순서 및 요약
해석을 하기 이전에 우선 A와 β를 계산해서 Af,Rif,Rof를 계산한다.
1. 귀환 회로와 귀환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들을 확인한다.
2. 피드백 구조를 확인한다.
입력 연결의 경우 귀환회로의 소자 중 일부가 입력 루프에 포함되면 직렬연결이고 분로 형태로 연결되면 병렬연결(Xf가 Vs와 직렬연결이면 series, 병렬연결이면 shunt)이다.
출력 연결의 경우 귀환회로의 소자 중 일부가 출력 루프에 포함되면 직렬연결(전류 샘플링)이고 분로 형태로 연결되면 병렬연결(전압 샘플링)이다.(Xo를 Vo의 노드에서 샘플링하면 voltage(shunt) sampling, Xo를 Vo의 루프로부터 샘플링하면 current(series) sampling)
3. 귀환을 제거하고 귀환회로의 부하효과를 고려한 개방루프 기본증폭기를 구한다.
(i) 입력신호를 구성하는데 출력신호 Xo가 샘플링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 구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R11을 계산한다.
출력이 voltage sampling(병렬)일 때 Vo=0으로, current sampling(직렬)일 때 Io=0으로 설정한다.
(ii) 출력회로를 구성하는데 입력회로에서의 귀환신호 Xf를 배제한 상태에서 구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R22를 계산한다.
입력이 shunt연결일 때 Vi=0(전류가 합해지는 입력 노드를 접지로 단락)로 설정하고 series연결일 때 Ii=0(전압이 합해지는 입력 귀환 루프를 개방)로 설정한다.
4. Xf가 전압이면 테브난 전원을, Xf가 전류이면 노턴 전원을 사용한다.
5. 개방회로 증폭기에서 교류등가회로를 이용하여 A(Av,Ai,Gm,Rm),β,Ri,Ro를 구한다.
6. 주어진 귀환증폭기 전체에 대한 폐루프 변수 Af(Avf,Aif,Gmf,Rmf),Rif,Rof를 구한다.
|
voltage-series (series-shunt) |
current-series (series-series) |
current-shunt (shunt-series) |
voltage-shunt (shunt-series) |
귀환 신호 Xf |
전압 |
전압 |
전류 |
전류 |
샘플링 신호 Xo |
전압 |
전류 |
전류 |
전압 |
입력회로 구성시 |
Vo=0 |
Io=0 |
Io=0 |
Vo=0 |
출력회로 구성시 |
Ii=0 |
Ii=0 |
Vi=0 |
Vi=0 |
신호원 model |
테브난 |
테브난 |
노턴 |
노턴 |
β=XfXo |
VfVo |
VfIo |
IfIo |
IfVo |
A=XoXi (RL을 고려하지 않음) |
Av=VoVi |
Gm=IoVi |
Ai=IoIi |
Rm=VoIi |
둔감도 D=1+βA |
1+βAv |
1+βGm |
1+βAi |
1+βRm |
Af |
AvD |
GmD |
AiD |
RmD |
Rif |
DRi |
DRi |
RiD |
RiD |
Rof |
RoD |
DRo |
DRo |
RoD |
참고자료:
Microelectronic Circuits 7th edition, Sedar, Smith, Oxford
http://electricalacademia.com/basic-electrical/hybrid-parameters-two-port-network/
https://slideplayer.com/slide/10546068/
'전자공학 > 전자회로(3: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발진기 (0) | 2019.03.19 |
---|---|
11. 귀환회로(3: 실제 귀환회로) (1) | 2019.03.18 |
9. 귀환회로(1: 증폭기의 종류와 귀환 증폭기의 구조) (0) | 2019.03.16 |
8. 선형 디지털 IC(4: 구형파, 삼각파 발생기, 위상동기 루프, 인터페이스 회로) (0) | 2019.03.15 |
7. 선형 디지털 IC(3: 타이머 IC, 전압제어 발진기) (0) | 2019.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