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변수 미적분학] 6. 삼중적분



3차원 공간 \(\mathbb{R}^{3}(=\mathbb{R}\times\mathbb{R}\times\mathbb{R})\)에서의 영역$$B=\{(x,\,y,\,z)\,|\,a\leq x\leq b,\,c\leq y\leq d,\,r\leq z\leq s\}$$에서 정의된 함수 \(f(x,\,y,\,z)\)를 생각하자.

영역 \(B\)를 \(\Delta V=\Delta x\Delta y\Delta z\)인 \(lmn\)개의 부분영역$$B_{ijk}=[x_{i-1},\,x_{i}]\times[y_{j-1},\,y_{j}]\times[z_{k-1},\,z_{k}]$$로 나누자.

이때 임의의 \((x_{ijk}^{*},\,y_{ijk}^{*},\,z_{ijk}^{*})\in B_{ijk}\)에 대하여$$\lim_{l,\,m,\,n\,\rightarrow\,\infty}{\sum_{i=1}^{l}{\sum_{j=1}^{m}{\sum_{k=1}^{n}{f(x_{ijk}^{*},\,y_{ijk}^{*},\,z_{ijk}^{*})\Delta V}}}}$$가 수렴하면, 이 극한값을$$\iiint_{B}{f(x,\,y,\,z)dV}$$로 나타내고, 영역 \(B\)에서의 삼중적분(triple integral)이라고 한다. 이때$$\iiint_{B}{f(x,\,y,\,z)dV}=\lim_{l,\,m,\,n\,\rightarrow\,\infty}{\sum_{i=1}^{l}{\sum_{j=1}^{m}{\sum_{k=1}^{n}{f(x_{ijk}^{*},\,y_{ijk}^{*},\,z_{ijk}^{*})\Delta V}}}}$$이고, \(f\)는 \(B\)에서 적분가능하다고 한다. \(f\)가 \(B\)에서 연속이면, 적분가능하다.


삼중적분에 대한 푸비니 정리:

\(f\)가 영역 \(B=[a,\,b]\times[c,\,d]\times[r,\,s]\)에서 연속이면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iiint_{B}{f(x,\,y,\,\,z)dV}=\int_{r}^{s}{\int_{c}^{d}{\int_{a}^{b}{f(x,\,y,\,z)dxdydz}}}$$적분하는 순서를 바꾸어도 결과는 모두 같다.


직육면체 영역 \(B=[a,\,b]\times[c,\,d]\times[r,\,s]\)내부의 영역 \(E\)에 대하여$$F(x,\,y,\,z)=\begin{cases}f(x,\,y,\,z),&\,((x,\,y,\,z)\in E)\\0,&\,((x,\,y,\,z)\notin E)\end{cases}$$라고 하자. 그러면$$\iiint_{E}{f(x,\,y,\,z)dV}=\iiint_{B}{F(x,\,y,\,z)dV}$$이다.


(1)로 표시된 위의 왼쪽 그림의 영역에서의 삼중적분은$$\iiint_{E}{f(x,\,y,\,z)dV}=\iint_{D}{\int_{u_{1}(x,\,y)}^{u_{2}(x,\,y)}{f(x,\,y,\,z)dz}dA}$$이고, 위 가운데 그림의 영역이면$$\iiint_{E}{f(x,\,y,\,z)dV}=\int_{a}^{b}{\int_{g_{1}(x)}^{g_{2}(x)}{\int_{u_{1}(x,\,y)}^{u_{2}(x,\,y)}{f(x,\,y,\,z)dz}dy}dx}$$위 오른쪽 그림의 영역이면$$\iiint_{E}{f(x,\,y,\,z)dV}=\int_{c}^{d}{\int_{h_{1}(y)}^{h_{2}(y)}{\int_{u_{1}(x,\,y)}^{u_{2}(x,\,y)}{f(x,\,y,\,z)dz}dx}dy}$$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2)로 표시된 영역에서의 삼중적분을$$\iiint_{E}{f(x,\,y,\,z)dV}=\iint_{D}{\int_{u_{1}(y,\,z)}^{u_{2}(y,\,z)}{f(x,\,y,\,z)dx}dA}$$로, (3)으로 표시된 영역에서의 삼중적분을$$\iiint_{E}{f(x,\,y,\,z)dV}=\iint_{D}{\int_{u_{1}(x,\,z)}^{u_{2}(x,\,z)}{f(x,\,y,\,z)dy}dA}$$로 나타낼 수 있다.


원기둥(원주) 좌표계


원기둥(원주) 좌표계(cylindrical coordinate system)는 \(xy\)평면의 극좌표 \((r,\,\theta)\)와 직교좌표 \(z\)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한 점을 \(P(r,\,\theta,\,z)\) 또는 \(P(x,\,y,\,z)\)로 나타내면 다음의 관계를 갖는다.$$x=r\cos\theta,\,y=r\sin\theta,\,z=z,\,r^{2}=x^{2}+y^{2},\,\theta=\tan^{-1}\frac{y}{x}$$


영역 \(E\)가 \(E=\{(x,\,y,\,z)\,|\,(x,\,y)\in D,\,u_{1}(x,\,y)\leq z\leq u_{2}(x,\,y)\}\)이고, \(E\)의 \(xy\)평면으로의 정사영 \(D\)가$$D=\{(r,\,\theta)\,|\,\alpha\leq\theta\leq\beta,\,h_{1}(\theta)\leq r\leq h_{2}(\theta)\}$$라고 하자. 그러면 \(f\)의 영역 \(E\)에서의 삼중적분은 다음과 같다.$$\iiint_{E}{f(x,\,y,\,z)dV}=\int_{\alpha}^{\beta}{\int_{h_{1}(\theta)}^{h_{2}(\theta)}{\int_{u_{1}(r\cos\theta,\,r\sin\theta)}^{u_{2}(r\cos\theta,\,r\sin\theta)}{f(r\cos\theta,\,r\sin\theta,\,z)rdz}dr}d\theta}$$

구면 좌표계


3차원 공간 상의 점 \(P(x,\,y,\,z)\)를 구면 좌표계(spherical coordinate system)의 점 \(P(r,\,\theta,\,\phi)\)로 대응시킬 수 있다.

이때 \(r=\overline{OP}\), \(\theta=\angle P'OX\,(0\leq\theta\leq2\pi)\), \(\phi=\angle OPP'(0\leq\phi\leq\pi)\)이고 구면좌표와 직각좌표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begin{cases}x=r\sin\phi\cos\theta\\y=r\cos\phi\sin\theta\\z=r\cos\phi\end{cases},\,x^{2}+y^{2}+z^{2}=r^{2}$$

\(d\rho,\,d\theta,\,d\phi\)가 각각 \(\rho,\,\theta,\,\phi\)의 증분이면, 이 증분은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dr,\,rd\theta,\,r\sin\theta d\phi\)인 체적소를 결정한다.

증분이 충분히 작으면, 체적소 \(dV\)는 증분 \(d\rho,\,\rho d\phi,\,r\sin\phi d\theta\)가 모서리인 직육면체의 부피와 근사적으로 같게 되므로 구면좌표로 표현된 부피의 미분은 \(dV=\rho^{2}\sin\phi d\rho d\theta d\phi\)이다.

그러면 영역 \(E=\{(\rho,\,\theta,\,\phi)\,|\,a\leq\rho\leq b,\,\alpha\leq\theta\leq\beta,\,c\leq\phi\leq d\}\)에서의 함수 \(f(x,\,y,\,z)\)의 적분은 다음과 같다.$$\iiint_{E}{f(x,\,y,\,z)dV}=\int_{c}^{d}{\int_{\alpha}^{\beta}{\int_{a}^{b}{f(\rho\sin\phi\cos\theta,\,\rho\sin\phi\sin\theta,\,\rho\cos\phi)\rho^{2}\sin\phi d\rho}d\theta}d\phi}$$

참고자료:

미분적분학, 고영상 외 6인, 휴먼싸이언스

Calculus 7th edition, Stewart, Cengage Learning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