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변수 미적분학] 2. 편도함수, 연쇄법칙



함수 \(z=f(x,\,y)\)에서 \(y\)를 상수로 고정해서 \(x\)만의 함수로 생각해 \(x\)로 미분하는 것을 \(f(x,\,y)\)를 \(x\)에 대해 편미분한다고 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f_{x}(x,\,y)=\lim_{\Delta x\,\rightarrow\,0}{\frac{f(x+\Delta x,\,y)-f(x,\,y)}{\Delta x}}$$를 \(f\)의 \(x\)에 대한 편도함수(partial derivative)라고 하고, 일변수 함수에서처럼$$f_{x}(a,\,b)=\lim_{h\,\rightarrow\,0}{\frac{f(a+h,\,b)-f(a,\,b)}{h}}$$를 \((a,\,b)\)에서 \(f\)의 \(x\)에 대한 편미분계수(partial differential coefficient)라고 한다. 또한$$f_{y}(x,\,y)=\lim_{\Delta y\,\rightarrow\,0}{\frac{f(x,\,y+\Delta y)-f(x,\,y)}{\Delta y}}$$를 \(f\)의 \(y\)에 대한 편도함수라고 한다.

편도함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begin{align*}z_{x}&,\,\frac{\partial f}{\partial x},\,\frac{\partial}{\partial x}f(x,\,y),\,f_{x}\\z_{y}&,\,\frac{\partial f}{\partial y},\,\frac{\partial}{\partial y}f(x,\,y),\,f_{y}\end{align*}$$


편도함수의 기하학적 해석:


\(f_{x}(a,\,b)\)는 점 \(P(a,\,b,\,c)\,(c=f(a,\,b))\)를 지나고 \(xz\)평면과 평행인 평면(y=b)으로 곡면 \(z=f(x,\,y)\)의 그래프를 잘라서 생기는 곡선의 점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다. 마찬가지로 \(f_{y}(a,\,b)\)는 점 \(P\)를 지나고 \(yz\)평면과 평행인 평면으로 곡면 \(z=f(x,\,y)\)의 그래프를 잘라서 생기는 곡선의 점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다.


이변수함수 \(z=f(x,\,y)\)의 편도함수 \(f_{x},\,f_{y}\)를 \(x\) 또는 \(y\)에 대해 한번 더 편미분하여 얻어진 함수를 \(z=f(x,\,y)\)의 2계 편도함수라고 하고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f_{xx}=\frac{\partial^{2}f}{\partial x^{2}}=\frac{\partial}{\partial x}\left(\frac{\partial f}{\partial x}\right),\,f_{xy}=\frac{\partial^{2}f}{\partial x\partial y}=\frac{\partial}{\partial y}\left(\frac{\partial f}{\partial x}\right),\,f_{yx}=\frac{\partial^{2}f}{\partial x\partial y}=\frac{\partial}{\partial x}\left(\frac{\partial f}{\partial y}\right)$$

\(3,\,4,\,\cdots,\,n\)계 편도함수도 같은 방법으로 정의한다.


2계 편도함수 \(f_{xy}\)는 \(f\)를 \(x\)에 대해 편미분한 다음, \(y\)에 대해 편미분을 해서 얻고, \(f_{yx}\)는 \(f\)를 \(y\)에 대하여 편미분한 다음, \(x\)에 대해 편미분하여 얻는다.


점 \((a,\,b)\)의 근방에서 \(f_{x},\,f_{y},\,f_{xy},\,f_{yx}\)가 존재하고 모두 \((a,\,b)\)에서 연속이면,$$f_{xy}(a,\,b)=f_{yx}(a,\,b)$$이다(클레로 정리, Clairaut Theorem).


\(f\)의 3계 편도함수들이 \((a,\,b)\)의 근방에서 존재하고 연속이면$$f_{xxy}=f_{xyx}=f_{yxx},\,f_{xyy}=f_{yxy}=f_{yyx}$$이다. 이러한 개념은 \(n\)계 편도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2변수 함수 \(z=f(x,\,y)\)에 대하여 \(f_{x}\)와 \(f_{y}\)가 존재해서 \(\Delta z\)를$$\begin{align*}\Delta z&=f_{x}(a,\,b)\Delta x+f_{y}(a,\,b)\Delta y+\epsilon_{1}\Delta x+\epsilon_{2}\Delta y\\&\left(\lim_{(x,\,y)\,\rightarrow\,(0,\,0)}{\epsilon_{1}(x,\,y)}=0,\,\lim_{(x,\,y)\,\rightarrow\,(a,\,b)}{\epsilon_{2}(x,\,y)}=0\right)\end{align*}$$로 나타낼 수 있으면, \(f\)는 \((a,\,b)\)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2변수 함수 \(f\)가 점 \((a,\,b)\)의 근방에서 편도함수 \(f_{x},\,f_{y}\)를 갖고, 그 편도함수가 \((a,\,b)\)에서 연속이면, \(f\)는 \((a,\,b)\)에서 미분가능하다.

증명: 점 \((a,\,b)\)의 근방에 속하는 임의의 점 \((x,\,y)\)에서$$f(x,\,y)-f(a,\,b)=\{f(x,\,y)-f(a,\,y)\}+\{f(a,\,y)-f(a,\,b)\}$$이고 \(g(t)=f(t,\,y),\,G(t)=f(a,\,t)\)라고 하자. \(f_{x},\,f_{y}\)가 존재하므로 \(u(x)\)와 \(v(y)\)가 각각 \(x\)와 \(a\) 사이, \(y\)와 \(b\) 사이에 존재해서$$\begin{align*}f(x,\,y)-f(a,\,b)&=g(x)-g(a)=g'(u(x))(x-a)=f_{x}(u(x),\,y)(x-a)\\f(a,\,y)-f(a,\,b)&=G(y)-G(b)=G'(v(y))(y-b)=f_{y}(a,\,v(y))(y-b)\end{align*}$$이다. 그러면$$\begin{align*}f(x,\,y)-f(a,\,b)&=f_{x}(u(x),\,y)(x-a)+f_{y}(a,\,v(y))(y-b)\\&=f_{x}(a,\,b)(x-a)+f_{y}(a,\,b)(y-b)+\{f_{x}(u(x),\,y)-f_{y}(a,\,b)\}(x-a)+\{f_{y}(a,\,v(y))-f_{y}(a,\,b)\}(y-b)\end{align*}$$이고$$\epsilon_{1}(x,\,y)=f_{x}(u(x),\,y)-f_{x}(a,\,b),\,\epsilon_{2}(x,\,y)=f_{y}(a,\,v(y))-f_{y}(a,\,b)$$라고 하면$$\lim_{(x,\,y)\,\rightarrow\,(a,\,b)}{u(x)}=a,\,\lim_{(x,\,y)\,\rightarrow\,(a,\,b)}{v(y)}=b$$이므로$$\lim_{(x,\,y)\,\rightarrow\,(a,\,b)}{\epsilon_{1}(x,\,y)}=0,\,\lim_{(x,\,y)\,\rightarrow\,(a,\,b)}{\epsilon_{2}(a,\,b)}{\epsilon_{2}(x,\,y)}=0$$이고 따라서$$f(x,\,y)-f(a,\,b)=f_{x}(a,\,b)(x-a)+f_{y}(a,\,b)(y-b)+\epsilon_{1}(x\,y)(x-a)+\epsilon_{2}(x,\,y)(y-b)$$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f\)는 \((a,\,b)\)에서 미분가능하다.


연쇄법칙


\(x=\phi(t),\,y=\psi(t),\,z=f(x,\,y)\)가 각각 미분가능하면, \(z\)는 \(t\)에 대해 미분가능하고$$\frac{dz}{dt}=\frac{\partial f}{\partial x}\frac{dx}{dt}+\frac{\partial f}{\partial y}\frac{dy}{dt}$$이다.

증명: \(f\)가 미분가능하므로 \(F(t)=f(x(t),\,y(t))\)라 하면$$\begin{align*}F(t+\Delta t)-F(t)&=f(x(t+\Delta t),\,y(t+\Delta t))-f(x(t),\,y(t))\\&=f_{x}(x(t),\,y(t))(x(t+\Delta t)-x(t))-f_{y}(x(t),\,y(t))(y(t+\Delta t)-y(t))\\&\,+\epsilon_{1}(x(t+\Delta t),\,y(t+\Delta t))(x(t+\Delta t)-x(t))+\epsilon_{2}(x(t+\Delta t),\,y(t+\Delta t))(y(t+\Delta t)-y(t))\end{align*}$$이고, \(\Delta t\,\rightarrow\,0\)이면, \((x(t+\Delta t),\,y(t+\Delta t))\,\rightarrow\,(x(t),\,y(t))\)이므로$$\lim_{\Delta t\,\rightarrow\,0}{\epsilon_{1}(x(t+\Delta t),\,y(t+\Delta t))}=0,\,\lim_{\Delta t\,\rightarrow\,0}{\epsilon_{2}(x(t+\Delta t),\,y(t+\Delta t))}=0$$이고 따라서$$\begin{align*}\frac{dz}{dt}&=F'(t)=\lim_{\Delta t\,\rightarrow\,0}{\frac{F(t+\Delta t)-F(t)}{\Delta t}}\\&=f_{x}(x(t),\,y(t))\frac{dx}{dt}+f_{y}(x(t),\,y(t))\frac{dy}{dt}+0\cdot\frac{dx}{dt}+0\cdot\frac{dy}{dt}\\&=\frac{\partial f}{\partial x}\frac{dx}{dt}+\frac{\partial f}{\partial y}\frac{dy}{dt}\end{align*}$$이다.


위 결과로부터 다음의 결과를 얻는다:


\(x=\phi(u,\,v),\,y=\psi(u,\,v)\)가 각각 편미분 가능하고, \(z=f(x,\,y)\)가 미분가능하면, \(z\)는 \(u,\,v\)에 대해 편미분 가능하고$$\begin{align*}\frac{\partial z}{\partial u}&=\frac{\partial z}{\partial x}\frac{\partial x}{\partial u}+\frac{\partial f}{\partial u}\frac{\partial y}{\partial u}\\ \frac{\partial z}{\partial v}&=\frac{\partial f}{\partial x}\frac{\partial x}{\partial v}+\frac{\partial f}{\partial y}\frac{\partial y}{\partial v}\end{align*}$$


\(f(x,\,y)=0\)형태의 함수를 음함수라고 했었다. 위 연쇄법칙을 이 음함수에 적용하면$$\frac{\partial f}{\partial x}\frac{dx}{dx}+\frac{\partial f}{\partial y}\frac{dy}{dx}$$이고, \(\displaystyle\frac{dx}{dx}=1\)이므로 \(f_{y}\neq0\)일 때,$$\frac{dy}{dx}=-\frac{f_{x}}{f_{y}}$$이다.


2변수 함수에 대한 평균값 정리


2변수 함수 \(f(x,\,y)\)가 영역 \(D\)에서 미분가능하고, 두 점 \(P(x_{1},\,y_{1}),\,Q(x_{2},\,y_{2})\in D\)을 잇는 선분의 모든 점들이 \(D\)에 있다고 하자. 그러면 선분 \(PQ\)위의 적당한 점 \(R(c_{1},\,c_{2})\)이 존재해서$$f(x_{2},\,y_{2})-f(x_{1},\,y_{1})=f_{x}(c_{1},\,c_{2})(x_{2}-x_{1})+f_{y}(c_{1},\,c_{2})(y_{2}-y_{1})$$이다.

증명:$$g(t)=f(x_{1}+t(x_{2}-x_{1}),\,y_{1}+t(y_{2}-y_{1}))\,(0\leq t\leq1)$$라 하자. \(g(t)\)는 \(t\)에 대해 미분가능하므로 일변수 함수의 평균값 정리에 의해 적당한 \(t_{1}\in(0,\,1)\)이 존재해서$$\begin{align*}f(x_{2},\,y_{2})-f(x_{1},\,y_{1})&=g(1)-g(0)=g'(t_{1})(1-0)\\&=f_{x}(x_{1}+t(x_{2}-x_{1}),\,y_{1}+t(x_{2}-x_{1}))+f_{y}(x_{1}+t_{1}(x_{2}-x_{1}),\,y_{1}+t_{1}(y_{2}-y_{1}))\end{align*}$$이다. 여기서 \(c_{1}=x_{1}+t_{1}(x_{2}-x_{1}),\,c_{2}=y_{1}+t_{1}(x_{2}-x_{1})\)라 하면,$$f(x_{2},\,y_{2})-f(x_{1},\,y_{1})=f_{x}(c_{1},\,c_{2})(x_{2}-x_{1})+f_{y}(c_{1},\,c_{2})(y_{2}-y_{1})$$이다.


참고자료:

미분적분학, 고영상 외 6인, 휴먼싸이언스

Calculus 7th edition, Stewart, Cengage Learning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