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2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수학 2차 1교시 2번 문제풀이


2. 아래의 명제는 함수의 극소, 곡선의 볼록, 급수의 수렴에 대한 성질을 나타낸다. 테일러(Taylor)정리를 이용하여 명제 (I), (II), (III)이 참임을 각각 증명하시오. [20점]


실수 전체의 집합 \(\mathbb{R}\)라 하고 \((a,\,b)\)를 \(\mathbb{R}\)의 열린 구간이라 하자.


(I) 함수 \(f:\,(a,\,b)\,\rightarrow\,\mathbb{R}\)가 \(a,\,b\)에서 \(C^{4}\)급 함수이고 \(c\in(a,\,b)\)에 대하여 \(f'(c)=f''(c)=f^{(3)}(c)=0,\,f^{(4)}(c)>0\)이면, \(f\)는 \(x=c\)에서 극솟값(local minimum)을 갖는다.


(II) 함수 \(f:\,(a,\,b)\,\rightarrow\,\mathbb{R}\)가 \((a,\,b)\)에서 2계도함수를 갖고 모든 \(x\in(a,\,b)\)에 대하여 \(f''(x)\geq0\)이면, \(f\)는 \((a,\,b)\)에서 볼록함수(convex function)이다.


(III) 함수 \(f:\,(a,\,b)\,\rightarrow\,\mathbb{R}\)가 \((a,\,b)\)에서 \(C^{\infty}\)급 함수이고 \(c\in(a,\,b)\)라 하자. 임의의 자연수 \(k\)에 대하여 모든 \(t\in(a,\,b)\)에서 \(\left|f^{(k)}(t)\right|\leq2^{k}\)이면, 임의의 \(x\in(a,\,b)\)에 대하여 다음 식이 성립한다.$$f(x)=\sum_{k=0}^{\infty}{\frac{f^{(k)}(c)}{k!}(x-c)^{k}}$$


※아래의 정리는 증명 없이 사용한다.


테일러 정리


함수 \(f:\,(a,\,b)\,\rightarrow\,\mathbb{R}\)가 \((a,\,b)\)에서 \((n+1)\)계도함수 \(f^{(n+1)}\)을 가질 때, \(c\in(a,\,b)\)에 대하여 \(p_{n}(x)=\displaystyle\sum_{k=0}^{n}{\frac{f^{(k)}(c)}{k!}(x-c)^{k}}\)이라 하자.

그러면 임의의 \(x\in(a,\,b)\)에 대하여 다음 식을 만족하는 점 \(t_{x}\)가 \(x\)와 \(c\) 사이에 존재한다.$$f(x)=p_{n}(x)+\frac{f^{(n+1)}(t_{x})}{(n+1)!}(x-c)^{n+1}$$

 참고


함수 \(f:\,(a,\,b)\,\rightarrow\,\mathbb{R}\)이 자연수 \(n\)에 대하여 \((a,\,b)\)에서 \(C^{n}\)급 함수라는 것은 \((a,\,b)\)에서 \(n\)계도함수 \(f^{(n)}\)이 존재하고 \(f^{(n)}\)이 연속임을 뜻한다.


○ 함수 \(f:\,(a,\,b)\,\rightarrow\,\mathbb{R}\)가 \(0\leq t\leq1\)을 만족하는 임의의 실수 \(t\)와 \((a,\,b)\)의 두 점 \(x_{1},\,x_{2}\)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면 \(f\)를 \((a,\,b)\)에서 볼록함수라 한다.$$f((1-t)x_{1}+tx_{2})\leq(1-t)f(x_{1})+tf(x_{2})$$


○ 함수 \(f:\,(a,\,b)\,\rightarrow\,\mathbb{R}\)가 \((a,\,b)\)가 \(C^{\infty}\)급 함수라는 것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b)\)에서 \(n\)계도함수 \(f^{(n)}\)이 존재하고 \(f^{(n)}\)이 연속임을 뜻한다.


풀이:

(I) 함수 \(f:\,(a,\,b)\,\rightarrow\,\mathbb{R}\)가 \(a,\,b\)에서 \(C^{4}\)급 함수이고 \(c\in(a,\,b)\)에 대하여 \(f'(c)=f''(c)=f^{(3)}(c)=0,\,f^{(4)}(c)>0\)이므로 테일러 정리에 의해 모든 \(x\in(a,\,b)\)에 대하여 \(t_{x}\)가 \(x\)와 \(c\)사이에 존재하여$$f(x)=p_{3}(x)+\frac{f^{(4)}(t_{x})}{4!}(x-c)^{4}=f(c)+\frac{f^{(4)}(t_{x})}{4!}(x-c)^{4}$$이다. 그러면 $$f'(x)=\frac{f^{(4)}(t_{x})}{3!}(x-c)^{3},\,f''(x)=\frac{f^{(4)}(t_{x})}{2!}(x-c)^{2},\,f^{(3)}(x)=f^{(4)}(t_{x})(x-c),\,f^{(4)}(x)=f^{(4)}(t_{x})$$이다. \(f^{(4)}(x)\)는 상수함수이고 \(f^{(4)}(c)>0\)이므로 \(f^{(4)}(t_{x})=f^{(4)}(c)>0\)이다. 이 사실로부터$$f(x)=f(c)+\frac{f^{(4)}(c)}{4!}(x-c)^{4}$$이고 \(x<c\)에서 \(f'(x)<0\), \(x>c\)에서 \(f'(x)>0\)이므로 따라서 함수 \(f\)는 \(x=c\)에서 극소이다.


(2) 함수 \(f:\,(a,\,b)\,\rightarrow\,\mathbb{R}\)이 이계도함수를 가지므로 테일러 정리에 의해 모든 \(x\in(a,\,b)\)에 대하여 \(t_{x}\)가 \(x\)와 \(c\)사이에 존재하여 $$f(x)=f(c)+f'(c)(x-c)+\frac{f''(t_{x})}{2}(x-c)^{2}$$이다. 모든 \(x\in(a,\,b)\)에 대하여 \(f''(x)\geq0\)이므로$$\frac{f''(t_{x})}{2}(x-c)^{2}=f(x)-f(c)-f'(c)(x-c)\geq0$$이고 따라서 \(f(x)\geq f(c)+f'(c)(x-c)\)이다.


\(x_{1},\,x_{2}\in(a,\,b),\,0\leq t\leq 1\)이라 하고 \(x=x_{1},\,c=(1-t)x_{1}+tx_{2}\)라 하자. 그러면$$f(x_{1})\geq f(c)+f'(c)(x_{1}-c)=f(c)+f'(c)t(x_{1}-x_{2})\,\,(a)$$이다. \(x=x_{2},\,c=(1-t)x_{1}+tx_{2}\)라 하면$$f(x_{2})\geq f(c)+f'(c)(x_{2}-c)=f(c)+f'(c)(1-t)(x_{2}-x_{1})\,\,(b)$$이다. 부등식 \((a)\)의 각 변에 \((1-t)\geq0\)을 곱하고 \((b)\)의 각 변에 \(t\geq 0\)을 곱하면$$(1-t)f(x_{1})\geq(1-t)f(c)+f'(c)t(1-t)(x_{1}-x_{2})\\tf(x_{2})\geq tf(c)+f'(c)t(1-t)(x_{2}-x_{1})$$이므로 이 두 부등식의 각 변을 서로 더하면 부등식$$(1-t)f(x_{1})+tf(x_{2})\geq f((1-t)x_{1}+tx_{2})$$를 얻고 따라서 함수 \(f\)는 볼록함수이다.


(3) 테일러 정리로부터$$\left|f(x)-\sum_{k=0}^{n}{\frac{f^{(k)}(c)}{k!}}(x-c)^{k}\right|=|f(x)-p_{n}(x)|=\frac{|f^{(n+1)}(t_{x})|}{(n+1)!}|x-c|^{n+1}$$이다. 가정으로부터 모든 자연수 \(n\)과 \(c\in(a,\,b)\)에 대하여 \(|f^{(n+1)}(c)|\leq 2^{n+1}\)이므로$$|f(x)-p_{n}(x)|\leq\frac{2^{n+1}}{(n+1)!}|x-c|^{n+1}\leq\frac{\{2(b-a)\}^{n+1}}{(n+1)!}$$이다. 이때$$\lim_{n\,\rightarrow\,\infty}{\frac{(2(b-a))^{n+1}}{(n+1)!}}=0$$이므로 따라서$$f(x)=\sum_{k=0}^{\infty}{\frac{f^{(k)}(c)}{k!}}(x-c)^{k}$$이다.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