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6. 밀러 효과 커패시터, 고주파 해석



고주파에서 고려해야 할 커패시터들은 회로에 실제로 존재하는 커패시터가 아니라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발생되는 기생 정전용량이다.

기생정전용량은 능동 소자의 내부에 존재하는 커패시터와 배선 사이에 존재하는 커패시터들이다.(회로에 존재하는 커패시터 \(C_{C}\), \(C_{E}\), \(C_{S}\)는 단락됨)


커패시터 \(C_{f}\)의 임피던스는 \(\displaystyle Z=\frac{1}{j\omega C_{f}}\)이고 밀러 정리를 적용하면$$\begin{align*}Z_{1}&=\frac{1}{1-A_{v}}=\frac{1}{j\omega(1-A_{v})C_{f}}=\frac{1}{j\omega C_{M_{i}}}\\Z_{2}&=\frac{A_{v}}{A_{v}-1}Z=\frac{1}{j\omega C_{f}\left(1-\frac{1}{A_{v}}\right)}=\frac{1}{j\omega C_{M_{o}}}\end{align*}$$이므로 밀러 입력 커패시턴스는 \(C_{M_{i}}=(1-A_{v})C_{f}\), 밀러 출력 커패시턴스는 \(\displaystyle C_{M_{o}}=\left(1-\frac{1}{A_{v}}\right)C_{f}\)이고 \(|A_{v}|\gg1\)이므로 \(C_{M_{o}}\simeq C_{f}\)이다.


고주파에서 \(-3\text{dB}\)차단점을 정의하는 두 가지 요소가 있다. 그 중 하나는 회로 커패시터(기생 커패시터와 관련된)고, 다른 하나는 \(h_{fe}(\beta)\)의 주파수 종속성이다.


위의 RC회로에서 전압이득은$$A_{v}=\frac{V_{o}}{V_{i}}=\frac{\frac{1}{j\omega C}}{R+\frac{1}{j\omega C}}=\frac{1}{1+j\omega RC}=\frac{1}{1+j2\pi fRC}=\frac{1}{1+j\frac{f}{f_{H}}}$$이고 \(\displaystyle f_{H}=\frac{1}{2\pi RC}\)는 상위 차단주파수이다.

(이 회로의 전달함수는 \(\displaystyle A_{v}=\frac{1}{1+\mathbf{s}RC}\)이다.)


\(f=0\)에서 \(A_{v}=1\)이므로 \(0\text{dB}\)이고, \(f=\infty\)에서 \(A_{v}=0\)이므로 \(-\infty\text{dB}\), \(f=f_{H}\)에서 \(\displaystyle A_{v}=\frac{1}{\sqrt{2}}=0.707\)이므로 \(-3\text{dB}\)이다.


참고자료: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ory 11th edition, Boylestad, Nashelsky, Pearson   

반응형

'전자공학 > 전자회로(2:아날로그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 FET 고주파 응답  (0) 2018.06.16
27. BJT 고주파 응답  (0) 2018.06.15
25. FET 저주파 응답  (0) 2018.06.11
24. BJT 저주파 응답  (0) 2018.06.10
23. 저주파 해석  (0) 2018.06.10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