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IC증폭기
IC증폭기에서
개별소자 회로와 비교하여 부피 때문에 저항과 커패시터를 사용하지 않고 직결증폭기를 사용(결합 커패시터를 사용하지 않음)하며 큰 바이패스 커패시터는 면적을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전통적인 바이어스 회로 대신 정전류원을 사용하고, 증폭기의 부하로 저항 대신 부피가 작고 값이 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능동부하로 사용한다(큰 저항값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칩의 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정밀성이 결여되기 때문). 정전류원은 바이어싱에 사용되며 능동부하로 사용한다. 기본 정전류원은 큰 저항이 필요하기 때문에 Widlar 정전류원을 사용하고 작은 RE값을 사용하는것이 가능하고 큰 출력저항을 얻는다.
기본 이득 cell: IC증폭기에서 기본적인 이득 cell은 정전류원을 부하로 사용하는 CS(소스) 또는 CE(이미터) 구조이다.
FET에서 Ri=∞(입력저항이 무한대), Avo=−gmro, Ro=ro(Vo=−gmViro, Vi=Vgs)
BJT에서 Ri=rπ, Avo=−gmro, Ro=ro(rπ=βre, gm=1re)
Avo는 RL=∞일 때의 이득으로 Ao로 나타낸다.
실제 회로는 이상적인 전류원 대신에 출력저항이 ro2인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이때 전류이득이 반으로 감소한다.
증폭기의 부하 트랜지스터의 출력저항을 증가시켜서 이득을 증가시킨다. 증폭기 트랜지스터의 전류 gm1Vi는 통과시키고 출력저항 ro2를 증가시키는 회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류는 통과시키고 저항을 증가시키는 전류버퍼가 필요하다.
위의 회로에서 Ri=ro+RL1+gmro≈1gm+RLgmro, Ro=ro+(1+gmro)RS≈(1+gmRS)ro(1≪gmro)
(공통베이스(BJT)의 경우: Ri=ro+RL1+rore+RL(1+β)re≈re+RLgmro Ro=ro+RE||rπ+(RE||rπ)gmro≈(1+gm(RE||ro))ro이다.)
*gm=1re, rπ=βre, ro=rd
캐스코드 증폭기: 공통소스(CS)+공통게이트(CG)(또는 공통이미터(CE)+공통베이스(CB))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공통소스와 공통베이스는 전류버퍼이다. (캐스코드: 증폭관의 anode(Q1의 드레인)가 다음단의 cathode(Q2의 소스)에 입력을 제공한다)
MOS 캐스코드 증폭기는 이상적인 전류원이 부하이고 그 회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Av=vovi=−gm1Ro≈−gm1gm2ro2ro1=−(gmro)2=−A2o이다. 이것은 캐스코드 증폭기가 전압이득을 Ao에서 A2o로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이때 전류원 부하를 PMOS(Q3)으로 대치시키면
Av=−gm1(Ro||RL)=−gm1((gm2ro2ro1)||ro3)≈−gm1ro3≈−Ao이 되고 이득은 초기와 같으나 공통소스+공통게이트의 대역폭이 넓어지게 된다. RL이 작기 때문에 이득이 감소(ro3이 작음) 증가된 Ro의 장점이 작은 RL때문에 상쇄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캐스코드 전류원 부하(Q3, Q4)를 갖는 캐스코드 증폭기를 고려하자. 이때 이득이 A2o가 되기 위해서는 부하저항 RL이 캐스코드 증폭기의 Ro와 동일한 order가 되어야 한다.
여기서 Av=vovi=−gm(Ron||Rop)=−gm1{(gm2)ro2ro1||(gm3ro3ro4)}=−12(gmro)2=−12A2o이다.
정전류원은 바이어스와 능동부하로 사용된다. 전류원의 출력저항이 클 필요가 있다.(증폭단의 전압이득을 높이고 출력저항을 높이기 위해서는 캐스코드 연결을 한다)
위의 그림에서 왼쪽 회로는 캐스코드 MOS 전류 거울이고 가운데 회로는 윌슨 전류거울인데 β의 의존도가 감소하고 출력저항이 크지만 Q1과 Q2의 출력전압 불균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오른쪽 회로는 앞에서 언급했던 윌슨 전류거울의 문제점을 해결한 수정 윌슨 전류거울이다.
위의 회로는 Widlar전류원으로 작은 저항(작은 칩의 면적)으로 작은 전류를 발생시킨다.(기본적인 전류거울에서 작은전류를 발생하려면 큰 저항이 필요하다) 여기서 Ro=ro+(gmVo)(rπ||RE)이다.
참고자료:
Microelectronics Circuits 7th edition, Sedra, Smith, Oxford University Press
'전자공학 > 전자회로(2:아날로그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저주파 해석 (0) | 2018.06.10 |
---|---|
22. 데시벨, 주파수 문제 (0) | 2018.06.09 |
20. FET 회로에서 내부저항과 부하저항의 영향, 직렬구조, 능동부하를 갖는 MOS증폭기 (0) | 2018.05.13 |
19. E-MOSFET 드레인 피드백, 전압 분배기 회로, FET 증폭기 회로설계 (0) | 2018.05.10 |
18. 공핍형, 증가형 MOSFET (0) | 2018.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