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6학년도 9월 수능모의평가 공통 24번, 2010학년도 수능(11월) 수리 나형 25번


수열의 규칙을 이용하여 도형을 채우는 문제가 출제 된 적이 있었다. 2006학년도 9월 모의평가 24번에 공통 문제로 작은 정육면체를 어떤 규칙에 따라 정육면체 상자 안에 채워넣는데 몇번째에 다 채워지는가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고 2010학년도 수능 수리 나형에 변별력 문제로 내부의 일정 영역이 없는 정사각형 내부에 작은 정사각형을 최대한 몇개 채울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200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수리 가, 나형 공통 24번. 작은 정육면체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자에 채우면 몇 번째에 채워지는가를 묻는 문제이다.

한 변의 길이가 70cm인 정육면체 모양의 상자에 한 변의 길이가 10cm인 정육면체 모양의 나무블록을 다음 규칙에 따라 빈틈없이 가득 채우려고 한다.

  \(n\)번째에 넣는 나무블록의 개수를 \(a_{n}\)이라 할 때,


(가) \(a_{1}=10\)

(나) \(a_{n+1}=\left[\frac{a_{n}}{2}\right]+3\), \(n=1,\,2,\,3,\,\cdots\)

     (단, \([x]\)는 \(x\)를 넘지 않는 최대의 정수이다.)

(다) 상자를 가득 채우면 나무블록 넣기를 멈춘다.

\(k\)번째에 상자를 가득 채웠다고 할 때, \(k\)의 값을 구하시오. (단, 상자의 두께는 무시한다.) [4점]


먼저 나무블록과 상자의 부피를 구하자. 나무블록의 부피는 \(10\times10\times10=1000\mathrm{cm^{3}}\)이고 상자의 부피는 \(70\times70\times70=343000\mathrm{cm^{3}}\)이다. 그러면 나무블록을 \(\frac{343000}{1000}=343\)개 넣어야 상자를 가득 채울 수 있다.


문제의 규칙은 첫 번째에 10개의 나무블록을 넣고 그 다음에는 \(a_{n+1}=\left[\frac{a_{n}}{2}\right]+3\)의 규칙을 따라 나무블록을 넣는다. \(a_{1}=10\)이므로$$a_{2}=\left[\frac{a_{1}}{2}\right]+3=\left[\frac{10}{2}\right]+3=5+3=8$$\(a_{2}=8\)이므로$$a_{3}=\left[\frac{a_{2}}{2}\right]+3=\left[\frac{8}{2}\right]+3=4+3=7$$\(a_{3}=7\)이므로 $$a_{4}=\left[\frac{a_{3}}{2}\right]+3=\left[\frac{7}{2}\right]+3=3+3=6$$\(a_{4}=6\)이므로$$a_{5}=\left[\frac{a_{4}}{2}\right]+3=\left[\frac{6}{2}\right]=3+3=6$$이다.


\(a_{1}=10,\,a_{2}=8,\,a_{3}=7\)이고 4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a_{n}=6\)이다.


나무블록을 3번 넣으면 \(343-(10+8+7)=318\)이고 \(318=6\times53\)이므로 \(3+53=58\)번 블록넣기를 해야 상자를 가득 채울 수 있다. 따라서 \(k=58\)이다.


4점 짜리 문제이나 싱겁다. 다음의 문제는 2010학년도 수능 수리 나형 25번 문제이고 정사각형을 채우는 문제인데 앞에서 다뤘던 상자채우기 문제보다 난이도가 높다. 즉 상자채우기 문제보다 어렵다.


2010학년도 수능 수리 나형 25번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 \(\mathrm{A}\)와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 \(\mathrm{B}\)는 변이 서로 평행하고, \(\mathrm{A}\)의 두 대각선의 교점과 \(\mathrm{B}\)의 두 대각선의 교점이 일치하도록 놓여 있다. \(\mathrm{A}\)\(\mathrm{A}\)내부에서 \(\mathrm{B}\)의 내부를 제외한 영역을 \(\mathrm{R}\)라 하자.

 2 이상인 자연수 \(n\)에 대하여 한 변의 길이가 \(\frac{1}{n}\)인 작은 정사각형을 다음 규칙에 따라 \(\mathrm{R}\)에 그린다.


(가)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은 \(\mathrm{A}\)의 한 변에 평행하다.

(나) 작은 정사각형들의 내부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규칙에 따라 \(\mathrm{R}\)에 그릴 수 있는 한 변의 길이가 \(\frac{1}{n}\)인 작은 정사각형의 최대 개수를 \(a_{n}\)이라 하자. 예를들어, \(a_{2}=12,\,a_{3}=20\)이다. \(\displaystyle\lim_{n\,\rightarrow\,\infty}{\frac{a_{2n+1}-a_{2n}}{a_{2n}-a_{2n-1}}}=c\)라 할 때, \(100c\)의 값을 구하시오. [4점]




 수열 \(a_{n}\)을 한 번에 구하는게 아니라 홀수항 짝수항 따로 구해야 한다. 먼저 짝수항 \(a_{2n}\)부터 구하자. \(2=2n\times\frac{1}{n},\,1=n\times\frac{1}{n}\)이므로$$a_{2n}=(4n)^{2}-(2n)^{2}=12n^{2}$$이다. 사실 짝수일 때는 숫자가 딱 떨어지기(나누어 떨어짐) 때문에 구하기가 가장 쉽다. 그렇다면 홀수항이 남았는데 홀수항 구하는 것이 가장 복잡하다.


위의 왼쪽 그림은 \(n=3\)일 때를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 그림은 \(n=5\)일 때를 나타낸 것이다. 내부에 있는 큰 정사각형은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이다. 홀수항을 구할 때 \(2n\)등분 된 정사각형의 개수를 길이가 1인 정사각형과 겹치는 정사각형의 개수로 빼면 된다.


\(n=3\)일 때$$a_{3}=(2(2\times1+1))^{2}-(2\times1+2)^{2}=36-16=20$$이고 \(n=5\)일 때$$a_{5}=(2(2\times2+1))^{2}-(2\times2+2)^{2}=100-36=64$$이다. 그러면$$a_{2n+1}=(2(2n+1))^{2}-(2n+2)^{2}=(4n+2)^{2}-(2n+2)^{2}=12n^{2}+8n$$이다.


이렇게 해서 홀수항, 짝수항 다 구했으니 문제에서 요구하는 극한값만 구하면 된다. \(a_{2n}=12n^{2}\), \(a_{2n+1}=12n^{2}+8n\)이므로 \(a_{2n-1}=12(n-1)^{2}+8(n-1)=12n^{2}-16n+4\)이고$$\frac{a_{2n+1}-a_{2n}}{a_{2n}-a_{2n-1}}=\frac{8n}{16n-4}=\frac{2n}{4n-1}$$이다. 따라서$$c=\lim_{n\,\rightarrow\,\infty}{\frac{a_{2n+1}-a_{2n}}{a_{2n}-a_{2n-1}}}=\lim_{n\,\rightarrow\,\infty}{\frac{2n}{4n-1}}=\frac{1}{2}$$이고 \(100c=50\)이다.


(원래 이 문제는 수열의 극한 문제이나 문제풀이의 핵심이 수열을 구하는 데 있어서 수열문제라고 했다.)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