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반응형

7. 컬렉터 피드백 회로, 컬렉터 직류 피드백 회로



◆컬렉터 피드백 회로

컬렉터 피드백 회로는 시스템의 안정도를 개선하기 위해 컬렉터에서 베이스로 피드백 경로를 형성한 것이다.

위의 왼쪽 회로는 컬렉터 피드핵 회로고 오른쪽 회로는 왼쪽 회로의 교류해석을 위해 대체된 등가회로다. 위의 오른쪽 회로에서 I=I1라고 하자.

Io=βIb+I1, I1=VoViRF, Ib=Viβre이고Vo=IoRC=(βViβre+VoViRF)RC=(1re1RF)ViRCVoRFRC이므로 Vo(1+RCRF)RCVi이고 전압이득은 Av=VoVi=1re1RF1+RCRFRC이다. RFRC인 경우, Av=RCre.

Ib=Ii+I1, I1=IoβIb이므로 Ib=Ii+(IoβIb)이고 Ib=Ii+Io1+β이다. Vo=VRF+Vi=I1RF+Ibβre에서IoRC=(IbIi)RF+Ibβre=IiRF+Ib(RF+βre)=IiRF+Ii+Io1+β(RF+βre)이므로 Ii(RFRF+βre1+β)=Io(RC+RF+βre1+β)이고 전류이득은 Ai=IoIi=RFRF+βre1+βRC+RF+βre1+β=βRFβre(1+β)RC+RF+βre이다. RFβre인 경우는 Ai=βRFβRC+RF.

Ib=Ii+I1=Ii=Ii+VoViRF이므로 Vi=Ibβre=(Ii+VoViRF)βre=Iiβre+(Av1)ViRFβre이고 입력 임피던스는 Zi=ViIi=βre1(Av1)βreRF=(βre)||(RFAv1)=(βre)||RF|Av1|이다. (Av<0)

마지막으로 Vi=0이라 하면 Vi=Ibβre=0이므로 Ib=0이고 따라서 출력 임피던스는 Zo=RC||RF이다.(아래의 회로를 참고)

     (Zo를 구하기 위한 회로)


다음의 회로는 컬렉터 피드백 회로에서 이미터 부분에 저항이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 회로다. 아래의 오른쪽 회로에서 I=I1이라고 하자.

Io=βIb+I1=βIb+VoViRF이므로 Vi=Ibβre+(1+β)IbRE=[βre+(1+β)RE]Ib이고 Ib=Viβre+(1+β)RE이다.Vo=IoRC=(βViβre+(1+β)RE+VoViRF)RC=(ββre+(1+β)RE1RF)ViRC이므로 Vo(1+RCRF)=(ββre+(1+β)RE1RF)RCVi이고 따라서 전압이득은 Av=VoVi=ββre+(1+β)RE1RF1+RCRFRC이고 RFRC인 경우에는 AvβRCβre+(1+β)RERCRE.

Ib=Ii+I1, I1=IoβIb이므로 Ib=Ii+(IoβIb)이고 Ib=Io+Ii1+β이다. Vo=VRF+Vi=I1RF+Vi에서IoRC=(IbIi)RF+Ibβre+(1+β)IbRE=IiRF+Ib[RF+βre+(1+β)RE]=IiRF+Ii+Io1+β[RF+βre+(1+β)Re]이므로 Ii[RFRF+βre+(1+β)Re1+β]=Io[RC+RF+βre+(1+β)RE1+β]이고 따라서 전류이득은Ai=IoIi=RFRF+βre1+βRERC+RF+βre1+β+RE=βRFβre(1+β)RE(1+β)RC+RF+βre+(1+β)RE이다. RFRE,re인 경우, AiβRFRF+β(RC+RE).

Ib=Ii+I1=Ii+VoViRF이므로Vi=Ibβre+(1+β)IbRE=Ib[βre+(1+β)RE]=(Ii+VoViRF)[βre+(1+β)RE]+(Av1)ViRF[βre+(1+β)RE]이고 따라서 입력 임피던스는Zi=ViIi=βre+(1+β)RE1(Av1)Vi[βre+(1+β)RE]RF=[βre+(1+β)RE]||(RFAv1)=[βre+(1+β)RE]||RF|Av|+1이다.(Av<0) 마지막으로 Vi=0이라 하면 Vi=Ibβre=0이므로 Ib=0이고 따라서 출력 임피던스는 Zo=RC||RF이다.


◆컬렉터 직류 피드백 회로


위의 왼쪽 회로는 컬렉터 직류회로이고 오른쪽 회로는 왼쪽 회로의 교류해석을 위한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 입력 임피던스 Zi=RF1||βre, 출력 임피던스 Zo=RC||ro||RF2(Vi=0으로 놓고 구한다), 전압이득 Av=VoVi=βIb(RC||ro||RF2)Ibβre=RC||ro||RF2re이다. 마지막으로 전류이득을 구하면 Io=ro||RF2RC+ro||RF2, Ib=RF1RF1+βreIi이므로 Ai=IoIi=IoIbIbIi=β(ro||RF2)RF1(RC+(ro||RF2))(RF1+βre)이다.  


참고자료: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ory 11th edition, Boylestad, Nashelsky, Pearson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