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학/선형대수학2017. 10. 24. 23:11
반응형

[선형대수학] 13. 내적공간 (1: 내적의 정의)



고등학고 수학(기하와 벡터)과 대학교 다변수 미적분학 시간에 벡터의 내적을 2차원 벡터의 경우 \(\vec{a}=(a_{1},\,b_{1})\), \(\vec{b}=(b_{1},\,b_{2})\)일 때 \(\vec{a}\cdot\vec{b}=a_{1}b_{1}+a_{2}b_{2}\), 3차원 벡터의 경우 \(\vec{a}=(a_{1},\,a_{2},\,a_{3})\), \(\vec{b}=(b_{1},\,b_{2},\,b_{3})\)일 때 \(\vec{a}\cdot\vec{b}=a_{1}b_{2}+a_{2}b_{2}+a_{3}b_{3}\)으로 정의한다고 배웠을 것이다. 또한 두 벡터가 이루는 각 \(\theta(-\pi\leq\theta\leq\pi)\)에 대하여$$\cos\theta=\frac{\vec{a}\cdot\vec{b}}{|\vec{a}||\vec{b}|}=\frac{a_{1}b_{1}+a_{2}b_{2}}{\sqrt{a_{1}^{2}+a_{2}^{2}}\sqrt{b_{1}^{2}+b_{2}^{2}}}(\text{2-dimension}), \cos\theta=\frac{\vec{a}\cdot\vec{b}}{|\vec{a}||\vec{b}|}=\frac{a_{1}b_{1}+a_{2}b_{2}+a_{3}b_{3}}{\sqrt{a_{1}^{2}+a_{2}^{2}+a_{3}^{2}}\sqrt{b_{1}^{2}+b_{2}^{2}+b_{3}^{2}}}\,(\text{3-dimension})$$라고 배웠을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던 내적을 임의의 벡터공간의 벡터에 대해서 나타낼 수 있다. 즉 임의의 벡터공간 \(V\)에 대하여 \(V\)상의 임의의 벡터 \(\mathbf{x}\), \(\mathbf{y}\)에 대하여 내적(inner product) \(\langle\cdot,\,\cdot\rangle:\,V\times V\,\rightarrow\,\mathbb{R}\)을 실수\(\langle\mathbf{x},\,\mathbf{y}\rangle\)로 정의하는데, 임의의 \(\mathbf{x},\,\mathbf{y},\,\mathbf{z}\in V\)와 스칼라 \(k\in\mathbb{R}\)에 대하여 다음의 성질들을 갖는다.

(1) \(\langle\mathbf{x},\,\mathbf{y}\rangle=\langle\mathbf{y},\,\mathbf{x}\rangle\)

(2) \(\langle\mathbf{x}+\mathbf{y},\,\mathbf{z}\rangle=\langle\mathbf{x},\,\mathbf{z}\rangle+\langle\mathbf{y},\,\mathbf{z}\rangle,\,\langle\mathbf{x},\,\mathbf{y}+\mathbf{z}\rangle=\langle\mathbf{x},\,\mathbf{y}\rangle+\langle\mathbf{x},\,\mathbf{z}\rangle\)

(3) \(\langle k\mathbf{x},\,\mathbf{y}\rangle=\langle\mathbf{x},\,k\mathbf{y}\rangle=k\langle\mathbf{x},\,\mathbf{y}\rangle\)

(4) \(\langle\mathbf{x},\,\mathbf{x}\rangle\geq0\), \(\langle\mathbf{x},\,\mathbf{x}\rangle=0\)일 필요충분조건은 \(\mathbf{x}=\mathbf{0}\)(영벡터)

벡터공간 \(V\)와 내적 \(\langle,\,\rangle\)로 이루어진 순서쌍 \((V,\,\langle,\,\rangle)\)을 내적공간(inner product space)이라고 한다. 이를 간단히 \(V\)로 나타낸다.


\(\mathbb{R}^{n}\)(\(n\)차원 유클리드공간)상의 두 벡터 \(\mathbf{x}=(x_{1},\,...,\,x_{n})\), \(\mathbf{y}=(y_{1},\,...,\,y_{n})\)에 대하여 이 두 벡터의 유클리드 내적(Euclidean inner product)을$$\mathbf{x}\cdot\mathbf{y}=\langle\mathbf{x},\,\mathbf{y}\rangle=x_{1}y_{1}+\cdots+x_{n}y_{n}=\mathbf{x}^{T}\mathbf{y}$$로 정의하면 이는 내적이 된다. 이때 \((\mathbb{R}^{n},\,\cdot)\)를 유클리드 \(n\)차원공간(Euclidean \(n\)-space)이라고 한다.


구간 \([a,\,b]\)에서 정의된 연속함수들의 집합 \(C([a,\,b])\)는 벡터공간이다. 임의의 \(f,\,g\in C([a,\,b])\)에 대하여$$\langle f,\,g\rangle=\int_{a}^{b}{f(x)g(x)dx}$$로 정의된 연산은 내적이다.


내적공간 \(V\)상의 임의의 벡터 \(\mathbf{x}\), \(\mathbf{y}\)에 대하여 다음의 부등식이 성립한다.$$\langle\mathbf{x},\,\mathbf{y}\rangle^{2}\leq\langle\mathbf{x},\,\mathbf{x}\rangle\langle\mathbf{y},\,\mathbf{y}\rangle$$이 부등식을 코시-슈바르츠 부등식(Cauchy-Schwarz inequality)라고 부른다. \(\mathbf{x}=\mathbf{0}\)인 경우는 분명히 이 부등식이 성립하기 때문에 \(\mathbf{x}\neq\mathbf{0}\)이라고 하자. 그러면 임의의 \(t\in\mathbb{R}\)에 대하여 내적의 정의에 의해$$0\leq\langle t\mathbf{x}+\mathbf{y},\,t\mathbf{x}+\mathbf{y}\rangle=\langle\mathbf{x},\,\mathbf{x}\rangle t^{2}+2\langle\mathbf{x},\,\mathbf{y}\rangle t+\langle\mathbf{y},\,\mathbf{y}\rangle$$이고 이 부등식이 성립하려면$$\langle\mathbf{x},\,\mathbf{y}\rangle^{2}-\langle\mathbf{x},\,\mathbf{x}\rangle\langle\mathbf{y},\,\mathbf{y}\rangle\leq0$$이어야 한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서 등식이 성립하는 경우는 \(\mathbf{x}\)와 \(\mathbf{y}\)가 서로 종속인 경우이다.


내적공간 \(V\)에서 \(\mathbf{x}\in V\)의 길이(length)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mathbf{x}||=\sqrt{\langle\mathbf{x},\,\mathbf{x}\rangle}$$\(||\mathbf{x}||\)는 벡터 \(\mathbf{x}\)의 길이이다. 이를 이용하여 두 벡터 \(\mathbf{x}\), \(\mathbf{y}\)의 거리(distanc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d(\mathbf{x},\,\mathbf{y})=||\mathbf{x}-\mathbf{y}||$$이때 길이와 거리는 다음의 성질을 갖는다.

(1) \(||\mathbf{x}||\geq0\), \(||\mathbf{x}||=0\)일 필요충분조건은 \(\mathbf{x}=\mathbf{0}\)

(2) \(||k\mathbf{x}||=|k|\,||\mathbf{x}||\)

(3) \(||\mathbf{x}+\mathbf{y}||\leq||\mathbf{x}||+||\mathbf{y}||\) (삼각부등식)

(4) \(d(\mathbf{x},\,\mathbf{y})\geq0\), \(d(\mathbf{x},\,\mathbf{y})=0\)일 필요충분조건은 \(\mathbf{x}=\mathbf{y}\)

(5) \(d(\mathbf{x},\,\mathbf{y})=d(\mathbf{y},\,\mathbf{x})\)

(6) \(d(\mathbf{x},\,\mathbf{y})\leq d(\mathbf{x},\,\mathbf{z})+d(\mathbf{z},\,\mathbf{y})\) (삼각부등식)

내적과 길이, 거리의 정의를 이용하여 쉽게 증명할 수 있다. (3)의 경우는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이용하면 쉽게 증명되고 (6)은 (3)을 이용해서 증명한다. \(f\)와 \(g\)가 구간 \([a,\,b]\)에서 연속함수일 때, 내적을 \(\displaystyle\langle f,\,g\rangle=\int_{a}^{b}{f(x)g(x)dx}\)로 정의한 다음, 코시-슈바르츠 부등식과 삼각부등식을 이용하여 다음의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1)\,\left(\int_{a}^{b}{f(x)g(x)dx}\right)^{2}\leq\left(\int_{a}^{b}{\{f(x)\}^{2}dx}\right)\left(\int_{a}^{b}{\{g(x)\}^{2}dx}\right)\\(2)\left(\int_{a}^{b}{\{f(x)+g(x)\}^{2}dx}\right)^{\frac{1}{2}}\leq\left(\int_{a}^{b}{\{f(x)\}^{2}dx}\right)^{\frac{1}{2}}+\left(\int_{a}^{b}{\{g(x)\}^{2}dx}\right)^{\frac{1}{2}}$$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으로부터$$-1\leq\frac{\langle\mathbf{x},\,\mathbf{y}\rangle}{||\mathbf{x}||\,||\mathbf{y}||}\leq1$$이므로 유일한 \(\theta\in[0,\,\pi]\)가 존재하여$$\cos\theta=\frac{\langle\mathbf{x},\,\mathbf{y}\rangle}{||\mathbf{x}||\,||\mathbf{y}||}$$이다. \(\theta\)를 두 벡터 \(\mathbf{x}\)와 \(\mathbf{y}\)사이의 각(angle)이라고 한다. 두 벡터 \(\mathbf{x}\)와 \(\mathbf{y}\)의 내적이 0, 즉 \(\langle\mathbf{x},\,\mathbf{y}\rangle=0\)이 되는 경우, \(\displaystyle\cos\frac{\pi}{2}=\langle\mathbf{x},\,\mathbf{y}\rangle=0\)이므로 이 두 벡터를 수직(orthogonal 또는 perpendicular)이라고 한다.


내적공간 \(V\)상의 임의의 벡터 \(\mathbf{x}\), \(\mathbf{y}\)에 대하여 이 두 벡터의 각을 \(\theta\)라 할 때 \(\langle\mathbf{x},\,\mathbf{y}\rangle=||\mathbf{x}||\,||\mathbf{y}||\cos\theta\)이므로$$||\mathbf{x}+\mathbf{y}||^{2}=||\mathbf{x}||^{2}+||\mathbf{y}||^{2}+2||\mathbf{x}||\,||\mathbf{y}||\cos\theta$$이고 \(\displaystyle\theta=\frac{\pi}{2}\)(\(\mathbf{x}\)와 \(\mathbf{y}\)가 서로 수직)일 때, \(||\mathbf{x}+\mathbf{y}||=||\mathbf{x}||+||\mathbf{y}||\)이다. 이를 피타고라스 정리(Pythagorean theorem)라고 한다.


참고자료:

Linear Algebra, jinho Kwak, sungpyo Hong, Birkhauser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