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복소전력
복소전력의 크기는 피상전력, 복소전력의 실수부는 평균(유효)전력, 허수부는 무효전력이라고 한다. 정현파 전압이 Veff=Veff∠θ, 정현파 전류가 Ieff=Ieff∠ϕ일 때, 2단자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은 다음과 같다.
평균전력: P=VeffIeffcos(θ−ϕ)=VeffIeffRe{ej(θ−ϕ)}=Re{Veffejθ}Ieffe−jϕ=Re{VeffI∗eff}.
복소전력: S=VeffIeffej(θ−ϕ)=VeffI∗eff. (|S|는 피상전력, θ−ϕ는 역률각)
직각좌표형식으로 나타내면 S=P+jQ이고 여기서 P는 평균전력(유효전력), Q는 무효전력이고 단위는 VAR(Volt-Ampere-Reactive)이다. 또한 Q=VeffIeffsin(θ−ϕ)이다.
양 |
기호 |
공식 |
단위 |
평균전력 |
P |
P=VeffIeffcos(θ−ϕ) |
W |
무효전력 |
Q |
Q=VeffIeffsin(θ−ϕ) |
VAR |
복소전력 |
S |
S=P+jQ=VeffIeff∠(θ−ϕ)=VeffIeff |
VA |
피상전력 |
|S| |
|S|=|VeffI∗eff|=VeffIeff |
VA |
전력 삼각각
전력측정
이 회로에서 결합된 부하가 흡수하는 복소전력은
S=VI∗=V(I∗1+I∗2)=VI∗1+VI∗2이다.
이 회로에서 (5+j10Ω||−j10Ω)=20−j10Ω, 전체전류 I=120∠0∘V rms1+(20−j10)Ω=5.16∠25.46∘A rms, V2, I2를 −j10Ω 임피던스(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 전류라고 하면 V2=(20−j10)I=115.4∠−11.1∘V rms, I2=V2−j10Ω=11.5∠88.89∘A rms. 또한 5+j10Ω임피던스에 흐르는 전류를 I1이라고 하면 I1=I−I2=10.29∠−64.45A rms.
1Ω저항에 흡수되는 복소전력: (V−V2)I∗=26.6+j0VA
−j10Ω커패시터에 흡수되는 복소전력: V2I∗2=0−j1327VA
5+j10Ω임피던스에 흡수되는 복소전력: V2I∗1=532.8+j1061VA
전원에 흡수되는 복소전력: 120∠0∘(−I)∗=−559+j266VA
참고자료:
Engineering Circuit Analysis 8th edition, Hayt, Kemmerly, Durbin, McGraw-Hill
'전자공학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3상 Y-Y결선 (0) | 2017.09.15 |
---|---|
22. 다상 시스템 (0) | 2017.09.14 |
20. 주파수영역에서의 최대전력전달과 전압, 전류의 실효값 (0) | 2017.09.12 |
19. 전력 (0) | 2017.09.11 |
18. 주파수영역에서의 중첩, 전원변환, 테브난 등가회로 (0) | 2017.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