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고계 미분방정식 요약
y(n)+pn−1(x)y(n−1)+⋯+p1(x)y′+p0(x)y=r(x): n계 비동차 선형미분방정식 (r(x)=0이면 동차) y(n)+an−1y(n−1)+⋯+a1y′+a0y=r(x): 상수계수 n계 비동차 선형미분방정식 (r(x)=0이면 동차) xny(n)+an−1xn−1y(n−1)+⋯+a1xy′+a0y=r(x): 오일러-코시 방정식 |
2계 미분방정식 y″의 알려진 해가 y_{1}이면 계수축소법을 이용하여 다른 해 y_{2}를 구한다. y_{2}=u(x)y_{1}(x)이고 미분방정식에 직접 대입하여 구하면 \displaystyle y_{2}=y_{1}\int{\frac{1}{\{y_{1}(x)\}^{2}}e^{-\int{f(x)dx}}dx} |
상수계수 동차미분방정식의 경우 y=e^{\lambda x}를 대입하여 특성방정식을 얻고 오일러-코시 방정식의 경우 y=x^{m}\,(x>0)를 대입하여 특성방정식을 얻는다. |
특성방정식의 해에 따른 동차해의 형태 | ||
|
상수계수 동차 미분방정식 |
오일러-코시 방정식 |
서로다른 실근 |
y=c_{1}e^{\lambda_{1}x}+\cdots+c_{n}e^{\lambda_{n}x} |
y=c_{1}x^{m_{1}}+\cdots+c_{n}x^{m_{n}} |
m중근 (계수축소법을 이용하여 얻음) |
y=(c_{0}+c_{1}x+\cdots+c_{m}x^{m})y_{s}+\cdots (y_{s}는 m번 중복되는 해) |
y=(c_{0}+c_{1}\ln x+\cdots+c_{m}(\ln x)^{m})y_{s}+\cdots (y_{s}는 m번 중복되는 해) |
켤레복소수근 (오일러공식을 이용하여 얻음) |
y=e^{\alpha x}(c_{1}\cos\beta x+c_{2}\sin\beta x)+\cdots |
y=x^{\alpha x}\{c_{1}\cos(\beta\ln x)+c_{2}\sin(\beta\ln x)\}+\cdots |
n계 비동차 선형미분방정식에서 비동차해를 구하는 방법 r(x)가 다항함수, 지수함수, 삼각함수인 경우, 미정계수법을 이용하여 비동차해 y_{p}를 구한다.
비동차해를 미정계수법으로 구할 수 있고 r(x)가 2개 이상의 함수들의 합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다음의 중첩원리를 이용한다.
미정계수법으로 대응되는 함수가 동차해의 함수와 중복되는 경우, 중복도에 따라 x 또는 x^{2}을 곱한다. (오일러-코시 방정식의 경우는 \ln x 또는 (\ln x)^{2})
미정계수법으로 비동차해를 구할 수 없는 경우, 동차해를 y_{1},\,...,\,y_{n}이라고 하면 비동차해는y_{p}=y_{1}\int{\frac{W_{1}}{W}r(x)dx}+\cdots+y_{n}\int{\frac{W_{n}}{W}r(x)dx}이고 여기서 W=W[y_{1},\,...,\,y_{n}]는 y_{1},\,...,\,y_{n}의 론스키안이고 W_{i}\,(i=1,\,...,\,n)는 W의 i번째 열을 열벡터 \begin{pmatrix}0\\ \vdots\\ 1\end{pmatrix}로 바꾼 행렬식이다. 오일러-코시 방정식의 경우는 \displaystyle y^{(n)}+\frac{a_{n-1}}{x}y^{(n-1)}+\cdots+\frac{a_{1}}{x^{n-1}}y'+\frac{a_{0}}{x^{n}}y=\frac{r(x)}{x^{n}}형태로 고치고 구한다. |
'미분방정식 > 상미분방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단위계단함수, 디렉-델타함수, 합성곱 (0) | 2017.08.09 |
---|---|
13.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0) | 2017.08.08 |
11. 고계 선형방정식으로 나타나는 모델 (0) | 2017.08.06 |
10. 비동차미분방정식의 일반적인 해법: 매개변수 변환법 (0) | 2017.08.05 |
9. 비동차 선형미분방정식 (0) | 2017.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