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반응형

[통계] 2016학년도 9월 수능모의평가 수학 A형 29번, 2017학년도 수능(11월) 수학 가형 13번


연속확률변수 X의 확률밀도함수가 f(x)=12πσ2e(xm)22σ일 때 X의 확률분포를 정규분포라고 한다. 여기서 ee=limn(1+1n)n으로 정의되는 무리수이고 X의 평균은 m, 표준편차는 σ이다. 이때 기호로 XN(m,σ2)로 나타낸다.

평균이 0이고 표준편차가 1인 정규분포를 표준정규분포라 하고 ZN(0,12)로 나타낸다. 이때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는 f(z)=12πez22이다.


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 X를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로 바꾸는 것을 표준화한다고 하며 이때 표준화된 확률변수는 Z=Xmσ이다.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는 우함수이므로 그 성질을 이용하여 확률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예를들어 ZN(0,12)일 때, P(Z1)=0.5+P(0Z1)이고 이때 P(1Z0)=P(0Z1)이다.


평균이 m이고 표준편차가 σ인 정규분포를 따르는 집단에서 크기가 n인 표본을 추출했을 때 그 표본평균은 ¯X이다. E(¯X)=m, V(¯X)=σ2n, σ(¯X)=σn이므로 ¯XN(m,σ2n)이다.


다음은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수학 A형 29번 문제이다.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가 우함수임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문제다.

확률변수 X가 정규분포 N(4,32)를 따를 때, 7n=1P(Xn)=a이다. 10a의 값을 구하시오. [4점]


풀이: P(X1)P(X7)을 표준화하면 P(Z1), P(Z1)이다. 이때

P(Z1)=0.5P(1Z0)=0.5P(0Z1), P(Z1)=0.5+P(0Z1)(Z=X43)이므로 P(X1)+P(X7)=(0.5P(0Z1))+(0.5+P(0Z1))=1이다.

같은 방법으로 P(X2)+P(X6)=1, P(X3)+P(X5)=1이고 P(X4)=P(Z0)=0.5이다.

따라서 a=1+1+1+0.5=3.5이므로 10a=35이다.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가 우함수인 것과 확률밀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한다.


다음은 2017학년도 수능 수학 가형 13번 문제이다. 앞의 문제와 비슷한데 표본평균에 대한 확률을 구해야 한다.

정규분포 N(0,42)을 따르는 모집단에서 크기가 9인 표본을 임의추출하여 구한 표본평균을 ¯X, 정규분포 N(3,22)을 따르는 모집단에서 크기가 16인 표본을 임의추출하여 구한 표본평균을 ¯Y라 하자. P(¯X1)=P(¯Ya)를 만족시키는 상수 a의 값은? [3점]


풀이: E(¯X)=0, σ(¯X)=49=43이므로 ¯XN(0,(43)2)이고 E(¯Y)=3, σ(¯X)=216=24=12이므로 ¯YN(3,(12)2)이다.

Z=¯X43라고 하자. P(¯X1)=P(Z34)이므로 Z=¯Y312라고 하자. 그러면 P(¯Ya)=P(Za312)=P(Z2a6)이고 P(Z34)=P(Z2a6)이 성립하려면 2a6=34이어야 한다. 따라서 a=218이다.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