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반응형

[일반물리학] 21. 자기장 (2)




①, ③은 LB가 평행하므로 F=IL×B=0이고, ②, ④는 LB가 수직이므로 |F2|=|F4|=IaB이다.

그러면 최대토크의 크기는 τmax=F2b2+F4b2=(IaB)b2+(IaB)b2=IabB이고 고리의 면적이 A=ab이므로 τmax=IAB이다.




①, ③은 서로 상쇄되어 토크를 만들지 못하고, ②, ④에 작용하는 힘 F2F4는 짝힘을 이루고 임의의 점에 대해 토크를 생기게 한다. 이때 토크의 크기는

τ=F2b2sinθ+F4b2sinθ=IABsinθ이다.








균일한 자기장 B 안에 있는 고리에 작용하는 토크를 벡터로 나타내면

τ=IA×B(A는 면적벡터)이고

여기서 μ=IA를 자기(쌍극자) 모멘트(Magnetic dipole moment)라 하고 SI단위는 Am2이다.

같은면적에 코일이 N번 감기면, 코일의 자기모멘트는 μcoil=NIA이고 τ=μ×B이다.

자기장 안에 놓여진 자기쌍극자의 위치에너지는 U=μB.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안에 있으면, 전류와 자기장 모두 수직인 방향으로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를 홀 효과(Hall Effect)라고 한다.

홀 효과는 전하 운반체의 부호(P, N형 반도체 구별가능)를 결정하거나, (전하 운반체의)밀도, 자기장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EH를 홀 전기장이라고 하자. qvdB=qEH이므로 EH=vdB이다.

홀전압을 ΔVH라 하면 ΔVH=EHd=vdBd이고 여기서 vd=InqA는 유동속력이다(A는 도체의 단면적, n은 단위부피당 전하운반자 수 또는 전류밀도).

t를 도체의 두께라고 하면 ΔVH=InqA이고 이때 A=td이므로

ΔVH=1nqIBt=RHIBt이고 여기서 RH=1nq를 홀 계수(Hall coefficient)라고 한다.


가장자리에서의 전하의 몰림은 전하분리에 의해서 정전기장을 형성하고 이에 의한 전기력과 자기력이 상쇄될때까지 일어난다.


참고자료

대학물리학,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북스힐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ing with modern physics, Serway, Jewett, Cengage Learning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