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물리학] 17. 전위 (2)


거리가 \(ds\)만큼 떨어져 있는 두 점 사이의 전위차는 \(dV=-\vec{\text{E}}\cdot d\vec{\text{s}}\)이다.

전기장이 단 하나의 성분 \(E_{x}\)만을 가지면 \(\vec{\text{E}}\cdot d\vec{\text{s}}=E_{x}dx\)이고 따라서 \(dV=-E_{x}dx\)이며 \(\displaystyle\frac{dV}{dx}=-E_{x}\)이다.

시험전하가 등전위면을 따라 \(d\vec{\text{s}}\)만큼 이동할 때, 전위는 등전위면을 따라 일정하기 때문에 \(dV=-\vec{\text{E}}\cdot d\vec{\text{s}}=0\)이고 이 사실로부터 등전위면과 등전위면을 지나는 전기력은 항상 수직(\(\vec{\text{E}}\perp d\vec{\text{s}}\))임을 알 수 있다.

전기장을 생성하는 전하분포가 구면대칭이면 \(\vec{\text{E}}\cdot d\vec{\text{s}}=E_{r}dr,\,dV=-E_{r}dr\)이므로 \(\displaystyle E_{r}=-\frac{dV}{dr}\)이다.

만약 전위가 \(V(x,\,y,\,z)\)이면, 전기장은 \(\displaystyle\vec{\text{E}}=-\nabla V=-\left(\frac{\partial V}{\partial x}\vec{i}+\frac{\partial V}{\partial y}\vec{j}+\frac{\partial V}{\partial z}\vec{k}\right)\)이고 \(\displaystyle E_{x}=-\frac{\partial V}{\partial x},\,E_{y}=-\frac{\partial V}{\partial y},\,E_{z}=-\frac{\partial V}{\partial z}\)이다.


왼쪽 그림에서 \(y\)축 위의 점 \(P\)에서의 전위는 \(\displaystyle V_{P}=k_{e}\sum_{i}{\frac{q_{i}}{r_{i}}}=k_{e}\left(\frac{q}{\sqrt{a^{2}+y^{2}}}-\frac{q}{\sqrt{a^{2}+y^{2}}}\right)=0\),

\(x\)축 위의 점 \(R\)에서의 전위는 \(\displaystyle V_{R}=k_{e}\sum_{i}{\frac{q_{i}}{r_{i}}}=k_{e}\left(\frac{-q}{x-a}+\frac{q}{x+a}\right)=-\frac{2k_{e}qa}{x^{2}-a^{2}}\)이다.

\(x\gg a\)이면 \(\displaystyle V_{R}=\lim_{x\gg a}{\left(-\frac{2k_{e}qa}{x^{2}-a^{2}}\right)}\approx-\frac{2k_{e}qa}{x^{2}}\)이고 \(\displaystyle E_{x}=-\frac{dV}{dx}=-\frac{4k_{e}qa}{x^{3}}\)이다.





왼쪽 그림은 연속적인 전하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연속전하 \(dq\)에 의한 점 \(P\)에서의 전위는 \(\displaystyle dV=k_{e}\frac{1}{r}dq\)이고 전체 전위는 \(\displaystyle V=k_{e}\int{\frac{1}{r}dq}\)이다.







점 \(P\)에서의 전위가 \(V\)이고 금속 고리의 중심에서 점 \(P\)까지의 거리가 x, 금속 고리의 반지름은 \(a\)이다.

점 \(P\)에서의 전위 \(V\)를 구하면

\(\displaystyle V=k_{e}\int{\frac{1}{r}dq}=k_{e}\int{\frac{1}{\sqrt{a^{2}+x^{2}}}dq}=\frac{k_{e}Q}{\sqrt{a^{2}+x^{2}}}\)이고

점 \(P\)에서의 전기장은 \(\displaystyle E_{x}=-\frac{dV}{dx}=\frac{k_{e}Q}{\left(a^{2}+x^{2}\right)^{\frac{3}{2}}}\)이다.



점 \(P\)에서의 전위는 \(V\)이고 원판의 중심에서 점 \(P\)까지의 거리는 \(x\)이다.

점 \(P\)에서의 전위 \(V\)를 구하면 \(dq=\sigma dA=\sigma(2\pi rdr)\)이므로

\(\displaystyle dV=\frac{k_{e}}{\sqrt{r^{2}+x^{2}}}dr=\frac{2k_{e}\sigma\pi r}{\sqrt{r^{2}+x^{2}}}dr\)이고 \(\displaystyle V=\pi k_{e}\sigma\int_{0}^{R}{\frac{2r}{\sqrt{r^{2}+x^{2}}}dr}=2\pi k_{e}\sigma(\sqrt{R^{2}+x^{2}}-x)\)이다.

점 \(P\)에서의 전기장은 \(\displaystyle E_{x}=-\frac{dV}{dx}=2\pi k_{e}\sigma\left[1-\frac{x}{\sqrt{R^{2}+x^{2}}}\right]\)이다.




점 \(P\)에서의 전위는 \(V\)이고 왼쪽 그림의 막대의 한쪽 끝부분(점 \(O\))에서 점 \(P\)까지의 거리는 \(a\)이다. 점 \(P\)에서의 전위 \(V\)를 구하면

\(\displaystyle dq=k_{e}\frac{1}{r}dq=k_{e}\frac{\lambda}{\sqrt{a^{2}+x^{2}}}dx\)이므로

\(\displaystyle V=\int_{0}^{\ell}{k_{e}\frac{\lambda}{\sqrt{a^{2}+x^{2}}}dx}=k_{e}\frac{Q}{\ell}\ln\left(\frac{\ell+\sqrt{a^{2}+\ell^{2}}}{a}\right)\,\left(\lambda=\frac{Q}{\ell}\right)\)이다.




평형 상태에 있는 대전된 도체 표면 상에 있는 모든 점의 전위는 같다. 따라서 왼쪽 그림의 두 점 (A)와 (B)의 전위차는 0이다.

즉, \(\displaystyle V_{(B)}-V_{(A)}=-\int_{(A)}^{(B)}{\vec{\text{E}}\cdot d\vec{\text{s}}}=0\,(\vec{\text{E}}\perp d\vec{\text{s}})\)


정전기적 평형상태에 있는 대전된 도체 표면은 등전위면을 이루며 또한 도체 내부의 전기장이 0이므로 도체 내부의 모든 점에서의 전위는 일정하며 그 표면의 전위와 같다.

왼쪽 그림에서 도체 내부의 전기장 \(\vec{\text{E}}=\vec{0}\)이고 도체 바로 바깥의 전기장은 도체 표면에 수직인 방향이다. 또한 전기장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것은 표면 전하밀도가 일정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진 도체의 경우, 빈 공간 내부의 전기장은 도체 표면의 전하분포와 무관하게 항상 0이다. 도체 벽으로 둘러싸인 빈 공간은 그 내부에 전하가 없다면 전기장이 없는 영역이다.

벼락이 칠때 비행기와 자동차 내부가 안전한 것이 이 때문이다.




왼쪽 그림은 밀리컨(Millikan)의 기름방울 실험을 나타낸 것이다. 밀리컨은 기본 전하량의 크기인 \(e\)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전하가 양자화 되어 있음을 보였다.










위의 그림에서 왼쪽의 경우는 전기장이 없을 때 저항력이 커지고 중력이 작아져서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는 모습이고 오른쪽의 경우, 전기장이 있을 때 전기력이 커지고 중력과 저항력을 합한 힘이 작아져서 초당 \(\displaystyle\frac{1}{100}\text{cm}\)의 속도로 위로 상승하는 모습이다.


(비가 내릴때 빗방울을 맞아도 아프지 않은 이유는 처음에 중력가속도로 떨어지지만 나중에 종단속도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위의 그림에서 왼쪽은 밴 더 그래프 가속기(The Van de Graaff Generator)이고 오른쪽 그림은 정전기 집진기(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이다.


참고자료

대학물리학,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북스힐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ing with modern physics, Serway, Jewett, Cengage Learning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