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베그적분] 4-1. 단조함수의 연속성과 르베그 정리 (2)
함수 \(f\)가 유계닫힌구간 \([a,\,b]\)에서 적분가능하다고 하자. 함수 \(f\)를 확장해서 구간 \((b,\,b+1]\)에서의 함수값을 \(f(b)\)라고 하자. \(0<h\leq1\)에 대하여 구간 \([a,\,b]\)에서 차분함수(divided difference function) \(\text{Diff}_{h}f\)와 평균값함수(average value function) \(\text{Av}_{h}f\)를 모든 \(x\in[a,\,b]\)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text{Diff}_{h}f(x)=\frac{f(x+h)-f(x)}{h},\,\text{Av}_{h}f(x)=\frac{1}{h}\int_{x}^{x+h}{f(t)dt}$$
4.6 실수 \(\alpha<\beta,\,\gamma>0\)에 대하여 \(g\)가 \([\alpha+\gamma,\,\beta+\gamma]\)에서 적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한다.$$\int_{\alpha}^{\beta}{g(x+\gamma)dx}=\int_{\alpha+\gamma}^{\beta+\gamma}{g(x)dx}$$ 증명: 먼저 \(\displaystyle g(x)=\chi_{[\alpha+\gamma,\,\beta+\gamma]}(x)\)라 하자. 그러면 \(g(x+\gamma)=\chi_{[\alpha,\,\beta]}(x+\gamma)\)이고 다음이 성립한다.$$\int_{\alpha+\gamma}^{\beta+\gamma}{g(x)dx}=\int_{\alpha+\gamma}^{\beta+\gamma}{\chi_{[\alpha+\gamma,\,\beta+\gamma]}(x)dx}=\beta-\alpha=\int_{\alpha}^{\beta}{\chi_{[\alpha,\,\beta]}(x+\gamma)dx}=\int_{\alpha}^{\beta}{g(x+\gamma)dx}$$ 이렇게 해서 \(g\)가 특성함수일 때 위 식이 성립함을 증명하였고 단순함수는 특성함수의 선형결합이므로 단순함수에 대해서 성립한다. 나머지는 유계가측함수의 적분의 정의, 음이 아닌 가측함수의 정의로부터 성립한다 (일반적인 경우는 \(f=f^{+}-f^{-}\)이고 \(f^{+},\,f^{-}\)는 음이 아닌 가측함수이다.). (QED) |
4.6으로부터 모든 \(a\leq\alpha<\beta\leq b\) 다음 식이 성립한다.$$\int_{\alpha}^{\beta}{\text{Diff}_{h}f(x)dx}=\text{Av}_{h}f(\beta)-\text{Av}_{h}f(\alpha)$$
4.7 함수 \(f\)가 유계닫힌구간 \([a,\,b]\)에서 증가함수라 하자. 그러면 \(f'\)은 \([a,\,b]\)에서 적분가능하고$$\int_{a}^{b}{f'(x)dx}\leq f(b)-f(a)$$이다. 증명: 함수 \(f\)는 구간 \([a,\,b+1]\)에서 증가하므로 \(f[[a,\,b+1]]=[f(a),\,f(b+1)]\)이고 구간 \([f(a),\,f(b+1)],\,[a,\,b+1]\)은 가측집합이다. 따라서 \(f\)와 \(f\)의 차분함수는 가측함수이다. 르베그의 정리(4.5)로부터 \(f\)는 \((a,\,b)\)의 거의 어디서나 미분가능하다. 그러므로 \(\left\{\text{Diff}_{\frac{1}{n}}f\right\}\)는 \([a,\,b]\)의 거의 어디서나 \(f'\)로 수렴하는 음이 아닌 가측함수열이다. 파투의 보조정리로부터$$\int_{a}^{b}{f'(x)dx}\leq\lim_{n\,\rightarrow\,\infty}{\inf{\int_{a}^{b}{\text{Diff}_{\frac{1}{n}}f(x)dx}}}$$이고 \(f\)는 증가함수이므로 4.6에 의해 모든 \(n\in\mathbb{N}\)에 대하여$$\int_{a}^{b}{\text{Diff}_{\frac{1}{n}}f(x)dx}=\frac{1}{\frac{1}{n}}\int_{b}^{b+\frac{1}{n}}{f(x)dx}-\frac{1}{\frac{1}{n}}\int_{a}^{a+\frac{1}{n}}{f(x)dx}\leq f(b)-\frac{1}{\frac{1}{n}}\int_{a}^{a+\frac{1}{n}}{f(x)dx}\leq f(b)-f(a)$$이고$$\lim_{n\,\rightarrow\,\infty}{\sup{\int_{a}^{b}{\text{Diff}_{\frac{1}{n}}f(x)dx}}}\leq f(b)-f(a)$$이다.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int_{a}^{b}{f'(x)dx}\leq\lim_{n\,\rightarrow\,\infty}{\inf{\int_{a}^{b}{\text{Diff}_{\frac{1}{n}}f(x)dx}}}\leq\lim_{n\,\rightarrow\,\infty}{\sup{\int_{a}^{b}{\text{Diff}_{\frac{1}{n}}f(x)dx}}}\leq f(b)-f(a)$$(QED) |
4.7의 부등식 \(\displaystyle\int_{a}^{b}{f'(x)dx}\leq f(b)-f(a)\)에서 우변은 증가함수 \(f\)의 열린유계구간 \((a,\,b)\)에서 닫힌유계구간 \([a,\,b]\)로의 확장함수에 대해서 성립한다. 그러면 이 부등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nt_{a}^{b}{f'(x)dx}\leq\sup_{x\in(a,\,b)}{f(x)}-\inf_{x\in(a,\,b)}{f(x)}$$
이 부등식의 우변이 \(f(b)-f(a)\)와 같을 필요충분조건은 \(f\)가 구간 \([a,\,b]\)의 양 끝점에서 연속인 것이다.
아무리 증가하는 연속함수일지라도 4.7의 부등식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구간 \([0,\,1]\)에서 정의된 칸토어-르베그 함수 \(\varphi\)는 증가하는 연속함수이나 \((0,\,1)\)의 거의 어디서나 \(\varphi'=0\)이므로$$\int_{0}^{1}{\varphi'(x)dx}=0<1=\varphi(1)-\varphi(0)$$이다.
유계닫힌구간 \([a,\,b]\)에서 연속인 함수 \(f\)가 열린구간 \((a,\,b)\) 에서 미분가능해도 \(f'\)이 \([a,\,b]\)에서 적분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 \([0,\,1]\)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 함수$$f(x)=\begin{cases}x^{2}\sin\left(\frac{1}{x^{2}}\right)\,&(0<x\leq1)\\0\,&(x=0)\end{cases}$$는 \((0,\,1)\)에서 미분가능하나 \(f'\)은 \([0,\,1]\)에서 적분가능하지 않다. \(0<x<1\)에 대하여 \(\displaystyle f'(x)=2x\sin\left(\frac{1}{x^{2}}\right)-\frac{2}{x}\cos\left(\frac{1}{x^{2}}\right)\)이므로 \(\displaystyle\int_{0}^{1}{|f'(x)|dx}=\infty\)이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Real Analysis 4th edition, Royden, Fitzpatrick, Pearson
'실변수 함수론 > 르베그적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베그적분] 4-3. 절대연속함수, 미분과 적분 (0) | 2017.04.20 |
---|---|
[르베그적분] 4-2. 유계변동함수: 조르단의 정리 (0) | 2017.04.19 |
[르베그적분] 4-1. 단조함수의 연속성과 르베그 정리 (1) (0) | 2017.04.18 |
[르베그적분] 3-5. 일반적인 비탈리 수렴정리와 측도수렴 (0) | 2017.04.17 |
[르베그적분] 3-4. 균등적분가능성: 비탈리 수렴정리 (0) | 2017.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