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연구소/연구소2021. 1. 6. 08:00
반응형

2차원 벡터장과 복소함수에 대한 고찰

 

 

지난번에는 실수함수와 복소함수에 대해 고찰을 했고, 이번에는 2차원 벡터장(이하 벡터장)과 복소함수에 대해 고찰을 하고자 한다.

 

먼저 벡터장은 2차원 벡터로 사상하는 이변수 벡터함수, 즉 \(\mathbf{F}:\mathbb{R}^{2}\,\rightarrow\,\mathbb{R}^{2}\)이고,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mathbf{F}(x,\,y)=P(x,\,y)\mathbf{i}+Q(x,\,y)\mathbf{j}$$복소함수는 복소수를 복소수로 대응하는 함수, 즉 \(f:\mathbb{C}\,\rightarrow\,\mathbb{C}\)인데 이때 임의의 복소수 \(z\)를$$z=x+iy\,(x,\,y\in\mathbb{R})$$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2변수함수로도 나타낼 수 있다.$$f(z)=u(x,\,y)+iv(x,\,y)\,(z=x+iy)$$선형대수학에서 \(\mathbf{i},\,\mathbf{j}\)는 \(\mathbb{R}^{2}\)의 기저를 나타낸다고 배웠다. 더 나아가서 현대대수학의 벡터공간 단원에서 \(1,\,i(=\sqrt{-1})\)은 \(\mathbb{C}\)의 기저이고 따라서 \(\mathbb{C}\)와 \(\mathbb{R}^{2}\)는 동형((실수)체의 연산에 대해 닫혀있고, 일대일로 대응시킬 수 있음)이라고 배우게 될 것이다. 이것이 복소수 전체의 집합 \(\mathbb{C}\)를 '복소평면'이라고 하는 이유이다. 

 

극한

벡터장의 극한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고$$\lim_{(x,\,y)\,\rightarrow\,(x_{0},\,y_{0})}{\mathbf{F}(x,\,y)}=\lim_{(x,\,y)\,\rightarrow\,(x_{0},\,y_{0})}{\{P(x,\,y)\mathbf{i}+Q(x,\,y)\mathbf{j}\}}$$이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다음의 두 극한이 모두 존재해야 한다.$$\lim_{(x,\,y)\,\rightarrow\,(x_{0},\,y_{0})}{P(x,\,y)},\,\lim_{(x,\,y)\,\rightarrow\,(x_{0},\,y_{0})}{Q(x,\,y)}$$복소함수의 극한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고,$$\lim_{z\,\rightarrow\,z_{0}}{f(z)}=\lim_{(x,\,y)\,\rightarrow\,(x_{0},\,y_{0})}{\{u(x,\,y)+iv(x,\,y)\}}\,(z_{0}=x_{0}+iy_{0})$$이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벡터장의 경우처럼 다음의 두 극한이 모두 존재해야 한다.$$\lim_{(x,\,y)\,\rightarrow\,(x_{0},\,y_{0})}{u(x,\,y)},\,\lim_{(x,\,y)\,\rightarrow\,(x_{0},\,y_{0})}{v(x,\,y)}$$이변수함수는 극한값이 존재하기 위한 조건이 매우 까다롭다. 왜냐하면 이변수함수는 경로에 따라 서로 다른 극한값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의 함수 \(f,\,g:\mathbb{R}^{2}\,\rightarrow\,\mathbb{R}\)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f(x,\,y)=\frac{3x^{2}y}{x^{2}+y^{2}},\,g(x,\,y)=\frac{x^{2}-y^{2}}{x^{2}+y^{2}}$$그러면$$|f(x,\,y)|\leq3|y|,\,\lim_{(x,\,y)\,\rightarrow\,(0,\,0)}{3|y|}=0$$이므로$$\lim_{(x,\,y)\,\rightarrow\,(0,\,0)}{f(x,\,y)}=0$$이나$$\lim_{(x,\,y)\,\rightarrow\,(0,\,0)}{g(x,\,y)}$$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x,\,y)\)가 각각 \(x\)축, \(y\)축에서 \((0,\,0)\)(원점)으로 접근할 때$$g(x,\,0)=\frac{x^{2}}{x^{2}}=1,\,g(0,\,y)=\frac{-y^{2}}{y^{2}}=-1$$이므로 원점으로의 극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복소함수 \(\displaystyle f(z)=\frac{z}{\overline{z}}\)는 다음과 같이 이변수함수로 나타낼 수 있고$$f(z)=\frac{x^{2}-y^{2}}{x^{2}+y^{2}}+\frac{2xy}{x^{2}+y^{2}}i$$\((x,\,y)\)가 각각 \(x\)축, \(y\)축 에서 원점으로 접근할 때$$f(z)=\frac{x^{2}}{x^{2}}=1,\,f(z)=\frac{-y^{2}}{y^{2}}=-1$$이므로 \(f(z)\)의 원점으로의 극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연속

벡터장의 연속 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lim_{(x,\,y)\,\rightarrow\,(x_{0},\,y_{0})}{\mathbf{F}(x,\,y)}=\mathbf{F}(x_{0},\,y_{0})$$복소함수의 연속 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lim_{z\,\rightarrow\,z_{0}}{f(z)}=f(z_{0})$$

 

미분, 적분

벡터장의 적분이 선적분이라는 점과 복소함수의 적분이 선적분이라는 점에서 적분은 비교가 가능하지만 미분의 경우, '벡터장의 미분'이라는 개념이 없어서 보존적이라는 개념과 보존적이기 위한 조건으로 대체할 것이다. 보존적 개념은 복소함수의 미분과 대응시킬 수 있고, 보존적이기 위한 조건은 복소함수가 미분가능하기 위한 조건인 코시-리만 방정식과 대응이 가능하다. 

 

벡터장 \(\mathbf{F}\)가 보존적이라는 것은 적당한 2변수함수 \(f\)가 존재해서 다음이 성립하는 것이다.$$\mathbf{F}=\nabla f=\frac{\partial f}{\partial x}\mathbf{i}+\frac{\partial f}{\partial y}\mathbf{j}$$또한 벡터장 \(\mathbf{F}=P(x,\,y)\mathbf{i}+Q(x,\,y)\mathbf{j}\)이 보존적이면 다음의 등식이 성립하고$$\frac{\partial P}{\partial y}=\frac{\partial Q}{\partial x}$$역은 벡터장이 단순연결영역(빈 구멍이 없는 닫힌영역) 위에서 정의된 경우에만 성립한다.

 

복소함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f'(z_{0})=\lim_{z\,\rightarrow\,z_{0}}{\frac{f(z)-f(z_{0})}{z-z_{0}}},\,f'(z)=\lim_{\Delta z\,\rightarrow\,0}{\frac{f(z+\Delta z)-f(z)}{\Delta z}}$$왼쪽의 식은 미분계수, 오른쪽의 식은 도함수이다.

다음의 복소함수$$f(z)=u(x,\,y)+iv(x,\,y)$$가 한 점 \(z_{0}=x_{0}+iy_{0}\)의 근방에서 정의되었고, 그 근방에서 \(u(x,\,y),\,v(x,\,y)\)의 1계 편도함수가 존재하고, 점 \((x_{0},\,y_{0})\)에서 연속이며, 다음의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한다고 하자.$$u_{x}(x_{0},\,y_{0})=v_{y}(x_{0},\,y_{0}),\,u_{y}(x_{0},\,y_{0})=-v_{x}(x_{0},\,y_{0})$$그러면 \(f'(z_{0})\)이 존재하고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f'(z_{0})=u_{x}(x_{0},\,y_{0})+iv_{x}(x_{0},\,y_{0})$$다음의 벡터장에 대해$$\mathbf{F}(x,\,y)=(x^{2}+y^{2})\mathbf{i}+2xy\mathbf{j}$$다음이 성립한다.$$\frac{\partial}{\partial y}(x^{2}+y^{2})=2y=\frac{\partial}{\partial x}(2xy)$$그러면 이 벡터장은 보존장이고 \(\mathbf{F}=\nabla f\)를 만족하는 \(f\)가 존재한다. 이때$$f_{x}(x,\,y)=x^{2}+y^{2},\,f_{y}(x,\,y)=2xy$$이므로$$f(x,\,y)=xy^{2}+g(x)$$이고$$f_{x}=y^{2}+g'(x)=x^{2}+y^{2}$$이므로$$g'(x)=x^{2}$$이고$$g(x)=\frac{1}{3}x^{3}+C$$이므로 따라서$$f(x,\,y)=xy^{2}+\frac{1}{3}x^{3}+C$$다음의 복소함수에 대해$$f(z)=z^{2}$$다음과 같이 이변수함수로 나타낼 수 있고$$f(z)=(x^{2}-y^{2})+2xyi$$각 성분들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자.$$u(x,\,y)=x^{2}-y^{2},\,v(x,\,y)=2xy$$임의의 \(z=x+iy\)에 대하여$$u_{x}(x,\,y)=2x=v_{y}(x,\,y),\,u_{y}(x,\,y)=-2y=-v_{x}(x,\,y)$$이므로 복소평면 위에서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한다. 그러므로 \(f(z)\)는 복소평면 전체에서 미분가능하고 다음이 성립한다.$$f'(z)=2x+i2y=2(x+iy)=2z$$

 

벡터장 \(\mathbf{F}:\mathbb{R}^{2}\,\rightarrow\,\mathbb{R}^{2}\)의 곡선 \(C:\mathbb{r}(t)\,(a\leq t\leq b)\)위에서의 선적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int_{C}{\mathbf{F}\cdot d\mathbf{r}}=\int_{a}^{b}{\mathbf{F}(\mathbf{r}(t))\cdot\mathbf{r}'(t)dt}$$만약 벡터장 \(\mathbb{F}\)가 다음과 같으면$$\mathbf{F}(x,\,y)=P(x,\,y)\mathbf{i}+Q(x,\,y)\mathbf{j}$$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므로$$\begin{align*}\int_{C}{\mathbf{F}\cdot d\mathbf{r}}&=\int_{a}^{b}{\mathbf{F}(\mathbf{r}(t))\cdot\mathbf{r}'(t)dt}\\&=\int_{a}^{b}{(P(x,\,y)\mathbf{i}+Q(x,\,y)\mathbf{j})(x'(t)\mathbf{i}+y'(t)\mathbf{j})dt}\\&=\int_{a}^{b}{\{P(x(t),\,y(t))x'(t)+Q(x(t),\,y(t))y'(t)\}dt}\end{align*}$$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t_{C}{\mathbf{F}\cdot d\mathbf{r}}=\int_{C}{Pdx+Qdy}\,(dx=x'(t)dt,\,dy=y'(t)dt)$$복소함수 \(f:\mathbb{C}\,\rightarrow\,\mathbb{C}\)의 곡선 \(C:z=z(t)\,(a\leq t\leq b)\)위에서의 선적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int_{C}{f(z)dz}=\int_{a}^{b}{f(z(t))z'(t)dt}$$복소함수 \(f(z)\)와 경로 \(C:z=z(t)\,(a\leq t\leq b)\)가 다음과 같다면$$f(z)=u(x,\,y)+iv(x,\,y),\,z(t)=x(t)+iy(t)$$복소 선적분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begin{align*}\int_{C}{f(z)dz}&=\int_{C}{(u+iv)(dx+idy)}\\&=\int_{C}{udx-vdy}+i\int_{C}{vdx+udy}\end{align*}$$벡터장 \(\mathbf{F}\)에 대한 선적분 \(\displaystyle\int_{C}{\mathbf{F}\cdot d\mathbf{r}}\)이 경로에 독립이라는 것은 곡선 \(C\)의 양 끝점을 잇는 임의의 두 경로 \(C_{1},\,C_{2}\)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하는 것이다.$$\int_{C_{1}}{\mathbf{F}\cdot d\mathbf{r}}=\int_{C_{2}}{\mathbf{F}\cdot d\mathbf{r}}$$복소함수 \(f(z)\)에 대한 선적분 \(\displaystyle\int_{C}{f(z)dz}\)가 경로에 독립이라는 것은 곡선 \(C\)의 양 끝점을 잇는 임의의 두 경로 \(C_{1},\,C_{2}\)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하는 것이다.$$\int_{C_{1}}{f(z)dz}=\int_{C_{2}}{f(z)dz}$$이때 \(C\)의 양 끝점이 각각 \(z=z_{1}\), \(z=z_{2}\)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t_{z_{1}}^{z_{2}}{f(z)dz}$$선적분의 기본정리

곡선 \(C:\mathbf{r}(t)\,(a\leq t\leq b)\)와 이변수함수 \(f\)의 그래디언트 \(\nabla f\)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int_{C}{\nabla f\cdot d\mathbf{r}}=f(\mathbf{r}(b))-f(\mathbf{r}(a))$$선적분의 기본정리로부터 벡터장 \(\mathbf{F}\)가 보존적, 즉 적당한 이변수함수 \(f\)가 존재해서 \(\mathbf{F}=\nabla f\)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int_{C}{\mathbf{F}\cdot d\mathbf{r}}=f(\mathbf{r}(b))-f(\mathbf{r}(a))$$미분가능한 복소함수 \(F(z)\)에 대하여 \(F'(z)=f(z)\)라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int_{z_{1}}^{z_{2}}{f(z)dz}=F(z_{2})-F(z_{1})$$벡터장 \(\mathbf{F}(x,\,y)\)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mathbf{F}(x,\,y)=-\frac{y}{x^{2}+y^{2}}\mathbf{i}+\frac{x}{x^{2}+y^{2}}\mathbf{j}$$이 벡터장은 \(\mathbb{R}^{2}-\{0\}\) 위에서 정의되고, 곡선 \(C\)가 다음과 같을 때$$C:\mathbf{r}(t)=\cos t\mathbf{i}+\sin t\mathbf{j}\,(0\leq t\leq2\pi)$$이 벡터장의 곡선 \(C\)위에서의 선적분은$$\begin{align*}\int_{C}{\mathbf{F}\cdot d\mathbf{r}}&=\int_{0}^{2\pi}\left\{-\frac{\sin t}{\cos^{2}t+\sin^{2}t}\mathbf{i}+\frac{\cos t}{\cos^{2}t+\sin^{2}t}\mathbf{j}\right\}(-\sin t\mathbf{i}+\cos t\mathbf{j})dt\\&=\int_{0}^{2\pi}{(\sin^{2}t+\cos^{2}t)dt}\\&=\int_{0}^{2\pi}{1dt}=2\pi\end{align*}$$복소함수 \(\displaystyle f(z)=\frac{1}{z}\)의 곡선 \(C:z=e^{it}\,(a\leq t\leq b)\)위에서의 선적분은 다음과 같다.$$\begin{align*}\int_{C}{f(z)dz}&=\int_{0}^{2\pi}{\frac{1}{e^{it}}ie^{it}dt}\\&=\int_{0}^{2\pi}{idt}=2\pi i\end{align*}$$이때 복소함수 \(f(z)\)와 곡선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f(z)=\frac{x}{x^{2}+y^{2}}-\frac{y}{x^{2}+y^{2}}i,\,z(t)=\cos t+i\sin t$$다음이 성립한다.$$\begin{align*}\int_{C}{\frac{x}{x^{2}+y^{2}}dx+\frac{y}{x^{2}+y^{2}}}dy&=\int_{0}^{2\pi}{\{-(\cos t\sin t)+\sin t\cos t\}}dt=0\\ \int_{C}{-\frac{y}{x^{2}+y^{2}}dx+\frac{x}{x^{2}+y^{2}}dy}&=\int_{0}^{2\pi}{\{(-\sin t)^{2}+\cos^{2}t\}dt}=2\pi\end{align*}$$참고자료:

Calculus 7th edition, Stewart, Cengage Learning

Complex Variables and Applications 8th edition, Brown, Churchill, McGraw-Hill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