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이론적 배경(1)



심리학적 관점과 이론

심리학 이론과 지식은 교육이론과 교육방법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정신분석학적 이론

프로이트로부터 비롯된 정신분석학은 심리학이나 상담이론 뿐만 아니라 20세기의 인간관, 철학, 사회사상 및 각종 학문에 영향을 주었다.

다음은 정신분석학의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1. 초기 정신분석학은 성적(性的) 욕구를 인간행동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으로 가정했다.

2. 정신분석학의 핵심적 개념 중에 무의식(unconscious)이라는 개념이 있다. 무의식의 반대는 의식(conscious)으로 우리가 경험하는 것을 인지하거나 느낄 수 있는 상태를 지칭한다. 

3. 정신분석학에서는 정신역동(psychodynamic)이라는 개념을 고안했다. 이 개념은 모호해서 간단히 말하자면 어린 시절 부모나 기타 중요한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로부터 생긴다. 

정신분석이론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관의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여러 가지 상담기법을 탄생시켰다.


행동심리학적 이론

행동심리학은 미국의 심리학자 왓슨(Watson)에 의해 주창되고 스키너(Skinner)에 의해 절정에 달했는데 이들의 입장을 행동주의(behaviorism)라고 한다. 다음은 행동주의의 기본 가정 몇 가지이다.

1. 심리학에서 해야 할 일은 행동을 연구하는 것이다. 

2. 행동심리학에서는 자극과 반응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로 관심을 가진다. 

3. 행동심리학에서 연구하는 행동은 관찰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다음은 행동심리학의 주요 개념이다.

학습: 심리학에서의 학습은 반응에 변화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에 할 줄 모르던 행동을 새롭게 하게 된 것도 학습이고, 행동에 빈도/강도에 변화가 생긴 것도 학습이다. 

고전적 조건화: 조건화는 심리학 용어 'conditioning'을 번역한 말이고 조건화 대신 조건형성이라고도 한다. 고전적 조건형성은 주로 침, 위액분비 등과 같은 생리적 반응, 눈 깜빡이기 등의 조건반사행동, 공포/불안과 같은 정서반응 등에서 일어난다. 고전적 조건화를 다른 말로 수동 조건화라고도 한다.

작동 조건화: 작동 조건화는 능동적 행동에 조건형성이 발생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수동행동은 어떤 자극에 대해 유기체가 반응한 것인 반면 작동행동은 유기체가 환경에 대해 어떤 조작을 가한 것이다. 손다이크는 고양이 실험을 통해 '효과의 법칙'이라는 연구결과를 얻었는데 학습은 결과를 효과적으로 얻는 방법을 터득하기 때문이다. 

강화: 행동학습을 촉진시키는 기제이다(예: 보상).

소멸: 이미 형성된(학습된) 행동을 약화시키거나 없애는 것

일반화: 왓슨(Watson)은 어린 아이가 쥐에 가까이 접근할 때 큰 금속소리를 내서 아이를 놀라게 했고 그 이후로 그 아이는 흰 쥐 뿐만 아니라 흰색에 공포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을 학습의 일반화라고 한다. 

사회학습(모방/관찰학습): 인간은 타인의 행동을 보고 모방한다. 또는 타인의 행동이 보상/벌을 받는지 보고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거나 타인에 대한 감정/관계에 따라 행동이 달라진다. 이러한 현상을 사회학습이라고 한다. 


행동심리학은 여러 경로를 통해 교육현장에 응용되었다. 

1. 행동수정 기법은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아동들의 부적은 행동을 교정하는데 사용되었다.

2. 행동심리학은 교과수업에도 큰 변화를 일으켰다. 

그러나 행동심리학은 아직도 그 기본 이론과 법칙들이 동물실험을 통해 밝혀진 것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인지심리학은 현대 심리학의 주류이다. 

인지적 상담과 심리치료의 이론과 기법은 인지적 실험심리학과는 별개로 발생했다. 다음은 대표적인 인지치료이론 두 가지이다.

1. 일리스(Ellis)의 합리-정서 치료이론: 이 이론은 인간을 이해할 때 사고(인지)-정서(감정)-행동의 세 가지 측면을 종합해서 본다. 

2. 벡(Beck)의 인지치료이론: 벡의 인지치료는 내담자와의 협조관계 형성을 강조하며 일리스의 치료기법에 비해 유연하다.

인지치료는 이론이 단순하지만 치료기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특히 청소년, 대학생 상담에서 인지치료법은 효과적이다. 

인지나 행동에 주목하는 단기상담은 학교현장에서 환영받기에 적합하나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정신분석은 학교상담이나 생활지도에서는 부적합하다. 


정신분석과 행동심리학은 한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인간을 '결정론적'으로 본다는 것이다. 인간을 결정론적으로 본다는 것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할 때 원인-결과의 결과로 설명을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 성격이나 행동 등은 이미 과거의 학습이나 경험에 의해 비롯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결정론에 반대하는 입장도 있다. 이것은 인간의 자유의지(free will)를 중요하는 관점으로서 인간의 성격이나 행동은 그 개인이 선택하는 것이지 어떤 원인에 의해 결정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인간이 과거의 경험과 학습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으나 인간에게는 자신의 의지, 취향, 가치관 등에 의해 선택하는 측면이 강하고, 인간이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는 측면이 많아질수록 그는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조절하고 통제하는 인간이 된다는 것이다. 

정신분석과 행동심리학을 각각 제1, 제2의 심리학이라고 하면, 이러한 이론을 제3의 심리학이라고 한다. 

인간주의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할 때 행동의 원인보다는 행동의 목적에 더 주목을 한다. 즉 과거보다 미래에 더 주목하는 것이다. 또한 인간의 성장욕구에도 주목했다. 매슬로우(Maslow)는 인간은 생존과 안전을 위한 기본적인 욕구, 소속감, 사랑, 자존감 등의 사회적 욕구가 있고, 그 외에 자기 자신의 타고난 가능성과 인생의 목표를 실현하려는 자기실현의 욕구가 있다고 했다.


인간은 특징적 개성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많은 공통점(신생아-손에 잡히는 것들을 입으로 가져간다, 2세 전후-말을 한다)들을 공유하고 있다. 인간의 발달에 공통점이 있다는 사실에 대해 심리학자들은 '발달과제'와 '발달단계'라는 중요한 개념을 제시했다.

발달과제는 인간은 그 시기에 반드시 성취해야 할 경험이나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발달단계는 이미 여러 심리학자들에 의해 단계별로 이론이 정립되어있다. 프로이트는 아동기에 성심리발달단계설을, 피아제는 인지능력이 발달하는 단계, 에릭슨은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콜버그는 도덕적 사고능력의 발달단계 이론을 제시했다.

다음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이다.


출생~1세: 신뢰감 Vs 불신감

양육의 질에 따라 신뢰 또는 불신의 태도를 발달시키게 된다.


2~3세: 자율성 Vs 회의감 및 수치심

아동이 자율적 의지를 실천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타인과의 관계에서 수치심을 느끼고 자신에 대한 회의감을 일으킨다.


4~5세: 주도성 Vs 죄책감

주도성에 대한 욕구는 다른 아동과 갈등을 유발하거나 어른들과의 관계를 불편하게 만들 수 있어서 주도성을 발휘하는 데 처벌을 심하게 받거나 금지당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자기주도성에 대한 죄책감이 과도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이 죄책감은 초자아(양심)의 근원이 되고, 죄책감은 아동의 행동을 조심하고 통제하게 한다.


6~11세: 근면성 Vs 열등감

이 시기에는 부모 또는 교사로부터 근면성에 대한 건설적이고 교훈적인 칭찬과 강화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못하고 성인들로부터 조롱과 거부적 태도를 많이 당하면 열등의식이 발달한다. 열등의식의 이면에는 남에게 자신을 겸손하게 낮추고 남들과 협조하는 행동을 발달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12~18세: 정체감 Vs 역할 혼돈

청소년기는 아동기와 성인기간의 과도기적 시기로서 자아정체감(자기가 어떤 사람인가?)을 형성하고 수용하는 일이 중요하다. 정체감이 형성된 개인들은 확신을 가지고 다가오는 성인기에 대비하지만 실패한 개인들은 정체감 위기, 즉 역할혼돈에 빠진다. 단 충분한 자기탐색 기간을 거치지 않고 정체감이 너무 일찍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19세~성인 초기: 친밀성 Vs 고립감

이 시기에는 성인으로서 역할을 발전시키는 시기로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다. 그러나 자신의 정체감을 타인과 융화시킨다고 해서 자신의 정체감을 잃어서는 안된다. 친밀관계를 수립하는데 실패한 사람은 또다른 타인과 친밀한 관계에 이르는 과정을 회피하게 되고 고립감을 발달시킨다.


중년기: 생산성 Vs 침체감

이 시기에는 자녀를 낳고 자신이 종사하는 분야에서 직업적 성취나 업적을 내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생산성 형성에 실패한 개인은 침체감에 빠지고 대인관계가 빈곤해진다.


노년기: 자아 통합감 Vs 절망감

이 시기에는 자신의 인생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통합시키는 경험을 하는데 자신의 생애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하는 경우 통합감보다 절망감에 빠지고 인생을 후회하게 된다.


참고자료: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김계현 외 6인, 학지사 

반응형

'교육학&수학교육 > 생활지도및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비행(1)  (0) 2020.11.18
5. 진로  (0) 2020.11.17
4. 학업  (0) 2020.11.16
3.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이론의 배경(2)  (0) 2020.11.15
1.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개념  (0) 2020.11.13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