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팩트 공간
덮개의 정의: 위상공간 \(X\)의 부분집합들을 모은 집합 \(\mathcal{C}=\{G_{\gamma}\}_{\gamma\in\Gamma}\)가 \(A\subset X\)에 대하여 \(\displaystyle A\subset\bigcup_{\gamma\in\Gamma}{G_{\gamma}}\)이면 \(\mathcal{C}\)를 \(A\)의 덮개(cover)라고 한다.
\(\mathcal{C}_{0}\)이 \(\mathcal{C}\)의 부분집합이고 \(A\)의 덮개이면 \(\mathcal{C}_{0}\)을 \(\mathcal{C}\)의 부분덮개(subcover)이라 한다. \(A\)의 덮개 \(\mathcal{C}=\{G_{\gamma}\}_{\gamma\in\Gamma}\)의 모든 원소 \(G_{\gamma}\)가 모두 열린집합이면 \(\mathcal{C}\)를 \(A\)의 열린덮개(open cover)라고 한다.
\(X\)를 위상공간이라 하고 \(A\subset X\)라 하자. \(A\)의 임의의 열린덮개 \(\mathcal{C}\)가 한 유한부분덮개 \(\mathcal{C}'=\{G_{1},\,\cdots,\,G_{n}\}\)를 포함할 때 \(A\)를 \(X\)의 컴팩트 부분집합(compact subset)이라 하고 \(X\)가 컴팩트이면 \(X\)를 컴팩트공간(compact space)이라 한다.
모든 위상공간 \(X\)의 유한부분집합과 공집합은 컴팩트이고 이산공간 \(X,\,\mathcal{D}\)가 컴팩트공간이 되려면 \(X\)가 유한집합이어야 한다.
보통위상공간 \(\mathbb{R},\,\mathcal{U}\)의 유계폐구간 \([a,\,b]\)는 컴팩트이다. \(\mathcal{C}=\{G_{\gamma}\}_{\gamma\in\Gamma}\)를 \([a,\,b]\)의 임의의 한 열린덮개라 하자. \([a,\,b]\)의 부분집합 \(A\)를$$A=\{x\in[a,\,b]\,|\,[a,\,x]는\,유한개의\,G_{\gamma}로\,덮힌다\}$$라 하면 \(A\subset[a,\,b]\)이고 \(a\in A\)이므로 \(A\neq\emptyset\)이다. 따라서 \(c\in[a,\,b]\)가 존재해서 \(c=\sup A\)이다. \(c<b\)이면 \(G_{\gamma}\in\mathcal{C}\)가 존재해서 \(c\in G_{\gamma}\)이고 \(G_{\gamma}\)는 \((\mathbb{R},\,\mathcal{U})\)에서 열린집합이므로 \(\epsilon>0\)이 존재해서 \((c-\epsilon,\,c+\epsilon)\subset G_{\gamma},\,c+\epsilon<b\)이다. 따라서 \(c\)의 정의에 의해 \(\left[a,\,c-\frac{\epsilon}{2}\right]\)은 \(G_{\gamma_{1}},\,\cdots,\,G_{\gamma_{n}}\)으로 덮히고 \(G_{\gamma_{1}},\,\cdots,\,G_{\gamma_{n}},\,G_{\gamma}\)는 \(\left[a,\,c+\frac{\epsilon}{2}\right]\)을 피복한다. 이렇게 되면 \(A\)의 정의에 의해 \(c+\frac{\epsilon}{2}\in A\)이고 이는 \(c=\sup A\)라는 사실에 모순이다. 따라서 \(c=b\)이어야 한다.$$[a,\,b]\subset\left(\bigcup_{i=1}^{n}{G_{\gamma_{i}}}\right)\cup G_{\gamma}$$이므로 \([a,\,b]\)의 임의의 열린덮개 \(\mathcal{C}\)는 유한부분덮개를 갖고 따라서 \([a,\,b]\)는 컴팩트집합이다.
보통위상공간 \(\mathbb{R},\,\mathcal{U}\)는 컴팩트공간이 아니다. 왜냐하면 \(\{(-n,\,n)\}_{n\in\mathbb{N}}\)은 보통위상공간의 열린덮개이나 유한개의 부분피복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0,\,1)\)의 열린덮개 \(\{\left(\frac{1}{n+2},\,\frac{1}{n}\right)\}_{n\in\mathbb{N}}\)는 \((0,\,1)\)을 덮으나 유한개의 부분피복을 갖지 않는다.
8.1 \(X\)를 컴팩트공간, \(f:\,X\,\rightarrow\,Y\)를 연속함수라 하자. 그러면 \(f[X]\)는 컴팩트이다. 증명: \(\{G_{\gamma}\}_{\gamma\in\Gamma}\)를 \(f[X]\)의 열린덮개라 하자. 그러면 \(f\)가 연속함수이므로 \(\{f^{-1}[G_{\gamma}]\}_{\gamma\in\Gamma}\)는 \(X\)의 열린덮개이고 \(X\)가 컴팩트이므로 \(\{f^{-1}[G_{\gamma}]\}_{\gamma\in\Gamma}\)는 유한부분덮개 \(\{f^{-1}[G_{\gamma_{1}}],\,\cdots,\,f^{-1}[G_{\gamma_{n}}]\}\)을 갖고 \(\{G_{\gamma_{1}},\,\cdots,\,G_{\gamma_{n}}\}\)은 \(f[X]\)의 유한부분덮개가 되므로 따라서 \(f[X]\)는 컴팩트이다. (QED) |
8.2 \(X\)를 \(T_{2}\)공간, \(F\)를 \(X\)의 컴팩트 부분집합, \(x\notin F\)라 하자. 그러면 서로소인 열린집합 \(G\)와 \(H\)가 존재해서 \(x\in G,\,F\subset H\)이다. 증명: 모든 \(y\in F\)에 대하여 서로소인 열린집합 \(G_{y},\,H_{y}\)를 선택하고 \(x\in G_{y},\,y\in H_{y}\)라 하자. 그러면 \(\{H_{y}\}_{y\in F}\)는 \(F\)의 한 열린덮개이고 \(F\)가 컴팩트 부분집합이므로 \(\{H_{y}\}_{y\in F}\)는 유한부분덮개 \(\{H_{y_{1}},\,\cdots,\,H_{y_{n}}\}\)을 갖는다. \(\displaystyle G=\bigcap_{i=1}^{n}{G_{y_{i}}},\,H=\bigcup_{i=1}^{n}{H_{y_{i}}}\)라 하면 \(G\)와 \(H\)는 서로소인 열린집합이고 \(x\in G,\,F\subset H\)이다. (QED) |
8.3 (1) 컴팩트 공간에서 닫힌 부분집합은 컴팩트 집합이다. (2) \(T_{2}\)공간의 컴팩트 부분집합은 닫힌집합이다. 증명 (1): \(X\)를 컴팩트공간이라 하고 \(F\subset X\)를 닫힌집합, \(\{G_{\gamma}\}_{\gamma\in\Gamma}\)를 \(X\)의 열린덮개라 하고 \(\displaystyle F\subset\bigcup_{\gamma\in\Gamma}{G_{\gamma}}\)라 하자. \(X\)가 컴팩트공간, \(F\)는 닫힌집합 이므로 \(F^{c}\)는 열린집합이고 \(\displaystyle\bigcup_{\gamma\in\Gamma}{G_{\gamma}}\cup F^{c}\)는 \(X\)의 한 열린덮개이고 \(X\)를 덮는 유한부분덮개 \(\{G_{\gamma_{1}},\,\cdots,\,G_{\gamma_{n}}\}\cup\{F^{c}\}\)가 존재하여 \(X=\bigcup_{i=1}^{n}{G_{\gamma_{i}}}\cap F^{c}\)이다. \(F\cap F^{c}=\emptyset\)이므로 \(\displaystyle F\subset\bigcup_{i=1}^{n}{G_{\gamma_{i}}}\)이고 \(\{G_{\gamma_{1}},\,\cdots,\,G_{\gamma_{n}}\}\)은 \(\{G_{\gamma}\}_{\gamma\in\Gamma}\)의 유한부분덮개이므로 따라서 \(F\)는 컴팩트 집합이다. (2) 8.2에 의해 \(x\notin F\)에 대하여 서로소인 열린집합 \(G\)와 \(H\)가 존재해서 \(x\in G,\,F\subset H\)이다. 이때 \(x\in G\subset H^{c}\subset F^{c}\)이고 따라서 \(F^{c}\)는 열린집합이므로 \(F\)는 닫힌집합이다. (QED) |
8.4 컴팩트 \(T_{2}\)공간은 \(T_{4}\)공간이다. 즉 \(A,\,B\)를 \(T_{2}\)공간 \(X\)에서 서로소인 컴팩트 집합일 때, 서로소인 열린집합 \(G,\,H\)가 존재해서 \(A\subset G,\,B\subset H\)이다. 증명: \(A,\,B\)를 \(T_{2}\)공간 \(X\)에서 서로소인 컴팩트집합이라 하자. 8.2에 의해 모든 \(x\in X\)에 대하여 서로소인 열린집합 \(G_{x},\,H_{x}\)가 존재해서 \(x\in G_{x}\)이고 \(B\subset H_{x}\)이다. \(A\)는 컴팩트이므로 \(A\)의 열린덮개 \(\{G_{x}\}_{x\in X}\)는 유한부분덮개 \(\{G_{x_{1}},\,\cdots,\,G_{x_{n}}\}\)이다. \(\displaystyle G=\bigcup_{i=1}^{n}{G_{x_{i}}},\,H=\bigcap_{i=1}^{n}{H_{x_{i}}}\)라 하면 \(G,\,H\)는 열린집합이고 \(A\subset G,\,B\subset H\)이다. (QED) |
8.5 \(X\)를 컴팩트공간, \(Y\)를 \(T_{2}\)공간, \(f:\,X\,\rightarrow\,Y\)를 전단사 연속함수라 하자. 그러면 \(f\)는 위상동형사상이다. 증명: \(A\)를 \(X\)에서 닫힌집합이라 하자. 8.3의 (1)에 의해 \(A\)는 컴팩트집합이고 따라서 8.1에 의해 \(f[A]\)는 컴팩트이다. (QED) |
집합 \(X(\neq\emptyset)\)의 한 부분집합족 \(\mathcal{A}=\{A_{\gamma}\}_{\gamma\in\Gamma}\)가 \(\mathcal{A}\)의 임의의 유한부분집합족 \(\{A_{\gamma_{1}},\,\cdots,\,A_{\gamma{n}}\}\)에 대하여 \(\displaystyle\bigcap_{i=1}^{n}{A_{\gamma_{i}}}\neq\emptyset\)이면, \(\mathcal{A}\)는 유한상교성(finite intersection property)을 만족한다고 한다.
8.6 \(X\)를 위상공간이라 하자. 다음의 명제는 동치이다. (1) \(X\)는 컴팩트공간이다. (2) 교집합이 공집합인 \(X\)의 닫힌 부분집합들을 모은 집합족 \(\mathcal{A}=\{F_{\gamma}\}_{\gamma\in\Gamma}\)에 대하여 \(\{F_{\gamma_{1}},\,\cdots,\,F_{\gamma_{n}}\}\subset\mathcal{A}\)가 존재해서 \(\displaystyle\bigcap_{i=1}^{n}{F_{\gamma_{i}}}=\emptyset\)이다. (3) 유한상교성을 만족하는 \(X\)이 임의의 닫힌부분집합들을 모은 집합족 \(\mathcal{A}=\{F_{\gamma}\}_{\gamma\in\Gamma}\)가 존재해서 \(\displaystyle\bigcap_{\gamma\in\Gamma}{F_{\gamma}}\neq\emptyset\)이다. 증명 (1)\(\Rightarrow\)(2): \(X\)를 컴팩트공간, \(\mathcal{A}=\{F_{\gamma}\}_{\gamma\in\Gamma}\)를 교집합이 공집합인 \(X\)의 닫힌 부분집합들을 모은 집합족이라 하자. 가정에 의해 \(\displaystyle\bigcap_{\gamma\in\Gamma}{F_{\gamma}}=\emptyset\)이고 \(X=\emptyset^{c}=\left(\bigcap_{\gamma\in\Gamma}{F_{\gamma}}\right)^{c}=\bigcup_{\gamma\in\Gamma}{F_{\gamma}^{c}}\)이다. 따라서 \(\mathcal{C}=\{F_{\gamma}^{c}\}_{\gamma\in\Gamma}\)는 \(X\)의 열린덮개이고 \(X\)는 컴팩트이므로 \(\mathcal{C}\)는 유한부분덮개 \(\{F_{\gamma_{1}}^{c},\,\cdots,\,F_{\gamma_{n}}^{c}\}\)을 갖고 \(X=\displaystyle\bigcup_{i=1}^{n}{F_{\gamma_{i}}^{c}}=\left(\bigcap_{i=1}^{n}{F_{\gamma_{i}}}\right)^{c}\)이므로 따라서 \(\displaystyle\bigcap_{i=1}^{n}{F_{\gamma_{i}}}=\emptyset\)이다. (2)\(\Rightarrow\)(1): \(\mathcal{C}=\{G_{\gamma}\}_{\gamma\in\Gamma}\)를 \(X\)의 임의의 열린덮개라 하자. \(X=\displaystyle\bigcup_{\gamma\in\Gamma}{G_{\gamma}}\)이므로 \(\emptyset=X^{c}=\left(\bigcup_{\gamma\in\Gamma}{G_{\gamma}}\right)^{c}=\bigcap_{\gamma\in\Gamma}{G_{\gamma}^{c}}\)이고 \(\mathcal{A}=\{G_{\gamma}^{c}\}_{\gamma\in\Gamma}\)의 원소들의 교집합은 공집합, \(G_{\gamma}^{c}\)는 닫힌집합이므로 가정에 의해 \(\{G_{\gamma_{1}},\,\cdots,\,G_{\gamma_{n}}\}\subset\mathcal{C}\)가 존재해서 \(\displaystyle\bigcap_{i=1}^{n}{G_{\gamma_{i}}^{c}}=\emptyset\)이다. 따라서 \(\displaystyle X=\emptyset^{c}=\left(\bigcap_{i=1}^{n}{G_{\gamma_{i}^{c}}}\right)^{c}=\bigcup_{i=1}^{n}{G_{\gamma_{i}}}\)이므로 \(X\)는 컴팩트공간이다. (2)와 (3)은 서로 대우명제이다. (QED) |
\(X\)를 위상공간이라 하자. \(X\)상의 모든 수열들이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가지면 \(X\)를 수열컴팩트공간(sequential compact space)라 하고 \(X\)의 가산개의 열린덮개가 유한부분덮개를 가지면 \(X\)를 가산컴팩트공간(countably compact space)라고 한다.
8.7 컴팩트공간은 가산컴팩트공간이다. 증명: \(X\)를 컴팩트공간이라 하고 \(\mathcal{C}=\{G_{i}\}\)를 \(X\)의 열린덮개라 하자. \(X\)가 컴팩트공간이므로 \(\mathcal{C}\)는 유한부분덮개 \(\{G_{i_{1}},\,\cdots,\,G_{i_{n}}\}\subset\mathcal{C}\)를 갖고 따라서 가산컴팩트공간의 정의에 의해 \(X\)는 가산컴팩트공간이다. (QED) |
8.8 수열컴팩트공간은 가산컴팩트공간이다. 증명: \(X\)를 위상공간이고 가산컴팩트공간이 아니라고 하자. 그러면 한 열린덮개 \(\mathcal{C}=\{G_{1},\,G_{2},\,\cdots\}\)가 존재해서 유한부분덮개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n\in\mathbb{N}\)에 대하여 \(\displaystyle\bigcup_{i=1}^{n}{G_{i}}\not\subset X\)이고 따라서 수열 \(a_{n}\)이 존재해서 \(a_{n}\in X-\displaystyle\bigcup_{i=1}^{n}{G_{i}}\)이다. 이 경우 \(a_{n}\)은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갖지 않는다. 왜냐하면 \(a\in\displaystyle\bigcup_{i=1}^{\infty}{G_{i}}\)에 대하여 이므로 어떤 \(G_{n}\)에 대하여 \(a_{n}\in G_{n}\)이고 \(a_{1},\,a_{2},\,\cdots,\,a_{n-1}\)이외의 수열의 원소는 \(G_{n}\)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a_{n}\}\)의 어떠한 부분수열도 \(a\)에 수렴하지 않는다. 따라서 \(X\)는 수열컴팩트공간이 아니다. (QED) |
8.8은 제 1가산공간일 때 역이 성립한다.
8.7과 8.8로부터 컴팩트공간이면 가산컴팩트공간이고 수열컴팩트공간이면 가산컴팩트공간이고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그러나 거리공간에서는 서로 동치이다.
참고자료
Topology second edition, Munkres, Pearson
Real Analysis: Modern Techniques and Their Application, Folland, Wiley
위상수학 기초론, 장영식,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