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정축에 대한 강체의 회전 (2: 관성모멘트, 평행축 정리)



크기가 있는 강체의 관성모멘트는 그 물체가 각각 질량이 \(\Delta m_{i}\)인 많은 수의 작은 요소들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여 구할 수 있다. 식 \(\displaystyle I=\sum_{i}{r_{i}^{2}\Delta m_{i}}\)를 사용하고 이 합에 대해 \(\Delta m_{i}\,\rightarrow\,0\)일 때의 극한을 구한다. 이 극한에서 합은 물체의 부피에 대한 적분이 된다.$$I=\lim_{\Delta m_{i}\,\rightarrow\,0}{\sum_{i}{r_{i}^{2}\Delta m_{i}}}=\int{r^{2}dm}$$관성모멘트를 계산할 때, 질량요소(\(dm\)) 보다 부피요소(\(dV\))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이 쉽기 때문에 밀도$$\rho=\frac{m}{V}$$(\(\rho\): 밀도, \(m\): 질량, \(V\): 부피)

를 이용하여 바꿀 수 있다. 즉 \(\rho=\frac{m}{V}\)로부터 \(\displaystyle dm=\rho dV\,\left(\rho=\frac{dm}{dV}\right)\)가 되므로$$I=\int{r^{2}dm}=\int{\rho r^{2}dV}$$물체가 균일하면 밀도 \(\rho\)는 일정하므로 알려진 기하학적 형태에 대해 그 적분값을 계산할 수 있다. \(\rho\)가 일정하지 않으면 위치에 대한 변화를 알아야 적분할 수 있다.


참고:

부피질량밀도 (\(\rho=\frac{m}{V}\)): 단위부피에 대한 질량을 표시

표면질량밀도 (\(\sigma=\rho t\), \(t\)는 물체의 두께): 단위면적에 대한 질량을 표시

선질량밀도 (\(\lambda=\rho A\), \(A\)는 물체의 단면적): 단위길이에 대한 질량을 표시


다음은 여러가지 모양의 균일한 강체의 관성모멘트이다.

굴렁쇠/얇은 실린더


가운데가 빈 실린더

속이 꽉 찬 실린더/디스크

사각형판


회전축이 중심을 지나는 길고 가는 막대

회전축이 끝을 지나는 길고 가는 막대

속이 꽉 찬 구

속이 빈 구 껍질

위 물체들에 대한 관성모멘트 공식유도:


굴렁쇠/얇은 실린더: 질량 \(M\), 전체반지름 \(R\)

$$I_{\text{CM}}=\int{r^{2}dm}=R^{2}\int{dm}=MR^{2}$$이므로 \(\displaystyle I_{\text{CM}}=MR^{2}\)


가운데가 빈 실린더: 질량 \(M\), 뚫린 부분의 반지름 \(R_{1}\), 전체반지름 \(R_{2}\), 밀도 \(\rho\), 높이 \(h\)

전체질량이 \(M=\rho\pi(R_{2}^{2}-R_{1}^{2})h\)이므로 \(m=\rho\pi(r_{2}^{2}-r_{1}^{2})h\)라고 하면 \(dm=2\rho\pi(r_{2}dr_{2}-r_{1}dr_{1})\)이므로$$\begin{align*}I_{\text{CM}}&=\int{r^{2}dm}=2\pi\rho h\int{r^{2}(r_{2}dr_{2}-r_{1}dr_{1})}=2\pi\rho h\left(\int_{0}^{R_{2}}{r_{2}^{3}dr_{2}}-\int_{0}^{R_{1}}{r_{1}^{3}dr_{1}}\right)=\frac{1}{2}\pi\rho h(R_{2}^{4}-R_{1}^{4})\\&=\frac{1}{2}\rho(R_{2}^{2}-R_{1}^{2})\pi h(R_{2}^{2}+R_{1}^{2})=\frac{1}{2}M(R_{2}^{2}+R_{1}^{2})\end{align*}$$이고 따라서 \(\displaystyle I_{\text{CM}}=\frac{1}{2}M(R_{1}^{2}+R_{2}^{2})\)


속이 꽉 찬 실린더/디스크: 질량 \(M\), 전체반지름 \(R\)

단면적의 넓이는 \(\pi R^{2}\)이므로 \(A=\pi r^{2}\)라 하면 \(dA=2\pi rdr\)이고 두께가 균일하기 때문에 \(\displaystyle\frac{M}{\pi R^{2}}=\frac{dm}{dA}\)이다. 그러면$$dm=\frac{M}{\pi R^{2}}dA=\frac{M}{\pi R^{2}}2\pi rdr=\frac{2M}{R^{2}}rdr$$이고 따라서$$I_{\text{CM}}=\int{r^{2}dm}=\frac{2M}{R^{2}}\int_{0}^{R}{r^{3}dr}=\frac{1}{2}MR^{2}$$


사각형판: 질량 \(M\), 전체 가로길이 \(a\), 전체 세로길이 \(b\), 면밀도 \(\sigma\)

사각형판의 가로길이를 \(x\), 세로길이를 \(y\)라 하면 \(M=\sigma ab\)이므로$$I_{\text{CM}}=\int{r^{2}dm}=\int_{-\frac{b}{2}}^{\frac{b}{2}}{\int_{-\frac{a}{2}}^{\frac{a}{2}}{(x^{2}+y^{2})dx}dy}=\frac{1}{12}\rho ab(a^{2}+b^{2})=\frac{1}{12}(a^{2}+b^{2})$$


회전축이 중심을 지나는 길고 가는 막대: 질량 \(M\), 전체길이 \(L\), 선밀도 \(\lambda\)

\(\displaystyle\lambda=\frac{M}{L}\)이므로 막대의 길이를 \(x\)라 하면 \(dm=\lambda dx=\frac{M}{L}dx\)이고 \(r^{2}=x^{2}\)이므로$$I_{\text{CM}}=\int{r^{2}dm}=\frac{M}{L}\int_{-\frac{L}{2}}^{\frac{L}{2}}{x^{2}dx}=\frac{1}{12}ML^{2}$$


회전축이 끝을 지나는 길고 가는 막대: 질량 \(M\), 전체길이 \(L\), 선밀도 \(\lambda\)

\(\displaystyle\lambda=\frac{M}{L}\)이므로 막대의 길이를 \(x\)라 하면 \(dm=\lambda dx=\frac{M}{L}dx\)이고 \(r^{2}=x^{2}\)이므로$$I_{\text{CM}}=\int{r^{2}dm}=\frac{M}{L}\int_{0}^{L}{x^{2}dx}=\frac{1}{3}ML^{2}$$



속이 꽉 찬 구: 질량 \(M\), 전체반지름 \(R\), 밀도 \(\rho\)

속이 꽉 찬 구의 관성모멘트는 디스크(구의 잘린 단면)들의 합으로 구한다.

구의 중심에서 잘린 단면적까지의 높이를 \(l\)이라 하면, \(R^{2}=a^{2}+l^{2}\)이므로 단면의 관성모멘트는 \(I=\frac{1}{2}a^{2}=\frac{1}{2}(R^{2}-l^{2})\)이다. 그러면 \(\displaystyle dI=\frac{1}{2}(R^{2}-l^{2})dm\)이고 디스크 하나의 질량은 \(m=\rho\pi a^{2}l=\rho\pi(R^{2}-l^{2})\)l이므로 \(dm=\rho\pi(R^{2}-l^{2})dl\)이고$$dI=\frac{1}{2}(R^{2}-l^{2})dm=\frac{1}{2}(R^{2}-l^{2})\rho\pi(R^{2}-l^{2})dl=\frac{1}{2}\rho\pi(R^{4}-2R^{2}l^{2}+l^{2})dl$$이다. 그러면$$I_{\text{CM}}=\int{dI}=\frac{1}{2}\rho\pi\int_{-R}^{R}{(R^{4}-2R^{2}l^{2}+l^{4})dl}=\frac{8}{15}\rho\pi R^{5}=\left(\frac{4}{3}\rho\pi R^{3}\right)\frac{2}{5}R^{2}$$이고 \(M=\frac{4}{3}\rho\pi r^{3}\)이므로 따라서 \(\displaystyle I_{\text{CM}}=\frac{2}{5}MR^{2}\)이다.


속이 빈 구 껍질: 질량 \(M\), 전체반지름 \(R\), 면밀도 \(\sigma\)

왼쪽 그림에서 색칠된 부분의 단면의 질량은 \(dm=\sigma\cdot2\pi(R\cos\theta)(Rd\theta)\)이고 \(z=R\sin\theta,\,dz=R\cos\theta d\theta\)이므로 \(dm=2\pi R\sigma dz\)이다. \(r^{2}=R^{2}-z^{2}\)이므로$$I_{\text{CM}}=\int{r^{2}dm}=\int_{-R}^{R}{(R^{2}-z^{2})\sigma2\pi Rdz}=\frac{8}{3}\sigma\pi R^{4}$$이고 이때 \(M=4\pi R^{2}\sigma\)이므로$$I_{\text{CM}}=\frac{2}{3}(4\pi R^{2}\sigma)R^{2}=\frac{2}{3}MR^{2}$$


평행축 정리(parallel-axis theorem)


질량중심을 지나며 그림면에 수직인 축에 대한 관성모멘트를 \(I_{\text{CM}}\)이라 하면 \(z\)축에 대한 관성모멘트는 \(I_{z}=I_{\text{CM}}+MD^{2}\)이다.


(평행축 정리 유도)

실린더의 관성모멘트는 그 길이에 관계없기 때문에, \(z\)축을 따라 질량이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에 관계없다.(3차원 물체를 그림처럼 평평한 물체로 압축시킨다고 생각) 이러한 과정에서 모든 질량은 \(xy\)평면에 도달할 때 까지 \(z\)축에 나란하게 움직인다. 이제 물체의 질량중심의 좌표는 \((x_{\text{CM}},\,y_{\text{CM}},\,z_{\text{CM}})=(0,\,0,\,0)\)이고 질량요소 \(dm\)의 좌표는 \((x,\,y,\,0)\)이다.


\(z\)축으로부터 질량요소까지의 거리가 \(r=\sqrt{x^{2}+y^{2}}\)이기 때문에 \(z\)축에 대한 관성모멘트는 \(\displaystyle I=\int{r^{2}dm}=\int{(x^{2}+y^{2})dm}\)이다. 여기서 질량요소 \(dm\)의 좌표 \((x,\,y)\)는 질량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에서의 좌표 \(x',\,y'\)와 연관시킬 수 있다. 만약 \(\mathrm{O}\)를 중심으로 하는 원래의 좌표계에서 질량중심좌표가 \((x_{\text{CM}},\,y_{\text{CM}},\,z_{\text{CM}})=(0,\,0,\,0)\)이면 그림에서 새로운 좌표계(primed)와 원래 좌표계(unprimed)의 좌표는 \(x=x'+x_{\text{CM}},\,y=y'+y_{\text{CM}},\,z=z'+z_{\text{CM}}\)의 관계가 있다. 따라서$$I=\int{\left[(x'+x_{\text{CM}})^{2}+(y'+y_{\text{CM}})^{2}\right]dm}=\int{[(x')^{2}+(y')^{2}]dm}+2x_{\text{CM}}\int{x'dm}+2y_{\text{CM}}\int{y'dm}+(x_{\text{CM}}^{2}+y_{\text{CM}}^{2})\int{dm}$$이 된다.

\(\displaystyle I_{\text{CM}}=\int{[(x')^{2}+(y')^{2}]dm}\)은 \(z\)축과 평행하고 질량중심을 통과하는 축에 대한 관성모멘트이고 질량중심의 정의에 의해 \(\displaystyle\int{x'dm}=\int{y'dm}=0\), \(\int{dm}=M\), \(D^{2}=x_{\text{CM}}^{2}+y_{\text{CM}}^{2}\)이므로 따라서 \(I=I_{\text{CM}}+MD^{2}\).


참고자료

대학물리학,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북스힐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ing with modern physics, Serway, Jewett, Cengage Learning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