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0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1차 35번, 2017학년도 2교시 전공A 11번



2010학년도 1차 35번


다음은 주어진 문제의 풀이를 단계별로 제시한 것이다. (가), (나), (다), (라)에 알맞은 것은?

<문 제>


복소수 전체 집합을 \(\mathbb{C}\)라 하자. \(D=\{z\in\mathbb{C}\,|\,|z|<2\}\)이고, 함수 \(f:D\,\rightarrow\,\mathbb{C}\)가 \(D\)에서 해석적(analytic)이라 하자. 

\(f(0)=f'(0)=0\), \(f''(0)\neq0\)이고 \(\displaystyle f\left(\frac{1}{3}\right)=\frac{i}{12}\)이며 모든 \(z\in D\)에 대해서 \(|f(z)|\leq3\)일 때 \(\displaystyle f\left(\frac{2i}{3}\right)\)의 값은?    

    

 <풀 이>


<1단계> 함수 \(f\)가 \(D\)에서 해석적이므로 \(\displaystyle f(z)=\sum_{n=0}^{\infty}{a_{n}z^{n}}\)이 되고, 따라서$$f(z)=\text{[(가)]}\cdot g(z)$$의 꼴이다. (단, \(g(z)\)는 \(D\)에서 해석적이며 \(g(0)\neq0\)이다.)

<2단계> \(0<r<2\)인 \(r\)에 대하여 \(|z|=r\)일 때 \(|g(z)|\leq\text{[(나)]}\)이 성립한다. 

여기서 최대 절댓값 정리(maximum modulus theorem)를 적용하면 \(|z|\leq r\)일 때 \(|g(z)|\leq\text{[(나)]}\)이다.

이 명제는 임의의 \(r<2\)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모든 \(z\in D\)에 대하여 \(|g(z)|\leq\text{[(다)]}\)이다. 

<3단계> 위의 결과와 \(\displaystyle f\left(\frac{1}{3}\right)=\frac{i}{12}\)를 사용하여 \(g(z)\)를 구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면 \(\displaystyle f\left(\frac{2i}{3}\right)=\text{[(라)]}\)임을 알 수 있다.    


문제에서 \(f(0)=f'(0)=0\)이고 \(f''(0)\neq0\)이므로 \(D\)에서 해석적이고 \(g(0)\neq0\)인 함수 \(g(z)\)에 대하여 \(f(z)=z^{2}g(z)\)의 꼴이다. 따라서 [(가)]에 알맞은 것은 \(z^{2}\)이다. 

앞의 결과에서 \(f(z)=z^{2}g(z)\)이고 \(0<r<2\)인 \(r\)에 대하여 \(|z|=r\)일 때 \(|f(z)|\leq3\)이므로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g(z)|=\left|\frac{f(z)}{z^{2}}\right|\leq\frac{3}{r^{2}}$$따라서 [(나)]에 알맞은 것은 \(\displaystyle\frac{3}{r^{2}}\)이다.

임의의 \(r<2\)에 대하여 부등식 \(\displaystyle|g(z)|\leq\frac{3}{r^{2}}\)가 성립하고, \(\displaystyle\frac{3}{r^{2}}\)는 \(0<r<2\)일 때 감소,$$\lim_{r\,\rightarrow\,0+}{\frac{3}{r^{2}}}=\infty,\,\lim_{r\,\rightarrow\,2-}{\frac{3}{r^{2}}}=\frac{3}{4}$$이므로 모든 \(z\in D\)에 대하여 \(\displaystyle|g(z)|\leq\frac{3}{4}\)이고 따라서 [(다)]에 알맞은 것은 \(\displaystyle\frac{3}{4}\)이다. 

그러면 최대 절댓값 정리(원리)로부터 모든 \(z\in D\)에 대하여 \(g(z)\)는 상수함수이고 \(g(z)=c(\neq0)\)라 하자. 그러면 \(f(z)=cz^{2}\)이고 \(\displaystyle f\left(\frac{1}{3}\right)=\frac{i}{12}\)이므로$$f\left(\frac{1}{3}\right)=\frac{c}{9}=\frac{i}{12}$$이고 \(\displaystyle c=\frac{3i}{4}\)이므로 \(\displaystyle f(z)=\frac{3}{4}iz^{2}\)이다.

따라서 \(\displaystyle f\left(\frac{2i}{3}\right)=\frac{3}{4}i\left(-\frac{4}{9}\right)=-\frac{i}{3}\)이고 [(라)]에 알맞은 것은 \(\displaystyle-\frac{i}{3}\)이다.  


2017학년도 2교시 전공A 11번


복소평면 \(\mathbb{C}\)의 영역 \(D=\{z\in\mathbb{C}\,|\,0<|z|<1\}\)에 대하여 함수 \(f:D\,\rightarrow\,\mathbb{C}\)는 해석적(analytic)이다. 임의의 \(z\in D\)에 대하여 함수 \(f(z)\)가 부등식$$|f(z)|\leq1+\ln\left(\frac{1+|z|}{2|z|}\right)$$를 만족시킨다. \(z=0\)은 함수 \(f(z)\)의 제거가능한 특이점(없앨 수 있는 특이점, removable singular point)임을 보이고, \(\displaystyle f\left(\frac{1}{2}\right)=1\)일 때 \(\displaystyle f\left(\frac{1+i}{3}\right)\)의 값을 풀이 과정과 함께 쓰시오.


먼저 \(z=0\)이 함수 \(f(z)\)의 제거가능한 특이점임을 보이자. 로랑정리에 의해 \(z=0\)에서 \(f(z)\)의 로랑급수는 다음과 같고$$f(z)=\sum_{n=0}^{\infty}{a_{n}z^{n}}+\sum_{n=1}^{\infty}{b_{n}z^{-n}}$$곡선 \(C_{r}:|z|=r\,(0<r<1)\)에 대해$$b_{n}=\frac{1}{2\pi i}\int_{C_{r}}{\frac{f(z)}{z^{-n+1}}dz}$$이므로 \(C_{r}\)에서$$|b_{n}|=\left|\frac{1}{2\pi i}\int_{C_{r}}{z^{n-1}f(z)dz}\right|\leq\frac{1}{2\pi}\cdot2\pi r\cdot r^{n-1}\left\{1+\ln\left(\frac{1+r}{2r}\right)\right\}=r^{n}\left\{1+\ln\left(\frac{1+r}{2r}\right)\right\}$$이고 \(\displaystyle\lim_{r\,\rightarrow\,0+}{r^{n}\left\{1+\ln\left(\frac{1+r}{2r}\right)\right\}}=0\)이므로 이것은 \(z=0\)에서 \(f(z)\)의 주부(principal part)의 계수 \(b_{n}\)이 모두 0, 즉 주부가 0임을 뜻하고 따라서 \(\displaystyle f(z)=\sum_{n=0}^{\infty}{a_{n}z^{n}}\)이므로 \(z=0\)은 \(f(z)\)의 제거가능한 특이점이다. 

\(z=0\)이 \(f(z)\)의 제거가능한 특이점이므로 \(\displaystyle\alpha=\lim_{z\,\rightarrow\,0}{f(z)}\)라 하고 함수 \(g(z)\)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g(z)=\begin{cases}f(z)&\,z\in D\\ \alpha&\,z=0\end{cases}$$그러면 \(g(z)\)는 \(D\cup\{0\}\) 즉 \(|z|<1\)에서 해석적이고 \(0<r<1\)인 \(r\)에 대하여 \(|z|=r\)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g(z)|\leq1+\ln\left(\frac{1+r}{2r}\right)$$또한 \(\displaystyle1+\ln\left(\frac{1+r}{2r}\right)\)은 \(0<r<1\)에서 감소,$$\lim_{r\,\rightarrow\,0+}{\left\{1+\ln\left(\frac{1+r}{2r}\right)\right\}}=\infty,\,\lim_{r\,\rightarrow\,1-}{\left\{1+\ln\left(\frac{1+r}{2r}\right)\right\}}=1$$이므로 모든 \(z\in D\cup\{0\}\)에 대해 \(|g(z)|\leq1\)이고 최대 절댓값 원리에 의해 \(g(z)\)는 상수함수이다. \(\displaystyle g\left(\frac{1}{2}\right)=f\left(\frac{1}{2}\right)=1\)이므로 \(g(z)=1\)이고, \(D\)에서 \(f(z)=1\).

\(\displaystyle\frac{1+i}{3}\in D\)이므로 따라서 \(\displaystyle f\left(\frac{1+i}{3}\right)=1\)이다.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