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 35. 촉매
반응속도는 반응물의 농도와 온도의 영향을 받지만 촉매가 존재하느냐의 영향도 받는다. 촉매(catalyst)는 반응과정 동안 자신은 소모되지 않으면서 반응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물체이다. 그 예로 염소산 포타슘의 열분해를 가속하는 검은색 가루인 이산화 망가니즈는 촉매로 작용한다.
촉매가 없을 때 KClO3은 매우 느리게 분해되고, 가열할 때도 느리다. 그러나 소량의 MnO2를 섞어주면 산소의 발생이 빠르게 일어나고 반응이 완결된 후 원래 상태대로 회수할 수 있다.
촉매는 반응물이 생성물로 변환하는데 더 낮은 에너지의 메커니즘이 가능하게 해서 반응속도를 가속시킨다. 다음은 염기성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의 분해이다.2H2O2(aq)→2H2O(l)+O2(g)물과 산소에 대해 불안정하지만 높은 활성화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상온에서 매우 느리게 분해된다. 그러나 아이오딘화 이온(I−)이 존재하면 반응은 더 낮은 에너지 경로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H2O2는 촉매(I−)를 하이포아아이오딘산 이온(IO−)으로 먼저 산화시키고 그 다음에 중간체 IO−를 I−로 다시 환원시킨다. 촉매는 단계 1에서 소모되었다가 단계 2에서 재생되기 때문에 전체 반응에서 나타나지 않으나 반응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관찰된 속도법칙에 나타난다.rate=k[H2O2][I−]아레니우스 식에서 더 큰 잦음률(A) 또는 더 작은 활성화에너지(Ea)의 둘 중 하나 때문에 촉매가 있는 반응경로는 촉매가 없는 경로보다 더 빠른 속도를 가질 수 있다. 그렇지만 보통 촉매는 더 낮은 활성화에너지를 가진 반응경로가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촉매는 균일촉매와 불균일촉매로 분류된다. 균일촉매(homogeneous catalyst)는 반응물과 같은 상으로 존재하는 촉매이다(예: 앞의 반응에서의 아이오딘화 이온(I−))).
대기 중에서 일산화질소(NO)는 산소 분자가 오존으로 변환되는 반응에 대한 기체상 균일 촉매이고, 그 과정은 다음의 반응으로 기술된다.
이 반응에서 일산화질소는 먼저 대기의 O2와 반응해 이산화질소를 생성한다, 생성된 이산화질소는 햇빛을 흡수하고 분해되어 산소 원자 하나를 내놓는데, 그 원자 하나가 O2와 반응해서 오존을 생성한다. 이 반응에서 촉매(NO)와 중간체(NO2와 O)는 전체 반응의 화학반응식에 나타나지 않는다.
불균일촉매(heterogeneous catalyst)는 반응물과 다른 상으로 존재하는 촉매이다. 보통 불균일촉매는 고체이고, 반응물은 기체 또는 액체이다. 다음은 합성 가솔린을 제조하는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과정이다.
이 반응에서 알루미나(Al2O3)위에 입힌 철 또는 코발트(Co)의 작은 금속입자들은 일산화탄소 기체와 수소 기체가 옥테인(C8H18)과 같은 탄화수소로 변환하는데 촉매작용을 한다.
불균일촉매에 의한 반응은 다음의 과정을 포함한다.
1. 흡착(adsorption)이라고 하는 과정으로 반응물이 촉매의 표면에 부착된다.(반응물이 매우 반응성이 큰 금속원자 표면에 화학결합 하는것)
2. 표면에서 반응물이 생성물로 변환되고
3. 표면에서 생성물이 탈착된다.
C=C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촉매 수소화 반응은 식품공업에서 불포화 식물성기름을 고체 지방으로 변환하는데 이용된다. 이 반응은 Ni, Pd, Pt같은 금속의 작은 입자들에 의해 촉매 작용한다.
위의 그림에 나와있듯이 금속 표면의 역할은 반응물을 흡착하고 H2 분자의 강한 H-H결합을 끊어서 속도 결정단계를 용이하게 한다. H-H결합이 끊어짐과 동시에 분리된 H원자가 표면 금속원자에 결합하기 때문에, 이 과정의 활성화에너지는 낮아진다. 다음으로 H원자들은 흡착된 C2H4분자의 C원자를 만날 때 까지 표면 위에서 돌아다닌다. 두 개의 새로운 C-H결합이 형성되면서 C2H6가 생성되고, 금속표면에서 탈착된다.
공업화학 공정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촉매는 불균일 촉매인데, 그 이유 중 하나는 이러한 촉매들은 반응 생성물로부터 쉽게 회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불균일 촉매를 사용하는 몇 가지 화학공정들이 나열되어 있다.
불균일 촉매의 또 다른 중요한 응용으로 자동차 촉매 변환장치가 있다. 자동차의 배기가스에는 연소되지 않은 탄화수소(CxHy), 일산화탄소(탄화수소 연료의 불완전 연소의 결과로 발생), 일산화질소(대기중의 질소와 산소가 자동차 엔진 내부의 높은 온도에서 결합해 생성) 같은 공기오염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다. 촉매 변환장치는 문제가 되는 오염물질을 이산화탄소, 물, 질소 및 산소로 변환시킨다.
촉매로 사용되는 금속은 귀금속이라고 불리는 Pt, Pd, Rh와 전이금속 산화물인 V2O5, Cr2O3, CuO이다. 참고로 촉매의 표면은 납의 흡착에 의해 오염되기 때문에 촉매 변환장치를 장착한 자동차(1975년 이후로 생산된 자동차)는 무연 휘발유를 사용한다.
참고자료:
Chemistry 7th edition, McMurry, Fay, Robinson, Pearson
'기초자연과학 > 일반화학 이론(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화학] 37. 평형상수의 이용 (0) | 2020.04.14 |
---|---|
[일반화학] 36. 평형상태, 평형상수 (0) | 2020.04.13 |
[일반화학] 34. 반응 메커니즘 (0) | 2020.04.02 |
[일반화학] 33. 아레니우스 식 (0) | 2020.04.01 |
[일반화학] 32. 적분속도법칙 (0) | 202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