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고장검사기술, 바이어스 안정화, 응용
-고장검사기술
먼저 전압을 측정하여 원하는 값이 나오는지를 검사한다.
VBE의 전압검사. |
VCE의 전압검사. 0.3V이면 포화상태이고, 0V이면 단락 또는 잘못 연결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VCE는 몇 볼트 이상이고 14VCC∼34VCC의 범위 내에 있다. |
VCE=VCC이면
(1) 트랜지스터 내부가 손상되어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가 개방되어 있다.
(2)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의 외부 연결단자가 제대로 연결되어있지 않다.(IC=0)
(3)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 외부 연결단자가 제대로 연결되어있지 않다.(IB=0,IC=0)
위의 이미터 팔로워 회로에서 250kΩ에 걸리는 전압이 19.85V이므로 트랜지스터는 OFF이고, IRB=19.85V250kΩ=79.4μA이고, 컬렉터 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20V로 VCC와 같으므로 IC=0이다. IRB=20V250kΩ+2kΩ=79.4μA이고 이 회로가 정상이라고 가정했을 때의 베이스 전류는 IB=VCC−VBERB+(1+β)RE=42.7μA이어야 하므로 트랜지스터는 손상되어 베이스와 이미터가 단락되어 있다.
위의 전압분배기 회로에서 VB=20kΩ20kΩ+80kΩ(20V)=4V이므로 베이스 전압 VB=4V는 적절하고, VBE=VB−VE=4V−3.3V=0.7V이므로 트랜지스터는 ON이다. 컬렉터 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20V이므로 컬렉터 전류는 0, 즉 IC=0이다.
따라서 이 전압분배기 회로의 문제점은 다음 중 하나이다.
(1) 외부 회로에서 RC와 컬렉터 사이의 연결이 되어있지 않다.
(2) 트랜지스터 내부의 JC개방.
-바이어스 안정화
온도변화에 따른 IC 변화이유:
a) ICO는 10∘C 증가할 때, 2배로 증가한다.
b) VBE는 2.5mV/C로 감소한다.(VBE(무릎전압)가 감소하면, IB가 증가하고 따라서 IC=가 증가한다.
c) 온도가 증가하면 β의 값이 증가한다.
다음 표는 온도변화에 따른 실리콘 트랜지스터의 ICO,β,VBE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위의 특성곡선들 중 왼쪽은 왼쪽 회로의 온도가 25∘C일때이고, 오른쪽은 25∘에서 100∘C로 올랐을 때 이다.
온도가 증가하면 ICO가 증가하고, ICO가 증가하면 β가 증가해서 IC도 증가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활성영역에서 포화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IC=βIB+(1+β)ICO)
1) 안정도 계수를 매개변수 ICO,VBE,β들의 변화에 대한 IC의 변화량으로 정의한다. 즉, 안정도 계수 S는 다음과 같다.S(ICO)=ΔICΔICO,S(VBE)=ΔICΔVBE,S(β)=ΔICΔβ 참고로 IC를 ICO,VBE,β에 대한 함수로 볼 수 있으므로ΔIC=S(ICO)ΔICO+S(VBE)ΔVBE+S(β)Δβ이다.
이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에서 IC=βIB+(1+β)ICO이고 VCC=IBRB+VBE+(IC+IB)RE이므로 IB=VCC−VBE−ICRERB+RE이고,IC(1+βRERB+RE)=βVCC−VBERB+RE+(1+β)ICO이므로 ΔIC(1+βRERB+RE)=(1+β)ΔICO이고S(ICO)=ΔICΔICO=(1+β)(1+RBRE)1+β+RBRE이다.
i) RBRE≪1이면, S(ICO)=1이고, 이 때가 S의 값이 최소이다. 가장 좋은 경우는 RBRE→0인 경우이다.
ii) 1<RBRE<1+β이면, S(ICO)=(1+β)(1+RBRE)(1+β)+RBRE≈RBRE
iii) RBRE≫(1+β)이면, S(ICO)≈1+β이다.
iv) RE=0이면, S(ICO)=1+β이고, 이 때가 S의 값이 최대이다. 가장 나쁜 경우는 RBRE→∞인 경우이다.
여러 바이어스 회로에 대한 안정도: IC=βIB+(1+β)ICO
(a): ICO가 증가하면 IB=VCC−VBERB는 상수이므로 IC가 증가하게 되는데 RE=0이므로 안정성이 좋지 않은 회로이다.
(b): ICO가 증가하면, IC가 증가하고 VE도 증가하는데 IB=VCC−VBE−VERB이므로 IB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IC가 일정하게 된다.
(c): ICO가 증가하면, IC가 증가하고 VRC도 증가하는데 IB=VCC−VBE−VRCRB이므로 IB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IC가 일정하게 된다.
(d): ICO가 증가하면, IC가 증가하고 VE도 증가하는데 VBE(=VB−VE)가 감소해서 IB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IC가 일정하게 된다.
2) S(VBE)
식 IC(1+βRERB+RE)=βVCC−VBERB+RE+(1+β)ICO에서 ΔIC(1+βRERB+RE)=−βRB+REΔVBE이므로S(VBE)=ΔICΔVBE=−βRB+(1+β)RE이다.
i) RE=0이면, S(VBE)=−βRE이고,
ii) (1+β)RE≫RB이면, S(VBE)=−β(1+β)RE≈−1RE이다. 이때가 가장 좋다.
3) S(β)
식 IC=β(VCC−VBE)+(1+β)(RB+RE)ICORB+(1+β)RE에서 VCC−VBE≫(RB+RE)ICO이므로 IC≈β(VCC−VBE)RB+(1+β)RE이다.
IC1=βIB1,IC2=βIB2,Δβ=β2−β1,ΔIC=IC2−IC1이라 하자. IC2IC1=(β2β1)RB+(1+β1)RERB+(1+β2)RE이므로IC2−IC1IC1=β2{RB+(1+β1)RE}−β1{RB+(1+β2)RE}β1{RB+(1+β2)RE}=Δβ((RB+RE)β1{RB+(1+β2)RE}이고S(β)=ΔICΔβ=(IC1β1)RB+RERB+(1+β2)RE=IC1(1+RBRE)β1(1+β2+RBRE)이다.
고정 바이어스의 경우, RE=0이므로 S(β)=IC1β1이고, RE→∞일 때, S(β)=IC1β1(1+β2)이다.
-응용: BJT 논리게이트
논리게이트는 트랜지스터가 직류일 때, 사용되는데 포화상태일 때는 큰 전류(IC)와 작은 전압(VCE)때문에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의 저항이 작고, 차단상태일 때는 작은 전류, 큰 전압 때문에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의 저항이 크다.
낮은 전압이 베이스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는 차단상태(C-E개방, 출력:0), 높은 전압이 베이스에 인가면 트랜지스터는 포화상태(C-E단락, 출력:1)이다.
참고자료: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ory 11th edition, Boylestad, Nashelsky, Pearson
'전자공학 > 전자회로(1: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전달 특성곡선, 규격서, 계측, BJT와 JFET와의 관계 (0) | 2018.12.23 |
---|---|
22. BJT와 FET의 비교 및 FET의 장단점, JFET의 구조와 특성 (0) | 2018.12.22 |
20. 전류거울 회로, 전류원, pnp트랜지스터, 스위칭 (0) | 2018.12.19 |
19. 설계방법, 다단 BJT 회로 (0) | 2018.12.18 |
18. 컬렉터 피드백, 이미터 팔로워, 공통 베이스, 기타 바이어스 회로 (0) | 2018.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