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반응형

33. 741연산증폭기의 직류해석



다음은 μA741 연산증폭기의 내부 회로도이다.


741 연산증폭기의 직류해석:

(1) 입력단과 바이어스 회로부분

IREF=V+VEB12VBE11VR5이고 Q10,R4,Q11은 Widlar 전류원(여기참고)을 형성하므로 IC10을 제공한다.

IREF=≃IC11=ISeVBE11VT이므로 VBE11=VTln(IREFIS)이고, IC10=ISeVBE10VT이므로 VBE10=VTln(IC10IS)이다. 그러면 VBE11VBE10=VTln(IREFIC10)=IC10R4이다. 여기서 베이스 전류를 무시하면 IC8=IC9=IC10이다.

Q1Q4의 동작점 컬렉터 전류는 IC1=IC2=IC3=IC4=IC82=IC102이고 베이스 전류를 무시하면IC5=IC6=IC3=IC4,IC7=IE7=2βIC6+VBE6+IC6R2R3이다. IC를 알 때 VBE6=VTln(I6IS).


Q1Q7은 입력단이고 Q8Q10은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Q1,Q2는 높은 입력저항을 제공하고 차동입력을 Q3,Q4의 차동 공통 베이스 증폭기에 전달한다. Q3,Q4는 pnp이고 최대 역방향 VBE50V이고, 공급전원이 입력에 연결될 때 Q1,Q2(npn이고 최대 역방향 VBE7V)를 보호한다.

Q5,Q6,Q7R1,R2,R3는 입력단의 능동부하로 작용하고, 부하저항이 크고 차동형태를 단일 출력형태(vC6)로 변환시킨다.

입력단의 직류전류들이 정확히 균형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면 Q6의 컬렉터 전압(둘째단의 입력)은 Q5의 컬렉터 전압과 같다. VC6=VBE7+VBE6+IC6R2+V이고 Q8,Q9는 전류거울이다. 


(2)이득단 부분

이득단은 Q16,Q17,Q13BR8,R9로 구성되어 있는데 Q12,Q13은 두개의 출력을 갖는 전류거울이고 이때 Q13A는 출력단에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하고, Q13BQ17에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한다. Q13B의 컬렉터 전류는 Q12의 컬렉터 전류(IREF)의 0.75배 즉, IC13B=0.75IREF=IC17이고 IC16=IE16=IB17+IE17R8+VBE17R9이다.

Q16은 입력저항이 크며 입력단에 대한 부하효과가 감소하고 Q17은 능동부하와 높은 이득을 갖는다.


(3) 출력단 부분

여기서 단락보호회로는 생략되었고, RLR6,R7이라고 가정한다.

전류원 Q13AQ18,Q19에 바이어스 전류(IBias)를 공급하고 입력신호는 Q2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Q18,Q19Q14,Q20의 두 베이스 단자 사이에 전압 2VBE를 제공한다(AB증폭기).

IC13A=0.25IREF=IBias이고 IC22=IBias, IC18=VBE19R10이며 IC19=IBiasIC18이다.

입력신호 vI가 증가(+부호)하면 VBB가 일정해서 Q14의 베이스 전압이 증가(+부호)하고 따라서 출력전압은 입력신호와 동일한 비율로 증가한다(Q20은 OFF, Q14는 ON).

출력단의 전압이득은 1(전력증폭기)이고 큰 교류전류 때문에 Q14,Q20의 면적은 보통적인 것의 3배이다.


(4) 단락 보호회로 부분

출력단이 단락되면 Q14의 컬렉터에 과도한 전류가 흘러서 Q14가 파괴된다. 정상상태에서 R6,R7,Q15,Q21,Q23,Q24는 OFF이다.

정상상태에서 Q15,Q21은 OFF이고 VBE15=IE14R6이며 단락 보호시 Q15,Q21둘 중 하나만 ON(vO가 +이면 Q15가 ON, vO가 -이면, Q21이 ON)이다.

R6Q15는 단락회로에서 Q14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고, Q20의 최대전류는 R7,Q21,Q24에 의해 제한된다. 


참고자료:

Microelectronics Circuit Analysis and Design 4th edition, Neamen, McGraw-Hill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