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복소평면 상의 경로와 경로적분

이것을 조르단 곡선정리(Jordan curve theorem)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 증명은 수준을 넘기 때문에 하지 않겠다.
복소평면에서의 점 z=z1부터 z=z2까지 복소함수 f(z)의 적분은 점 z=z1에서 z=z2를 잇는 경로 C에서의 적분으로 정의한다. 이를 ∫Cf(z)dz 또는 ∫z2z1f(z)dz로 나타낸다. 전자는 폐경로에서의 적분을 나타낼 때 사용되고 후자는 적분값이 두 점을 잇는 임의의 경로와 독립적일 때 사용된다.(보존적인 벡터장의 서로 다른 두 점을 잇는 임의의 경로에 대한 선적분과 비슷하다) 적분을 합의 극한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앞에서 다뤘던 실변수 복소함수의 적분을 이용하여 정의하겠다.
곡선 C가 다음과 같을 때C:z(t)(a≤t≤b)곡선 C 위에서의 복소함수 f(z)의 선적분(line integral) 또는 경로적분(contour integral)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Cf(z)dz=∫baf(z(t))z′(t)dtC가 경로이므로 z′(t)는 a≤t≤b에서 조각연속이고 따라서 위의 적분은 반드시 존재한다. 이 적분은 이변수함수의 선적분과 비슷하다. 앞에서 다른 실변수 복소함수의 성질로부터 임의의 α,β∈C와 복소함수 f(z), g(z)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C{αf(z)+βg(z)}dz=α∫Cf(z)dz+β∫Cg(z)dz경로 C에 대하여 −C는 경로 C와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즉 C가 다음의 곡선일 때C:z(t)(a≤t≤b)−C는−C:z(−t)(−b≤t≤−a)이고∫−Cf(z)dz=∫−a−bf(z(−t))ddtz(−t)dt=−∫−a−bf(z(−t))z′(−t)dt=−∫baf(z(τ))z′(τ)dτ(τ=−t)이므로∫−Cf(z)dz=−∫Cf(z)dz이다.
곡선 C1이 점 z1에서 z2까지 잇는 경로, C2가 점 z2에서 z3까지 잇는 경로라고 하자. 이를 a<c<b인 실수 a, c, b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C1:z(t)(a≤t≤c)C2:z(t)(c≤t≤b)이때 z1=z(a), z2=z(c), z3=z(b)이다. 앞에서 정의한 경로적분의 정의를 이용하면∫baf(z(t))z′(t)dt=∫caf(z(t))z′(t)dt+∫bcf(z(t))z′(t)dt이므로∫Cf(z)dz=∫C1f(z)dz+∫C2f(z)dz여기서 C는 C1과 C2를 이은 경로이다. 이 C를 C1과 C2의 합(sum)이라 하고 C1+C2로 나타낸다. 즉 C=C1+C2.
참고자료:
Complex Variables and applications 8th edition, Churchill, Brown, McGraw-Hill
'미적분학과 해석학 > 복소해석학(학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원시함수 (3) | 2018.01.19 |
---|---|
12. 경로적분의 예제와 크기에 대한 상계 (0) | 2018.01.18 |
10. 실변수 복소함수의 미분과 적분 (0) | 2018.01.15 |
9. 삼각함수와 역삼각함수 (2) | 2018.01.13 |
8.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 | 2018.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