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8.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실수에서의 지수 \(e^{x}\,(x\in\mathbb{R})\)는 값이 유일하다. 그러나 복소수의 경우$$e^{ix}=\cos x+i\sin x\,(x\in\mathbb{R})$$이므로 \(e^{ix}\)는 주기가 \(2\pi\)인 주기함수이다. 이는 복소지수는 주기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복소수 \(z=x+iy\)에 대하여 지수함수 \(e^{z}\)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e^{z}=e^{x+iy}=e^{x}e^{iy}=e^{x}\cos y+ie^{x}\sin y$$여기서 \(u(x,\,y)=e^{x}\cos y\), \(v(x,\,y)=e^{x}\sin y\)라 하면$$u_{x}=e^{x}\cos y=v_{y},\,u_{y}=-e^{x}\sin y=-v_{x}$$이고 \(e^{z}\)는 전해석 함수이므로 이 결과로부터$$\frac{d}{dz}e^{z}=u_{x}+iv_{x}=e^{x}\cos y+ie^{x}\sin y=e^{x}e^{iy}=e^{x+iy}=e^{z}$$라는 결과를 얻는다. 또한 실수 \(\theta_{1}\), \(\theta_{2}\)에 대하여 \(e^{i(\theta_{1}+\theta_{2})}=e^{i\theta_{1}}e^{i\theta_{2}}\)이므로 임의의 복소수 \(z_{1}\)과 \(z_{2}\)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displaystyle e^{z_{1}+z_{2}}=e^{z_{1}}e^{z_{2}},\,\frac{e^{z_{1}}}{e^{z_{2}}}=e^{z_{1}-z_{2}}$$모든 복소수 \(z\)에 대해 \(e^{z}\neq0\)이므로$$e^{z}=e^{x+iy}=\rho e^{i\phi}\,(\rho=e^{x},\,\phi=y)$$로 나타낼 수 있고$$|e^{z}|=e^{x}=\rho,\,\text{arg}(e^{z})=y+2n\pi\,(n\in\mathbb{Z})$$이다.
지수방정식 \(e^{z}=1+i\)의 해를 구하자.$$1+i=\sqrt{2}e^{i\frac{\pi}{4}}=e^{x}e^{iy}$$이므로$$e^{x}=\sqrt{2},\,e^{iy}=e^{i\frac{\pi}{4}}$$이다. 그러면$$x=\frac{1}{2}\ln2,\,y=\frac{\pi}{4}+2n\pi\,(n\in\mathbb{Z})$$이므로 이 지수방정식의 해는$$z=\frac{1}{2}\ln2+\left(2n+\frac{1}{4}\right)\pi i\,(n\in\mathbb{Z})$$이다. 

다음의 지수방정식을 고려하자.$$e^{w}=z\,(z\neq0)$$\(z=re^{i\Theta}\,(-\pi<\Theta\leq\pi)\), \(w=u+iv\)라 하면$$e^{u+iv}=e^{u}e^{iv}=re^{i\Theta}$$이고 \(e^{u}=r\), \(v=\Theta+2n\pi\)이므로$$w=\ln r+i(\Theta+2n\pi)\,(n\in\mathbb{Z})$$이다. \(w\)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log z=\ln r+i(\Theta+2n\pi)\,(n\in\mathbb{Z})$$여기서의 \(\log\)표기는 밑이 \(10\)인 상용로그가 아니라는 점과 하나의 값만을 갖지 않는다(무수히 많은 값을 가진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면$$e^{\log z}=z\,(z\neq0)$$이다. 앞의 \(\log z\)를 나타낸 식에서 \(n=0\)일 때의 \(\log z\)의 값을 \(\log z\)의 주값(principal value)이라 하고 이를 \(\text{Log}z\)로 나타낸다. 즉$$\text{Log}z=\ln r+i\Theta$$이고 여기서 \(\Theta=\text{Arg}z\)이다. 그러면$$\log z=\text{Log}z+2n\pi i\,(n\in\mathbb{Z})$$이 성립한다. 앞에서 지수방정식 \(e^{z}=1+i\)의 해가 \(\displaystyle\frac{1}{2}\ln 2+\left(2n+\frac{1}{4}\right)\pi i\,(n\in\mathbb{Z})\)이므로$$\log(1+i)=\frac{1}{2}\ln2+\left(2n+\frac{1}{4}\right)\pi i\,(n\in\mathbb{Z})$$이다. \(\log1=\ln1+i(0+2n\pi)=2n\pi i\,(n\in\mathbb{Z})\)이므로 \(\text{Log}1=0\)이다. 
실수에서의 로그는 양의 실수에서만 정의되지만 복소수에서의 로그는 음의 실수에 대한 값도 가진다. 즉 \(\ln(-1)\)는 정의되지 않지만 \(\log(-1)\)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log(-1)=\ln1+i(\pi+2n\pi)=(2n+1)\pi i\,(n\in\mathbb{Z})$$이때 \(\text{Log}(-1)=\pi i\)이다.   


복소수 \(z=re^{i\theta}\,(\neq0)\)의 로그값은 \(\log z=\ln r+i\theta\,(\theta=\Theta+2n\pi,\,n\in\mathbb{Z})\)이다. 여기서 \(\theta\)의 값을 임의의 \(\alpha\in\mathbb{R}\)에 대하여 \(\alpha<\theta<\alpha+2\pi\)로 제한하자. 그러면 이는 단가함수이고 정의역(아래그림참고)에서 연속이다. 

 이 그림에서의 반직선 \(\theta=\alpha\)를 \(\alpha\)-분지(branch)라고 하고 \(r>0,\,-\pi<\Theta<\pi\)인 경우를 주분지(principal branch)라고 한다. 앞에서 언급한 함수는 정의역에서 연속이고 성분함수 \(u(r,\,\theta)=\ln r\,(r>0)\), \(v(r,\,\theta)=\theta\)에 대하여$$ru_{r}=r\cdot\frac{1}{r}=1=v_{\theta},\,u_{\theta}=0=-rv_{r}$$이므로 \(\log z\)는 복소평면에서 \(\alpha\)-분지를 제외한 영역 \(r>0,\,\alpha<\theta<\alpha+2\pi\)에서 해석적이다. 그러므로 \(\log z\)는 이 영역에서 미분가능하고$$\frac{d}{dz}\log z=e^{-i\theta}(u_{r}+iv_{r})=e^{-i\theta}\left(\frac{1}{r}+i0\right)=\frac{1}{re^{i\theta}}=\frac{1}{z}$$이다. 이때 \(|z|>0\), \(\alpha<\text{arg}z<\alpha+2\pi\)임에 유의한다.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frac{d}{dz}\text{Log}z=\frac{1}{z}\,(|z|>0,\,-\pi<\text{Arg}z<\pi)$$실수상에서는 \(\ln8=\ln2^{3}=3\ln2\)가 성립했으나 복소수에서는 그렇지 않다.$$\text{Log}(i^{3})=\text{Log}(-i)=\ln1-i\frac{\pi}{2}=-\frac{\pi}{2}i\\3\text{Log}i=3\left(\ln1+i\frac{\pi}{2}\right)=\frac{3}{2}\pi i$$이므로 \(\text{Log}(i^{3})\neq3\text{Log}i\)이다. 복소로그도 실수에서와 같이 다음이 성립한다. 즉 \(0\)이 아닌 임의의 복소수 \(z_{1}\), \(z_{2}\)에 대하여$$\log(z_{1}z_{2})=\log z_{1}+\log z_{2},\,\log\frac{z_{1}}{z_{2}}=\log z_{1}-\log z_{2}$$주값의 경우는 위의 등식이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0\)이 아닌 복소수 \(z\)와 임의의 복소수 \(c\)에 대하여 \(z^{c}\)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z^{c}=e^{c\log z}$$여기서 \(\log z\)는 값이 여러개이다. \(z=re^{i\theta}(r>0,\,-\pi<\theta\leq\pi)\)일 때$$\displaystyle\begin{align*}z^{\frac{1}{3}}&=e^{\frac{1}{3}\log(re^{i\theta})}=e^{\frac{1}{3}(\text{Log}r+i(\theta+2n\pi))}\\&=e^{\frac{1}{3}\text{Log}r}e^{i\left(\frac{\theta}{3}+\frac{2n\pi}{3}\right)}\\&=\sqrt[3]{r}e^{i\left(\frac{\theta}{3}+\frac{2n\pi}{3}\right)}\,(n\in\mathbb{Z})\end{align*}$$이므로 \(z^{\frac{1}{3}}\)은 여러개의 값을 갖는다. 또한$$\log i=\ln1+i\left(\frac{\pi}{2}+2n\pi\right)=\left(2n+\frac{1}{2}\right)\pi i$$이므로 \(\displaystyle i^{-2i}=e^{-2i\log i}=e^{(4n+1)\pi}\)이고 여러개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로그함수의 분지를 이용하면 \(z^{c}\)의 값을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log z=\ln r+i\theta\,(r>0,\,\alpha<\theta<\alpha+2\pi)$$라 하면 \(z^{c}=e^{c\log z}\)는 값이 유일하고 해석적이다. 연쇄법칙을 이용해 \(z^{c}\)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다.$$\frac{d}{dz}z^{c}=\frac{d}{dz}e^{c\log z}=\frac{c}{z}e^{c\log z}=c\frac{e^{c\log z}}{e^{\log z}}=ce^{(c-1)\log z}=cz^{c-1}\,(|z|>0,\,\alpha<\text{arg}z<\alpha+2\pi)$$\(z^{c}\)의 주값은 로그가 주값인 경우이고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text{P.V.}z^{c}=e^{c\text{Log}z}\,(|z|>0,\,-\pi<\text{Arg}z<\pi)$$\((-i)^{i}\)의 주값을 구하면 \(\displaystyle e^{i\text{Log}(-i)}=e^{\left\{i\left(\ln1-i\frac{\pi}{2}\right)\right\}}=e^{\frac{\pi}{2}}\)이므로$$\text{P.V.}(-i)^{i}=e^{\frac{\pi}{2}}$$이다. 또한 \(\displaystyle z^{\frac{2}{3}}\)의 주값을 구하면 \(\displaystyle e^{\frac{2}{3}\text{Log}z}=e^{\left(\frac{2}{3}\ln r+\frac{2}{3}i\Theta\right)}=\sqrt[3]{r^{2}}e^{i\frac{2}{3}\Theta}\)이므로$$\text{P.V.}z^{\frac{2}{3}}=\sqrt[3]{r^{2}}\cos\frac{2}{3}\Theta+i\sqrt[3]{r^{2}}\sin\frac{2}{3}\Theta\,(r>0,\,-\pi<\Theta<\pi)$$이다. 

복소수 \(z_{1}=1+i\), \(z_{2}=1-i\), \(z_{3}=-1-i\)에 대하여 \((z_{1}z_{2})^{i}=z_{1}^{i}z_{2}^{i}\), \((z_{2}z_{3})^{i}=z_{2}^{i}z_{3}^{i}\)가 성립하나 주값으로 고른 경우는 \((z_{1}z_{2})^{i}=z_{1}^{i}z_{2}^{i}\), \((z_{2}z_{3})^{i}=z_{2}^{i}z_{3}^{i}e^{-2\pi}\neq z_{2}^{i}z_{3}^{i}\)이다.

0이 아닌 임의의 복소상수 \(c\)에 대해 밑이 \(c\)인 복소지수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c^{z}=e^{z\log c}$$\(\log c\)의 값이 정해지면 \(c^{z}\)는 전해석 함수이고 다음이 성립한다.$$\frac{d}{dz}c^{z}=\frac{d}{dz}e^{z\log c}=e^{z\log c}\log c=c^{z}\log c$$


참고자료:

Complex Variables and Applications 8th edition, Churchill, Brown, McGraw-Hill

복소함수론의 이해, 김군찬, 강영욱, 경문사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