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전자공학/회로이론2017. 10. 1. 23:00
반응형

39. 하이브리드 정수


V1=h11I1+h2V2,I2=h21I1+h22V2 또는 (V1I2)=h(I1V2), h=(h11h12h21h22)로 나타낸다.


h11=V1I1|V2=0: 단락회로 입력 임피던스 (단위: Ω).

h21=I2I1|V2=0: 단락회로 순방향 전류이득 (단위없음).

h12=V1V2|I1=0: 개방회로 역방향 전압이득 (단위없음).

h22=I2V2|I1=0: 개방회로 출력 어드미턴스 (단위: S)


이 정수들은 임피던스, 어드미턴스, 전압이득, 전류이득을 나타내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정수라고 부른다. h11, h12, h21, h22는 각각 hi, hr, hf, ho로 나타내는데 여기서 아래첨자는 입력, 역방향, 순방향, 출력을 의미한다(h11=hi, h12=hr, h21=hf, h22=ho).



1. I1=1A,V2=0V(단락)일 때 V1=3.4Ω, I2=0.4A

h11=3.4Ω,h21=0.4

2. I1=0A(개방) V2=1V일 때 V1=0.4V, I2=0.1A

h12=0.4,h22=0.1S.

h=(3.4Ω0.40.40.1S).


 

왼쪽 회로는 일반적인 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이다.


V1=h11I1+h12V2(KVL)

I2=h21I1+h22V2(KVL)




초기의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모양이다.


참고자료:

Engineering Circuit Analysis 8th edition, Hayt, Kemmerly, Durbin, McGraw-Hill

반응형

'전자공학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병렬공진  (0) 2018.05.24
40. 전송정수  (0) 2017.10.02
38. 임피던스 정수  (0) 2017.09.30
37. 등가 회로망  (0) 2017.09.29
36. 쌍향성소자, 상호정리, 이중형태의 상호정리  (0) 2017.09.28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