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커패시터와 인덕터
외부장치에 공급하는 평균전력이 0보다 큰 소자를 능동소자(예: 이상적인 전원, 가변증폭기), 0보다 작은 소자를 수동소자(예: 저항, 커패시터)라고 한다.
커패시터
SI단위는 패럿(F, Farad, 단위볼트당 쿨롱)이고 직류에 대해서 개방회로로 동작하고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은 시간에 대한 연속함수이다. 관계식은 \(\displaystyle i=C\frac{dv}{dt}\).
\(\displaystyle\frac{dv}{dt}=\frac{1}{C}i\)이므로 \(\displaystyle v(t)=\frac{1}{C}\int_{t_{0}}^{t}{i(\tau)d\tau}+v(t_{0})\). 여기서 \(t_{0}=-\infty\), \(v(t_{0})=0\). 그러면 \(q(t)=Cv(t)\)이다.
커패시터에 전달되는 전력은 \(\displaystyle P=vi=Cv\frac{dv}{dt}\)이고 에너지의 변화는 \(\displaystyle W_{C}(t)-W_{C}(t_{0})=\int_{t_{0}}^{t}{Pd\tau}=C\int_{t_{0}}^{t}{v\frac{dv}{d\tau}d\tau}=C\int_{v(t_{0})}^{v(t)}{v'dv'}=\frac{1}{2}C\left\{[v(t)]^{2}-[v(t_{0})]^{2}\right\}\)이다.
\(W_{C}(t_{0})=0\)이고 \(v(t_{0})=0\)이면 \(\displaystyle W_{C}(t)=\frac{1}{2}C\{v(t)\}^{2}\).
이상적인 커패시터의 중요한 성질 1. 직류에 대해서는 개방회로로 동작한다. 2. 커패시터에 걸린 전압이 일정한 경우, 커패시터에 전류가 흐르지 않더라도 에너지가 축적될 수 있다. 3. 커패시터에 걸린 전압은 순간적으로 변할 수 없다. (스프링이 변위의 순간적인 변화에 저항하는 것과 같다) 4. 커패세터는 에너지를 저장하고 소모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유전체의 유한한 저항 때문에 소모한다) |
인덕터
SI단위는 헨리(H, Henry)이고 직류에 대해서 단락회로로 동작하고 인덕터에 걸리는 전류는 시간에 대한 연속함수이다. 관계식은 \(\displaystyle v=L\frac{di}{dt}\).
\(\displaystyle\frac{di}{dt}=\frac{1}{L}v\)이므로 \(\displaystyle i(t)=\frac{1}{L}\int_{t_{0}}^{t}{v(\tau)d\tau}+i(t_{0})\) 여기서 \(t_{0}=-\infty\), \(i(t_{0})=0\). 그러면 \(\displaystyle i(t)=\frac{1}{L}\int_{-\infty}^{t}{v(\tau)d\tau}\).
인덕터에 전달되는 전력은 \(\displaystyle P=vi=Li\frac{di}{dt}\)이고 에너지의 변화는 \(\displaystyle W_{L}(t)-W_{L}(t_{0})=\int_{t_{0}}^{t}{Pd\tau}=L\int_{t_{0}}^{t}{i\frac{di}{d\tau}d\tau}=L\int_{i(t_{0})}^{i(t)}{i'di'}=\frac{1}{2}L\left\{[i(t)]^{2}-[i(t_{0})]^{2}\right\}\)이다.
\(W_{L}(t_{0})=0\), \(v(t_{0})=0\)이면 \(\displaystyle W_{L}(t)=\frac{1}{2}L\{i(t)\}^{2}\)
,이상적인 인덕터의 중요한 성질 1. 직류에 대해서는 단락회로로 동작한다. 2. 일정한 전류가 흐를 때 전압이 0이지만 일정량의 에너지가 축적된다. 3. 인덕터의 전류를 순간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다. (물체의 속도가 순간적인 변화에 저항하는 것과 같다) 4. 인덕터는 에너지를 저장하고 소모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직렬저항을 가져서 에너지를 소모한다) |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결합
인덕터의 직렬연결
KVL로부터
\(\displaystyle\begin{align*}v_{s}&=v_{1}+\cdots+v_{N}=L_{1}\frac{di}{dt}+\cdots+L_{N}\frac{di}{dt}\\&=(L_{1}+\cdots+L_{N})\frac{di}{dt}=L_{eq}\frac{di}{dt}\end{align*}\)
따라서 \(L_{eq}=L_{1}+\cdots+L_{N}\)
인덕터의 병렬연결
KCL로부터
\(\displaystyle\begin{align*}i_{s}&=i_{1}+\cdots+i_{N}=\sum_{n=1}^{N}{\left[\frac{1}{L_{n}}\int_{t_{0}}^{t}{vd\tau}+i_{n}(t_{0})\right]}\\&=\sum_{n=1}^{N}{\frac{1}{L_{n}}\int_{t_{0}}^{t}{vd\tau}}+\sum_{n=1}^{N}{i_{n}(t_{0})}=\frac{1}{L_{eq}}\int_{t_{0}}^{t}{vd\tau}+i_{s}(t_{0})\end{align*}\)
따라서 \(\displaystyle\frac{1}{L_{eq}}=\frac{1}{L_{1}}+\cdots+\frac{1}{L_{N}}\)
커패시터의 직렬연결
KVL로부터
\(\displaystyle\begin{align*}v_{s}&=v_{1}+\cdots+v_{N}=\sum_{n=1}^{N}{\left[\frac{1}{C_{n}}\int_{t_{0}}^{t}{id\tau}+v_{n}(t_{0})\right]}\\&=\sum_{n=1}^{N}{\frac{1}{C_{n}}\int_{t_{0}}^{t}{id\tau}}+\sum_{n=1}^{N}{v_{n}(t_{0})}=\frac{1}{C_{eq}}\int_{t_{0}}^{t}{id\tau}+v_{s}(t_{0})\end{align*}\)
따라서 \(\displaystyle\frac{1}{C_{eq}}=\frac{1}{C_{1}}+\cdots+\frac{1}{C_{N}}\)
커패시터의 병렬연결
KCL로부터
\(\displaystyle\begin{align*}i_{s}&=i_{1}+\cdots+i_{N}=C_{1}\frac{dv}{dt}+\cdots+C_{N}\frac{dv}{dt}\\&=(C_{1}+\cdots+C_{N})\frac{dv}{dt}=C_{eq}\frac{dv}{dt}\end{align*}\)
따라서 \(C_{eq}=C_{1}+\cdots+C_{N}\)
선형성의 결과
이 회로의 적당한 마디방정식을 구하자. 마디전압을 선정하여 중심마디를 출발하는 전류들의 합을 구한다.
\(v_{1}\): KCL로부터 \(\displaystyle\left[\frac{1}{L}\int_{t_{0}}^{t}{(v_{1}-v_{s})dt'}+i_{L}(t_{0})\right]+\frac{v_{1}-v_{2}}{R}+C_{2}\frac{dv_{1}}{dt}=0\)
\(v_{2}\): KCL로부터 \(\displaystyle\left[C_{1}\frac{d}{dt}(v_{2}-v_{s})\right]+\frac{v_{2}-v_{1}}{R}-i_{s}=0\)
식을 정리하면
\(\displaystyle\frac{v_{1}}{R}+C_{2}\frac{dv_{1}}{dt}+\frac{1}{L}\int_{t_{0}}^{t}{v_{1}dt'}-\frac{v_{2}}{R}=\frac{1}{L}\int_{t_{0}}^{t}{v_{s}dt'}-i_{L}(t_{0})\), \(\displaystyle-\frac{v_{1}}{R}+\frac{v_{2}}{R}+C_{1}\frac{dv_{2}}{dt}=C_{1}\frac{dv_{s}}{dt}+i_{s}\)
이 결과는 RLC회로의 전압-전류 관계가 선형적임을 뜻하고 따라서 RLC회로에도 테브난 또는 노턴이론을 적용할 수 있음을 뜻한다.
커패시터를 갖는 간단한 연산증폭기 회로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미분기와 적분기를 구현할 수 있다.
적분기
\(v_{a}=v_{b}=0\), \(\displaystyle\frac{v_{s}-v_{a}}{R_{1}}=i=C_{f}\frac{d}{dt}v_{C_{f}}\), \(v_{C_{f}}=v_{a}-v_{out}\)
\(\displaystyle C_{f}\frac{d}{dt}v_{C_{f}}=\frac{1}{R_{1}}v_{s}\), \(v_{C_{f}}=-v_{out}\)
\(\displaystyle v_{C_{f}}=\frac{1}{R_{1}C_{f}}\int_{0}^{t}{v_{s}d\tau}+v_{C_{f}}(0)\)
\(\displaystyle v_{out}=-\frac{1}{R_{1}C_{f}}\int_{0}^{t}{v_{s}d\tau}-v_{C_{f}}(0)\)
미분기
\(v_{a}=v_{b}=0\), \(\displaystyle i=\frac{v_{a}-v_{out}}{R_{f}}=C_{1}\frac{d}{dt}v_{C_{1}}\), \(v_{C_{1}}=v_{s}-v_{a}\)
\(\displaystyle i=-\frac{v_{out}}{R_{f}}=C_{1}\frac{d}{dt}v_{C_{1}}\)
\(\displaystyle v_{out}=-R_{f}C_{1}\frac{dv_{s}}{dt}\)
*인덕터를 사용한 미분기
\(v_{a}=v_{b}=0\), \(v_{s}-v_{a}=iR_{1}\), \(v_{L_{f}}=v_{a}-v_{out}\), \(\displaystyle v_{L_{f}}=L_{f}\frac{di}{dt}\)
▶\(\displaystyle i=\frac{v_{s}}{R}\), \(\displaystyle -v_{out}=L_{f}\frac{di}{dt}=\frac{L_{f}}{R_{s}}\frac{dv_{s}}{dt}\)
\(\displaystyle v_{out}=-\frac{L_{f}}{R_{s}}\frac{dv_{s}}{dt}\)
참고자료:
Engineering Circuit Analysis 8th edition, Hayt, Kemmerly, Durbin, McGraw-Hill
'전자공학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일반적인 RL, RC회로의 해석 (0) | 2017.08.24 |
---|---|
9. 무전원 RL, RC회로 (0) | 2017.08.23 |
7. 연산증폭기 (0) | 2017.08.18 |
6. 최대전력전달, Δ-Y(델타-와이) 변환 (0) | 2017.08.17 |
5. 테브난, 노턴 등가회로 (0) | 2017.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