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학/선형대수학2017. 4. 27. 11:00
반응형

[선형대수학] 4. 판별식의 기본성질



\(n\)차 정사각행렬을 실수로 대응시키는 함수 \(f\)를 판별식(determinant)이라 한다. 이때 함수 \(f\)는 다음 성질들을 만족한다.


(1) \(n\)차 단위행렬 \(I_{n}\)에 대하여 \(f(I_{n})=1\)

(2) \(A\)가 \(n\)차 정사각행렬이고 \(E\)가 행바꿈을 나타내는 기본행렬이면, \(f(EA)=-f(A)\)

(3) \(k,\,l\in\mathbb{R}\)에 대하여 \(f\left(\begin{bmatrix}kr_{1}+lr_{1}'\\r_{2}\\ \vdots\\r_{n}\end{bmatrix}\right)=kf\left(\begin{bmatrix}r_{1}\\r_{2}\\ \vdots\\r_{n}\end{bmatrix}\right)+lf\left(\begin{bmatrix}r_{1}'\\r_{2}\\ \vdots\\r_{n}\end{bmatrix}\right)\)

(\(r_{i}=\begin{bmatrix}a_{i1}&a_{i2}&\cdots&a_{in}\end{bmatrix}\,(1\leq i\leq n)\)는 \(i\)번째 행)



판별식의 성질 (1)

(1) \(f\)는 임의의 행에 대해서 선형이다. 즉, \(f(kr_{1}+lr_{1}')=kf(r_{1})+lf(r_{1})\)

(2) 정사각행렬 \(A\)의 한 행의 성분이 모두 \(0\)이거나 두 개 이상의 같은 행을 가질 경우 \(f(A)=0\)이다.

(3) 기본행렬 \(E\)가 \(r_{i}\)행에 \(r_{j}\)행을 실수 \(k\)배 해서 더한 후 \(r_{j}\)자리에 대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행렬이면, \(f(EA)=f(A)\). 즉, \(f(E_{kr_{i}+r_{j}\rightarrow r_{j}}A)=f(A)\)


증명:

(1) \(f\left(\begin{bmatrix}r_{1}\\ \vdots\\kr_{i}+lr_{i}'\\ \vdots\\r_{n}\end{bmatrix}\right)=-f\left(\begin{bmatrix}kr_{i}+lr_{i}'\\ \vdots\\r_{1}\\ \vdots\\r_{n}\end{bmatrix}\right)=(-1)(-1)\left[kf\left(\begin{bmatrix}r_{1}\\ \vdots\\r_{i}\\ \vdots\\r_{n}\end{bmatrix}\right)+lf\left(\begin{bmatrix}r_{1}\\ \vdots\\ r_{i}'\\ \vdots\\r_{n}\end{bmatrix}\right)\right]=kf\left(\begin{bmatrix}r_{1}\\ \vdots\\r_{i}\\ \vdots\\ r_{n}\end{bmatrix}\right)+lf\left(\begin{bmatrix}r_{1}\\ \vdots\\r_{i}'\\ \vdots\\r_{n}\end{bmatrix}\right)\)

(2) 한 행의 성분이 모두 \(0\)인 경우 \(f\left(\begin{bmatrix}r_{1}\\ \vdots\\ \mathbf{0}\\ \vdots\\r_{n}\end{bmatrix}\right)=f\left(\begin{bmatrix}r_{1}\\ \vdots\\0\cdot r_{i}\\ \vdots\\r_{n}\end{bmatrix}\right)=0\cdot f\left(\begin{bmatrix}r_{1}\\ \vdots\\r_{i}\\ \vdots\\r_{n}\end{bmatrix}\right)=0\)이다. (\(\mathbf{0}\)은 모든 성분이 \(0\)인 열이다.)

같은 행이 두 개 있을 때 같은 두 개의 행을 행바꿈해도 같은 행렬이 된다. 그러면 \(f(A)=-f(A)\)이고 따라서 \(f(A)=0\)이다.

(3) (1)과 (2)에 의해 \(f\left(\begin{bmatrix}r_{1}\\ \vdots\\r_{i}\\kr_{i}+r_{j}\\ \vdots\\r_{n}\end{bmatrix}\right)=kf\left(\begin{bmatrix}r_{1}\\ \vdots\\r_{i}\\r_{i}\\ \vdots\\r_{n}\end{bmatrix}\right)+1f\left(\begin{bmatrix}r_{1}\\ \vdots\\r_{i}\\r_{j}\\ \vdots\\r_{n}\end{bmatrix}\right)=f(A)\)이다.


\(n\)차 정사각행렬 \(A\)에 대하여 \(f(A)=\det A\)로 나타낸다.


행렬식의 성질 (2)

(1) \(\det\begin{pmatrix}a_{11}&&&0\\&a_{22}&&\\&&\ddots&\\0&&&a_{nn}\end{pmatrix}=a_{11}a_{22}\cdots a_{nn}\)

(2) \(A\)가 정칙행렬이면, \(\det A\neq0\)

(3) \(n\)차 정사각행렬 \(A,\,B\)에 대하여 \(\det AB=\det A\det B\)

(4) \(n\)차 정사각행렬 \(A\)에 대하여 \(\det A^{T}=\det A\)


증명:

(1) \(A=\begin{pmatrix}a_{11}&&&0\\&a_{22}&&\\&&\ddots&\\0&&&a_{nn}\end{pmatrix}\)이라 하자. 어떤 \(i\)에 대하여 \(a_{ii}=0\)이면, \(A\)의 기약 행사다리꼴에는 모든 성분이 \(0\)인 열이 있어야 하고 따라서 \(\det A=0\)이다.

모든 \(i\,(1\leq i\leq n)\)에 대하여 \(a_{ii}\neq0\)이라 하자. 그러면 \(A\)의 기약 행사다리꼴은 \(I_{n}\)이고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det A=(a_{11}\det I_{n})\cdots(a_{nn}\det I_{n})=a_{11}\cdots a_{nn}$$

(2) \(A\)가 정칙행렬이면 \(A\)의 역행렬이 존재하고 \(I_{n}\)과 행동치이다. 그러므로 \(\det A\neq0\)이다.

(3) \(\det A=0\)이면, 기본행렬 \(E_{1},\,...,\,E_{n}\)에 대하여 \(E_{1}\cdots E_{n}A\)는 모든 성분이 \(0\)인 행을 갖고 따라서\(E_{1}\cdots E_{n}AB\)는 모든 성분이 \(0\)인 행을 갖는다. 그러면 \(\det AB=\det A\det B=0\)이다.

\(\det A\neq0\)이라 하자. 그러면 기본행렬 \(E_{1},\,...,\,E_{n}\)에 대하여 \(E_{1}\cdots E_{n}A=I_{n}\)이고 \(A=E_{1}^{-1}\cdots E_{n}^{-1}\)이다. 그러면$$\det AB=\det(E_{1}^{-1}E_{2}^{-1}\cdots E_{n}^{-1}B)=\det(E_{1}^{-1})\det(E_{2}^{-1})\cdots\det(E_{n}^{-1})\det(B)=\det(E_{1}^{-1}\cdots E_{n}^{-1})\det B=\det A\det B$$이다.

(4) \(A\)가 역행렬을 갖지 않을 필요충분조건은 \(A^{T}\)가 역행렬을 갖지 않는 것이다. \(A\)가 역행렬을 갖지 않으면 \(\det A=0\)이고 따라서 \(\det A^{T}=0\)이다.

\(\det A\neq0\)이면, \(PA=LDU\)이고 여기서 \(P\)는 행렬 \(A\)를 기약 행사다리꼴로 만들기 위해 행한 행연산의 기본행렬들을 곱한 행렬, \(L,\,D,\,U\)는 각각 하 삼각행렬, 대각행렬, 상 삼각행렬이다. 그러면$$\det A^{T}P^{T}=\det A^{T}\det P^{T}=\det U^{T}\det D^{T}\det L^{T}=\det L\det D\det U=\det P\det A$$이고 \(\det P=\det P^{T}\)이므로 \(\det A^{T}=\det A\)이다.




2차 정사각행렬 \(\begin{bmatrix}a&b\\c&d\end{bmatrix}\)의 판별식을 구하면

$$f\left(\begin{bmatrix}a&b\\c&d\end{bmatrix}\right)=f\left(\begin{bmatrix}a&0\\c&d\end{bmatrix}\right)+f\left(\begin{bmatrix}0&b\\c&d\end{bmatrix}\right)=f\left(\begin{bmatrix}a&0\\c&0\end{bmatrix}\right)+f\left(\begin{bmatrix}a&0\\0&d\end{bmatrix}\right)+f\left(\begin{bmatrix}0&b\\c&0\end{bmatrix}\right)+f\left(\begin{bmatrix}0&b\\0&d\end{bmatrix}\right)=ad-bc$$이다.


자연수 집합 \(\mathbb{N}_{n}=\{1,\,2,\,...,\,n\}\)의 치환(permutation) \(\sigma\)는 \(\mathbb{N}_{n}\)에서 \(\mathbb{N}_{n}\)으로의 일대일대응 \(\sigma\)이고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sigma=(\sigma(1),\,\sigma(2),\,...,\,\sigma(n))=\begin{pmatrix}1&2&\cdots&n\\ \sigma(1)&\sigma(2)&\cdots&\sigma(n)\end{pmatrix}$$

치환 중에서 두 원소만 서로 바꾸어 대응시키고 나머지 원소들은 자기 자신에 대응하는 치환을 호환(transposition)이라 한다. 치환 \(\sigma=(i_{1},\,\cdots,\,i_{n})\)에서 자연수 \(s,\,t\)에 대하여 \(s<t\)일 때 \(i_{s}>i_{t}\)가 성립하면, 이 치환 \(\sigma\)는 반전(inversion)을 갖는다고 한다. 즉, 큰 자연수가 작은 자연수보다 먼저 나타나면 반전을 갖는다고 한다. 예를들어 \(\sigma=(3,\,1,\,2)\)의 반전의 개수는 \(2\)개이다. 왜냐하면 \(3\)은 \(1\)과 \(2\)보다 크기 때문이다. 한 치환의 반전의 개수가 홀수이면 이를 홀치환(odd permutation), 짝수이면 이를 짝치환(even permutation)이라고 한다.

예를들어 치환 \(\sigma=(3,\,4,\,2,\,5,\,1)\)에서 \(\sigma(1)=3,\,\sigma(2)=4,\,\sigma(3)=2,\,\sigma(4)=5,\,\sigma(5)=1\)이므로 \(3\)은 \(1,\,2\)보다 크고, \(4\)는 \(1,\,2\)보다 크고 \(2\)는 \(1\)보다 크고, \(5\)도 \(1\)보다 크다. 그러면 이 치환의 반전의 개수는 \(2+2+1+1=6\)이고 짝치환이다.


치환 \(\sigma\)의 반전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sigma\)의 부호함수 \(\text{sgn}\)을 \(\text{sgn}(\sigma)=(-1)^{n}\)으로 정의한다.


치환 \(\sigma=(1,\,2,\,...,\,n)\)전체의 집합을 \(S_{n}\)으로 나타내며 \(S_{n}\)의 원소의 개수는 \(n!\)이다.


앞에서 정의한 치환 \(\sigma\)를 이용하여 \(n\)차 정사각행렬 \(A=(a_{ij})_{n\times n}\)의 판별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et A=\sum_{\sigma\in S_{n}}{\text{sgn}(\sigma)a_{1\sigma(1)}a_{2\sigma(2)}\cdots a_{n\sigma(n)}}$$

이 정의를 이용하여 행렬 \(A=\begin{pmatrix}a&b\\c&d\end{pmatrix}=\begin{pmatrix}a_{11}&a_{12}\\a_{21}&a_{22}\end{pmatrix}\)의 판별식을 구하자. 그러면 \(S_{2}=\{\sigma_{1},\,\sigma_{2}\}=\{(1,\,2),\,(2,\,1)\}\)이고 \((1,\,2)\)는 짝치환, \((2,\,1)\)는 홀치환이므로 \(\text{sgn}(\sigma_{1})=1,\,\text{sgn}(\sigma_{2})=-1\)이고 따라서$$\det A=\text{sgn}(\sigma_{1})a_{1\sigma_{1}(1)}a_{2\sigma_{2}(2)}+\text{sgn}(\sigma_{2})a_{1\sigma_{2}(1)}a_{2\sigma_{2}(2)}=a_{11}a_{22}-a_{12}a_{21}=ad-bc$$이다.

마찬가지로 \(A=\begin{pmatrix}a_{11}&a_{12}&a_{13}\\a_{21}&a_{22}&a_{23}\\a_{31}&a_{32}&a_{33}\end{pmatrix}\)의 판별식을 구하자. 그러면 \(S_{3}=\{\sigma_{1},\,\sigma_{2},\,\sigma_{3},\,\sigma_{4},\,\sigma_{5},\,\sigma_{6}\}=\{(1,\,2,\,3),\,(2,\,3,\,1),\,(3,\,1,\,2),\,(1,\,3,\,2),\,(2,\,1,\,3),\,(3,\,2,\,1)\}\)이고 \(\text{sgn}(\sigma_{1})=\text{sgn}(\sigma_{2})=\text{sgn}(\sigma_{3})=1,\,\text{sgn}(\sigma_{4})=\text{sgn}(\sigma_{5})=\text{sgn}(\sigma_{6})=-1\)이므로 따라서

$$\begin{align*}\det A&=\text{sgn}(\sigma_{1})a_{1\sigma_{1}(1)}a_{2\sigma_{1}(2)}a_{3\sigma_{3}(3)}+\text{sgn}(\sigma_{2})a_{1\sigma_{2}(1)}a_{2\sigma_{2}(2)}a_{3\sigma_{2}(3)}+\cdots+\text{sgn}(\sigma_{6})a_{1\sigma_{6}(1)}a_{2\sigma_{6}(2)}a_{3\sigma_{3}(6)}\\&=a_{11}a_{22}a_{33}+a_{12}a_{23}a_{31}+a_{13}a_{21}a_{32}-(a_{11}a_{23}a_{32}+a_{12}a_{21}a_{33}+a_{13}a_{22}a_{31})\end{align*}$$이다.


참고자료

Linear Algebra, jinho Kwak, sungpyo Hong, Birkhauser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