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 41. 약산용액, 다양성자 산, 약염기용액



해리 백분율(percent dissociation)은 해리된 산의 농도를 산의 초기농도로 나눈 값에 100%를 곱한 값으로 정의한다.

1.00M 아세트산(\(\text{CH}_{3}\text{CO}_{2}\text{H}\))용액에서 \([\text{H}_{3}\text{O}^{+}]=4.2\times10^{-3}\text{M}\)이고, 이 값은 해리된 아세트산의 농도와 같으므로 1.00M 아세트산의 해리 백분율은 0.42%이다.

0.0100M 아세트산 용액에서 \([\text{H}_{3}\text{O}^{+}]=4.2\times10^{-4}\text{M}\)이고, 이 값은 해리된 아세트산의 농도와 같으므로 0.0100M 아세트산의 해리 백분율은 4.2%이다.

일반적으로 해리 백분율은 산에 따라 다르고 평형상수 \(K_{a}\)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아세트산에 대한 해리 백분율은 농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한다.


해리될 수 있는 양성자를 두 개 이상 포함하는 산을 다양성자 산(polyprotic acid)이라고 한다. 다양성자 산은 단계적으로 해리하며, 각 해리단계는 \(K_{a1}\), \(K_{a2}\)등의 고유의 산 해리상수로 특정지어진다. 다음은 탄산(\(\text{H}_{2}\text{CO}_{3}\))의 해리반응이다.

다음의 표는 다양성자 산의 단계별 해리상수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다양성자 산의 단계별 해리상수는 \(K_{a1}>K_{a2}>K_{a3}\)의 순서로 대개 \(10^{4}\)에서 \(10^{6}\)배씩 감소한다. 


0.020M 탄산용액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text{H}_{2}\text{CO}_{3}\), \(\text{HCO}_{3}^{-}\), \(\text{CO}_{3}^{2-}\), \(\text{H}_{3}\text{O}^{+}\), \(\text{OH}^{-}\))의 농도와 pH를 계산해야 한다. 


1~3. 초기에 \(\text{H}_{2}\text{CO}_{3}\)(산)와 \(\text{H}_{2}\text{O}\)(염기)만 있다. \(K_{a1}\gg K_{w}\)이므로 주 반응은 \(\text{H}_{2}\text{CO}_{3}\)의 해리이다.

4. \(\text{H}_{3}\text{O}\)의 평형농도를 \(x\text{mol/L}\)라고 하면 다음의 자료를 얻는다.

5. 주반응의 평형식에 평형농도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0.020-x\approx0.020\)이라고 가정하면

6. 정반응에서 큰 농도들은 다음과 같다.

7. 부반응에서 작은 농도들은 다음과 같다.

8. pH 값을 계산한다. \(\text{pH}=-\log[\text{H}_{3}\text{O}^{+}]=-log(9.3\times10^{-5})=4.03\)


암모니아 같은 약염기는 물로부터 양성자를 받아 염기의 짝산과 \(\text{OH}^{-}\)이온을 생성한다.$$\text{NH}_{3}(aq)+\text{H}_{2}\text{O}(l)\,\leftrightarrow\,\text{NH}_{4}^{+}(aq)+\text{OH}^{-}(aq)$$일반적인 염기 B와 물의 평형반응은 평형식과 염기 해리상수(base-dissociation constant) \(K_{b}\)에 의해 결정된다.

\([\text{H}_{2}\text{O}]\)는 평형상수식에서 생략한다. 다음은 몇 가지 전형적인 약염기와 \(25^{\circ}\text{C}\)에서 그 \(K_{b}\)값들이다.


많은 약염기들이 아민(amine)이라는 유기화합물로, 아민은 암모니아의 수소원자 중 하나 이상이 메틸기(\(\text{CH}_{3}\))와 같은 유기 원자단으로 치환된 유도체들이다.


코데인(\(\text{C}_{18}\text{H}_{21}\text{NO}_{3}\))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아민으로 \(K_{b}=1.6\times10^{-6}\)이다. 0.0012M 코데인 용액 속의 모든 물질들의 농도와 pH를 구해야 한다. 


1. 편의상 코데인을 Cod로 나타내고 그 짝산을 \(\text{CodH}^{+}\)라고 하자. 초기에 존재하는 물질은 \(\text{Cod}\)(염기)와 \(\text{H}_{2}\text{O}\)(산)이다.

2. 다음은 가능한 양성자 이동반응들이다.

3. \(\text{Cod}\)는 \(\text{H}_{2}\text{O}\)보다 훨씬 강한 염기(\(K_{b}\gg K_{w}\))이므로 주반응은 코데인의 양성자화 반응이다. 

4. 코데인의 평형농도를 \(x\text{mol/L}\)라고 하면 다음의 자료들을 얻는다.

5. 평형식을 이용하여 \(x\)값을 구한다.

\(0.0012-x\approx0.0012\)라고 하면

6. 정반응에서 큰 농도들은 다음과 같다.

7. 부반응에서 작은 농도들은 부반응평형, 즉 물의 해리로부터 구한다.

8. pH 값을 계산한다. \(\displaystyle\text{pH}=-\log[\text{H}_{3}\text{O}^{+}]=-\log(2.3\times10^{-10})=9.64\)


짝산-짝염기쌍 \(\text{NH}_{4}^{+}\)와 \(\text{NH}_{3}\)에서 \(K_{a}\)는 산 \(\text{NH}_{4}^{+}\)로부터 물로의 양성자 이동과 관련되고, \(K_{b}\)는 물로부터 염기 \(\text{NH}_{3}\)로의 양성자 이동과 관련된다. 이 두 반응의 합은 단순히 물의 해리이다.

알짜반응에 대한 평형상수는 더해진 두 반응에 대한 평형상수의 곱과 같다.

어떤 짝산-짝염기 쌍에 대한 짝산의 산 해리상수와 그 짝염기의 염기 해리상수의 곱은 항상 물의 이온곱 상수와 같다.$$K_{a}\times K_{b}=K_{w}$$

참고자료:

Chemistry 7th edition, McMurry, Fay, Robinson, Pearson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