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1. 프로베니우스 해법



프로베니우스 해법(Frobenius method)


함수 \(p(x)\), \(q(x)\)가 \(x=0\)에서 해석적이면 미분방정식 \(\displaystyle y''+\frac{p(x)}{x}y'+\frac{q(x)}{x^{2}}y=0\)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해를 적어도 하나 갖는다.$$y=x^{r}\sum_{n=0}^{\infty}{a_{n}x^{n}}\left(=\sum_{n=0}^{\infty}{a_{n}x^{n+r}}\right)\,(a_{0}\neq0,\,r\in\mathbb{C})$$\(p(x)\), \(q(x)\)는 해석적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p(x)=p_{0}+p_{1}x+p_{2}x^{2}+\cdots,\,q(x)=q_{0}+q_{1}x+q_{2}x^{2}+\cdots$$\(\displaystyle y=\sum_{n=0}^{\infty}{a_{n}x^{n+r}}\)을 미분하면$$\begin{align*}y'&=\sum_{n=0}^{\infty}{(n+r)a_{n}x^{n+r-1}}=x^{r-1}\{ra_{0}+(r+1)a_{1}x+\cdots\}\\y''&=\sum_{n=0}^{\infty}{(n+r)(n+r-1)a_{n}x^{n+r-2}}=x^{r-2}\{r(r-1)a_{0}+(r+1)ra_{1}x+\cdots\}\end{align*}$$앞의 미분방정식은 \(x^{2}y''+xp(x)y'+q(x)y=0\)이므로 이 방정식에 \(p(x)\), \(q(x)\), \(y'\), \(y''\)을 대입하면$$x^{r}\{r(r-1)a_{0}+(r+1)ra_{1}x+\cdots\}+x^{r}(p_{0}+p_{1}x+p_{2}x^{2}+\cdots)\{ra_{0}+(r+1)a_{1}x+\cdots\}+\\x^{r}(q_{0}+q_{1}x+q_{2}x^{2}+\cdots)\{a_{0}+a_{1}x+\cdots\}=0$$이고 \(x^{r}\)의 계수는 0이어야 하므로 \(r(r-1)a_{0}+ra_{0}p_{0}+a_{0}q_{0}=0\)이어야 한다. 이때 \(a_{0}\neq0\)이므로 \(r(r-1)+rp_{0}+q_{0}=0\)이어야 한다. 

따라서 \(\displaystyle y=\sum_{n=0}^{\infty}{a_{n}x^{n+r}}\)이 미분방정식 \(\displaystyle y''+\frac{p(x)}{x}y'+\frac{q(x)}{x^{2}}y=0\)의 해가 되려면 \(r\)은 이차방정식 \(r(r-1)+rp_{0}+q_{0}=0\)을 만족해야 한다. 이 이차방정식 \(r(r-1)+rp_{0}+q_{0}=0\)을 이 미분방정식의 결정방정식(indical equation)이라고 한다. 

결정방정식의 근의 형태에 따라 이 미분방정식의 해는 다른 형태가 된다. 

1. 두 근의 차가 정수가 아닌 서로 다른 근

2. 중근 

3. 두 근의 차가 정수인 서로 다른 근


1. 두 근의 차가 정수가 아닌 서로 다른 근일때


결정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근 \(r_{1}\), \(r_{2}\)를 갖고 \(r_{1}-r_{2}\)는 정수가 아니라고 하자. 이때 두 해는$$y_{1}=x^{r_{1}}(a_{0}+a_{1}x+a_{2}x^{2}+\cdots),\,y_{2}=x^{r_{2}}(b_{0}+b_{1}x+b_{2}x^{2}+\cdots)$$이고 \(y_{1},\,y_{2}\)는 일차독립이므로 일반해는 \(y=c_{1}y_{1}+c_{2}y_{2}\)이다. 

미분방정식 \(8x^{2}y''+10xy'+(x-1)y=0\)을 프로베니우스 해법으로 풀면 \(\displaystyle p(x)=\frac{5}{4}\), \(\displaystyle q(x)=\frac{x-1}{8}\)이므로 \(p(x)\), \(q(x)\)는 해석적이다. \(\displaystyle y=\sum_{n=0}^{\infty}{a_{n}x^{n+r}}\)을 미분해서 대입하면$$8\sum_{n=0}^{\infty}{(n+r)(n+r-1)a_{n}x^{n+r}}+10\sum_{n=0}^{\infty}{(n+r)a_{n}x^{n+r}}+\sum_{n=0}^{\infty}{a_{n}x^{n+r+1}}+-\sum_{n=0}^{\infty}{a_{n}x^{n+r}}=0$$이므로$$\sum_{n=0}^{\infty}{\{4(n+r)-1\}\{2(n+r)+1\}a_{n}x^{n+r}}+\sum_{n=0}^{\infty}{a_{n}x^{n+r+1}}$$이다. 지수를 같게 만들면$$\sum_{m=0}^{\infty}{\{4(m+r)-1\}\{2(m+r)+1\}a_{m}x^{m+r}}+\sum_{m=1}^{\infty}{a_{m-1}x^{m+r}}=0$$이고 \(x^{r}\)의 계수는 \((4r-1)(2r+1)a_{0}=0\)이어야 하므로 \(\displaystyle r=-\frac{1}{2}\) 또는 \(\displaystyle r=\frac{1}{4}\)이다. 

\(\displaystyle r=-\frac{1}{2}\)일 때 \(x^{m+r}\)의 계수를 구하면 \((4m-3)2ma_{m}+a_{m-1}=0\,(m=1,\,2,\,...)\)이므로$$a_{m}=-\frac{1}{2m(4m-3)}a_{m-1}$$이고 \(\displaystyle a_{1}=-\frac{1}{2}a_{0},\,a_{2}=\frac{1}{40}a_{0},\,...\)이므로 \(y_{1}\)은 다음과 같다.$$y_{1}=a_{0}x^{-\frac{1}{2}}\left(1-\frac{1}{2}x+\frac{1}{40}x^{2}-\cdots\right)$$\(\displaystyle r=\frac{1}{4}\)일 때 \(x^{m+r}\)의 계수를 구하면 \(\displaystyle 4m\left(2m+\frac{3}{2}\right)a_{m}+a_{m-1}=0\,(m=1,\,2,\,...)\)이므로$$a_{m}=-\frac{1}{2m(4m+3)}a_{m-1}$$이고 \(\displaystyle a_{1}=-\frac{1}{14}a_{0},\,a_{2}=\frac{1}{616}a_{0},\,...\)이므로 \(y_{2}\)는 다음과 같다.$$y_{2}=a_{0}x^{\frac{1}{4}}\left(1-\frac{1}{14}x+\frac{1}{616}x^{2}-\cdots\right)$$

2. 중근


결정방정식이 중근 \(r\)을 가지면 \(y_{1}=x^{r}(a_{0}+a_{1}x+a_{2}x^{2}+\cdots)\)이므로 \(y_{1}\)과 일차독립인 해는 계수축소법을 이용해 구한다. 

미분방정식 \(xy''+(2x+1)y'+(x+1)y=0\)을 프로베니우스 해법으로 풀면 \(p(x)=2x+1\), \(q(x)=x^{2}+x\)이므로 \(\displaystyle y=\sum_{n=0}^{\infty}{a_{n}x^{n+r}}\)을 미분해서 대입하면$$\sum_{n=0}^{\infty}{(n+r)(n+r-1)a_{n}x^{n+r-1}}+2\sum_{n=0}^{\infty}{(n+r)a_{n}x^{n-r}}+\sum_{n=0}^{\infty}{(n+r)a_{n}x^{n+r-1}}+\sum_{n=0}^{\infty}{a_{n}x^{n+r+1}}+\sum_{n=0}^{\infty}{a_{n}x^{n+r}}=0$$이므로$$\sum_{n=0}^{\infty}{(n+r)^{2}a_{n}x^{n+r-1}}+\sum_{n=0}^{\infty}{\{2(n+r)+1\}a_{n}x^{n+r}}+\sum_{n=0}^{\infty}{a_{n}x^{n+r+1}}=0$$이다. 지수를 같게 만들면$$\sum_{m=-1}^{\infty}{(m+r+1)^{2}a_{m+1}x^{m+r}}+\sum_{m=0}^{\infty}{\{2(m+r)+1\}a_{m}x^{m+r}}+\sum_{m=1}^{\infty}{a_{m-1}x^{m+r}}=0$$이고$$r^{2}a_{0}x^{r-1}+\{(r+1)^{2}a_{1}+(2r+1)a_{0}\}x^{r}+\sum_{m=1}^{\infty}{\{(m+r+1)^{2}a_{m+1}+\{2(m+r)+1\}a_{m}+a_{m-1}\}x^{m+r}}=0$$이며 \(x^{r-1}\)의 계수는 0이어야 하므로 \(r=0\)(중근)이다. \(r=0\)일 때 다른 계수들은$$a_{1}+a_{0}=0,\,(m+1)^{2}a_{m+1}+(2m+1)a_{m}+a_{m-1}=0$$이므로$$a_{1}=-a_{0},\,a_{2}=-\frac{3a_{1}+a_{0}}{2^{2}}=\frac{a_{0}}{2!},\,a_{3}=-\frac{5a_{2}+a_{1}}{3^{2}}=-\frac{a_{0}}{3!},\,a_{4}=-\frac{7a_{3}+a_{2}}{4^{2}}=\frac{a_{0}}{4!},\,...$$이고 \(a_{0}=1\)이라고 하면 \(y_{1}\)은 다음과 같다.$$y_{1}=1-x+\frac{x^{2}}{2}-\frac{x^{3}}{3!}+\cdots=e^{-x}$$\(y_{1}\)과 일차독립인 두 번째 해를 구하기 위해 계수축소법을 적용하자.(\(y_{2}=uy_{1}\))$$y_{2}'=u'y_{1}+uy_{1}',\,y_{2}''=u''y_{1}+2u'y_{1}'+uy_{1}''$$을 미분방정식 \(xy''+(2x+1)y'+(x+1)y=0\)에 대입해 정리하면$$xy_{1}u''+\{2xy_{1}'+(2x+1)y_{1}'\}u'+\{xy_{1}''+(2x+1)y_{1}'+(x+1)y_{1}\}u=0$$이고 \(y_{1}\)은 미분방정식의 해이므로$$xy_{1}''+(2x+1)y_{1}'=0$$이며 \(2xy_{1}'+(2x+1)y_{1}'=e^{-x}\)이므로 다음의 미분방정식을 얻는다.$$xe^{-x}u''+e^{-x}u'=0$$이 미분방정식을 풀면 \(xu''+u'=0\)이고 \(\displaystyle\frac{u''}{u'}=-\frac{1}{x}\)이므로 \(\displaystyle\ln u'=-\ln x=\ln\frac{1}{x}\)이고 \(\displaystyle u'=\frac{1}{x}\)이므로 \(u=\ln x\)이고 \(y_{2}=e^{-x}\ln x\)이다. 

\(y_{1}=e^{-x}\), \(y_{2}=e^{-x}\ln x\)는 일차독립이므로 일반해는 \(y=c_{1}e^{-x}+c_{2}e^{-x}\ln x\)이다. 


3. 두 근의 차가 정수인 서로 다른 근


결정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근 \(r_{1},\,r_{2}\)를 갖고 \(r_{1}>r_{2}\)라 하자.$$y_{1}=x^{r_{1}}(a_{0}+a_{1}x+a_{2}x^{2}+\cdots)$$는 해이고 \(y_{1}\)과 일차독립인 해를 구하기 위해 중근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계수축소법을 이용한다. 

미분방정식 \(xy''+2y'+xy=0\)을 프로베니우스 해법으로 풀면 \(p(x)=2\), \(q(x)=x^{2}\)이므로 \(\displaystyle y=\sum_{n=0}^{\infty}{a_{n}x^{n+r}}\)을 미분해서 대입하면$$\sum_{n=0}^{\infty}{(n+r)(n+r-1)a_{n}x^{n+r-1}}+2\sum_{n=0}^{\infty}{(n+r)a_{n}x^{n+r-1}}+\sum_{n=0}^{\infty}{a_{n}x^{n+r+1}}=0$$이므로$$\sum_{m=-1}^{\infty}{(m+r+1)(m+r+2)a_{m+1}x^{m+r}}+sum_{m=1}^{\infty}{a_{m-1}x^{m+r}}=0$$이고$$r(r+1)a_{0}x^{r-1}+(r+1)(r+2)a_{1}x^{r}+\sum_{m=1}^{\infty}{\{(m+r+1)(m+r+2)a_{m+1}+a_{m-1}\}x^{m+r}}=0$$이다. 식 \(r(r+1)a_{0}=0\)에서 \(r=0\) 또는 \(r=-1\)이고, \(r=0\)일 때$$1\cdot2a_{1}=0,\,(m+1)(m+2)a_{m+1}+a_{m-1}=0$$이므로$$a_{1}=0,\,a_{2}=-\frac{a_{0}}{2\cdot3}=-\frac{a_{0}}{3!},\,a_{3}=-\frac{a_{1}}{3\cdot4}=0,\,a_{4}=-\frac{a_{2}}{4\cdot5}=\frac{a_{0}}{5!},\,...$$이고 \(a_{0}=1\)이라고 하면$$y_{1}=1-\frac{x^{2}}{3!}+\frac{x^{4}}{5!}-\cdots=\frac{\sin x}{x}$$이다. 계수축소법으로 두 번째 해를 구하자(\(y_{2}=uy_{1}\))$$y_{2}'=u'y_{1}+uy_{1}',\,y_{2}''=u''y_{1}+2u'y_{1}'+uy_{1}''$$을 미분방정식 \(xy''+2y'+xy=0\)에 대입하면$$x(u''y_{1}+2u'y_{1}'+uy_{1}'')+2(u'y_{1}+uy_{1}')+xuy_{1}=0$$이고$$xy_{1}u''+(2xy_{1}'+2y_{1})u'+(xy_{1}''+2y_{1}'+xy_{1})u=0$$이며 \(y_{1}\)은 해이므로 \(xy_{1}''+2y_{1}'+xy_{1}=0\)이고$$2xy_{1}'+2y_{1}=2x\frac{x\cos x-\sin x}{x^{2}}+\frac{2\sin x}{x}=2\cos x$$이다. 이 식으로부터 \(\sin xu''+2\cos xu'=0\)이고 \(\displaystyle\frac{u''}{u'}=-2\frac{\cos x}{\sin x}\)이므로 \(\ln u'=-2\ln\sin x\)이고 \(\displaystyle u'=\frac{1}{\sin^{2}x}=\csc^{2}x\)이므로 \(u=-\cot x\)이다. 그러면 \(\displaystyle y_{2}=-\cot x\frac{\sin x}{x}=-\frac{\cos x}{x}\)이고 따라서 일반해는 \(\displaystyle y=c_{1}\frac{\sin x}{x}+c_{2}\frac{\cos x}{x}\)이다. 


참고자료: 

미분방정식 입문, 김병수, 양영균, 북스힐             

반응형

'미분방정식 > 상미분방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베셀방정식  (0) 2020.04.07
20. 르장드르 방정식  (0) 2020.04.05
19. 제곱급수와 제곱급수해법  (0) 2020.04.04
18. 선형연립미분방정식(2)  (0) 2020.02.29
17. 선형연립미분방정식(1)  (0) 2020.02.28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