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군주] 수 양제 양광



(수 양제. 569년 출생, 618년 사망)


수 양제(隋 煬帝)는 성씨가 양(楊)이고, 휘(諱: 왕 또는 제후 등의 높은 사람들이 생전에 쓰던 이름)가 광(廣)으로 569년에 수 문제(隋 文帝) 양견(楊堅)과 문헌황후 독고씨(文獻皇后 獨孤氏)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위로 용(勇)이라는 형이 있었고, 아래로는 준(俊), 수(秀), 량(諒)이라는 3명의 동생들이 있었다. 

아버지인 수 문제는 검소함을 좋아하고 사치를 싫어했고, 어머니인 독고황후는 일부일부주의(一夫一婦主義: 한 사람의 남편은 한 사람의 부인만 있어야 한다)를 추구했지만 양광은 그렇지 않았고(독고황후 생전에는 일부일부주의를 따랐으나 황제가 되고나서는 따르지 않았다), 그 형제들 또한 그렇지 않았다. 

바로 아래에 있는 동생인 진왕(秦王) 양준은 사치가 심했고 여색을 밝히며 가렴주구(苛斂誅求: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고 백성들의 재산을 강탈함)를 한 끝에 부인에게 독살당했다. 둘째 동생인 촉왕(蜀王) 양수도 바로 위의 형인 준과 다를게 없었고, 광의 계략으로 서인(庶人)으로 강등되었다. 그나마 막내동생 한왕(漢王) 양량은 정상이었으나 외지에서 군사들을 조련해 세력을 키웠고, 수 문제가 붕어(崩御: 왕 또는 황제의 죽음)한 다음 군사를 일으켰으나 군사적으로 무능한 탓에 바로 진압되었다.


581년에 아버지 양견이 수나라를 세우고 황제가 되자 형인 용은 태자로 봉해지고, 자신은 진왕(晋王)에 봉해지고 주국(柱國), 병주(幷州) 총관에 임명되었다. 

양광은 선천적으로 용모가 단정했을 뿐만 아니라 소년시절부터 학문을 좋아해서 시문(詩文)에 능했고, 태도가 중후(重厚)하고 교식(矯飾: 겉을 꾸미다)했으며 요령에 능했다. 이것을 보여주는 두 가지 예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수 문제가 광의 처소로 행차했을 때 그 곳에 악기는 대부분 현(弦)이 끊어져 있거나 먼지가 쌓여 있었고, 하녀들도 모두 추한 용모의 하녀들만 있게 해서 사치를 싫어하는 수 문제의 총애를 받았다. 다른 하나는 사냥을 나갔을 때 비가 내려서 측근들이 비를 피할 수 있는 유의(油衣)를 권했는데 "사졸들이 모두 비를 맞고 있는데 나만 유의를 입을 수 없다"고 하고 비를 맞았다. 이 일 또한 수 문제의 총애를 받기에 충분했다.

게다가 거마시종(車馬侍從)을 비롯해서 일상생활의 모든 면을 검소하게 하고, 항상 정부인인 소비(蕭妃: 훗날의 민황후)와 기거를 함께하며 다른 여자게에 접근하지 않아서 어머니인 독고황후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 

반면에 맏형인 태자 양용은 성격이 우직했고 배포가 컸으며 사치와 방탕, 여색을 좋아해서 태자비(정부인)인 원()씨가 훙서(薨逝: 왕족이나 귀족의 죽음)했는지도 몰라서 수 문제는 물론 독고황후의 눈 밖에 났다. 


589년에 수나라가 50만 대군으로 남조의 진()나라를 멸망시킬 때 총사령관으로서 모든 군사들을 지휘해 진나라를 멸망시켰고, 600년에 서돌궐(西突厥)이 수나라를 침공했을 때 이를 막아냈다. 다만 진나라 토벌 때 실질적으로 활약한 것은 양광이 아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고경(高熲)이라고 한다. 어쨌든 이 두 번의 전공(戰功)으로 수나라 전체에서 존재감이 부각된다. 다만 598년에 막내동생인 양량과 함께 고구려를 정벌하러 갔으나 대군이 전멸해서 수 문제로부터 자결을 명령받았으나 독고황후 덕분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이 일이 있고 나서 태자 자리에 있던 형을 폐위시키고 자신이 그 자리에 오르기 위해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양소(楊素)와 공모를 하는 한편 태자를 부추겨서 군사들을 조련하게 했다. 또한 수 문제 또는 독고황후가 태자궁에 갈 때 술과 계집을 보내서 더욱 사치스럽고 방탕하다는 이미지를 씌웠다. 그러다가 어머니인 독고황후가 수 문제가 총애하던 위지녀(尉支女)라는 궁녀를 참수하고 그 목을 수 문제 앞에 보이자 수 문제는 상서좌복야 고경과 신하들과 함께 궁궐을 빠져나갔고, 이때 양광은 태자인 형을 부추겨 황궁을 수비하라고 했고, 태자는 이를 따라서 자신의 군사들로 황궁을 수비했는데 그 다음날 황제가 궁궐로 돌아올 때 질책받았다. 결국 600년에 태자는 이부시랑 소좌보, 태자가령 주문동 등과 술자리에서 나눈 대화가 문제가 되어 국문장(鞫問場: 중죄인을 신문하는 장소)에서 추국(推鞫: 중죄인을 신문하는 일)을 받은 끝에 서인(나중에 방릉왕(房陵王)으로 추존)으로 강등되어 이궁에 유폐되었다. 태자인 맏형이 서인으로 강등되자 다음 태자 자리는 양광의 것이었고, 성대한 태자 책봉식을 통해 태자가 되었는데 그날 엄청난 바람이 불고 지진이 일어났다. 그래서인지 수나라가 멸망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602년에 어머니인 독고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피눈물을 흘리며 통곡을 해 수 문제는 물론 여러 신하들을 감동시켰으나 태자궁으로 돌아와서는 숨겨둔 술과 고기를 먹었다고 한다.(이 부분은 당나라에서 악의적으로 기록했을 수 있다.) 그 이후에 수 문제는 후궁인 선화부인 진씨를 가까이 하다가 기력이 쇠해지고 쓰러지게 되자 이 틈을 타서 장군 우문술(宇文述)과 사돈관계를 맺었고, 둘째 동생인 촉왕 양수에게 누명을 씌워 서인으로 강등시켰다. 604년에 수 문제는 중병이 들어 인수궁에 누워있게 되고 후궁인 선화부인 진씨 또한 함께가게 된다. 양광은 인수궁을 장악하고 그곳에서 선화부인 진씨를 범하려다가(양광이 진나라를 멸망시켰을 때 선화부인 진씨는 진나라의 공주였고 양광의 귀인이 되었으나 수 문제의 후궁이 되었다) 이 사실이 수 문제의 귀에 들어가자 수 문제는 "짐승 따위에게 대사(大事)를 맡길 수 없다. 독고(황후)가 나를 그르치게 했다"라는 말을 하고 폐태자인 양용을 다시 태자로 복귀시키려 했으나 인수궁이 양광의 부하들에게 장악된 탓에 무산되었고, 얼마 후 붕어(崩御)한다. 일설에는 양광의 부하에게 살해되었다고 한다. 수 문제가 붕어한 후 양광은 금으로 만든 함에 동심결(同心結: 러브레터)을 선화부인에게 보냈고, 강제로 범했다.(이것을 증()하였다고 하는데 사전적 의미로는 '찌다'의 의미이나 여기서는 '아비의 여인을 범하다'라는 의미이다) 이 일이 있고나서 선화부인은 진귀비로 책봉되어 양제의 후궁이 되나 그로부터 1년 후에 세상을 떠나게 되고 양제는 신상부(神傷賦)를 지어 애도했다고 한다. 


양광은 604년 7월에 황제에 즉위하여 수나라의 2대황제가 된다. 원래 수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세조(世祖) 명제(明帝)이나 수나라의 뒤를 이은 당나라 왕조에서는 양제(煬帝)라는 시호를 추증했다. 양()은 하늘을 거역하고 백성을 학대했다는 뜻으로 최악의 시호이다. 즉위했을 무렵의 수나라는 문제의 치세에 인구가 많았고 창고에는 곡식이 산더미였으나 대 토목공사와 고구려 정벌로 인해 모두 소모하게 된다.

즉위했을 때 막내동생인 한왕 양량이 반란을 일으키지만 상서우복야 양소를 보내 진압하고, 양소를 상서좌복야에 임명한다. 그러나 그 이후에 양소도 제거된다.


황제에 즉위하자마자 대대적인 토목공사를 일으켰다. 낙양에 새로운 수도 동경(東京)을 조영하고 그 서쪽에 현인궁이라는 장려한 별궁에다, 장안 주변에 주위 2백리에 달하는 서원(西苑)이라는 큰 정원을 만들었는데 이 공사를 위해 매원 2백만명의 백성들이 동원되었다. 거기에다가 궁전 조영을 위해 먼 강남지역에서 수만 개의 큰 나무들이 운반되었는데 그 운반의 행렬이 1천리 이상이었고, 1개의 큰 나무를 운반하는데 인부 2천명, 운반비용으로 수십만전이 들었다. 게다가 고역이라서 인부의 절반이 사망했다는 기록도 있다. 

607년에는 폭 1백보의 도로를 유림(楡林)에서 계주(薊州)까지 3천리에 걸쳐 쌓았고, 만리장성 또한 보수했다. 

(국도나 장성의 수축은 국방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겉보기에 폭군같아보여도 이것을 가지고 폭군이라고 하는 것은 부당하다.)

양제의 대 토목공사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대운하의 개착이다. 문제 시대에 황하와 장안을 잇는 광통거(廣通渠)와 양자강과 회수를 잇는 산양독(山陽瀆)이 개착되었는데 양제는 다시 이 사업을 계속 발전시켜서 남쪽은 강남의 여항으로부터, 북쪽은 탁군까지 중국을 남북으로 종단하는 대운하를 완성시켰다. 즉 605년에 회수와 황하를 잇는 통제거, 608년에는 황하와 탁군을 잇는 영제거, 610년에는 양자강과 여항을 잇는 강남하가 완성되었는데 이들 운하는 단시간에 완성되었는데 수백만명의 백성들이 동원되었기 때문이었고, 공사를 하다가 목숨을 잃은 백성들의 수가 많았으며 게다가 운하를 따라 40개의 행궁과 운하 옆으로 대로를 건설하고 그 대로 양옆에 느릎나무와 버드나무를 심었다. 게다가 운하를 배로 지날 때 얕은 지대가 발견되자 관리 책임자와 인부 5만명을 생매장했고, 운하를 공사하는 인부들이 물 바깥으로 나와 몸을 말릴 시간이 없어서 살이 썩어서 구더기가 들끓었다고 한다.

통제거가 완성된 605년에 수천 척의 용주(龍舟: 높이 45척, 폭 50척, 길이 200척, 4층으로 된 호화선)로 궁녀와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강도로 행차했는데, 통과하는 주현마다 1주당 수레로 수백대분의 산해진미를 상납했고, 다 먹지 못한 것은 땅 속에 묻었다고 한다. 배를 젓는 인부도 8만명에 황제를 경비하는 기병이 20만명이었다고 한다. 남자들 만으로 모자라자 주변의 여자들까지 동원했고, 이때 백성들이 스스로 손이나 발을 잘라서 노역을 피하려는 일이 일어났다(이것을 복수복족(福手福足)이라고 하는데 팔, 다리가 없는것이 복이라는 뜻이다.)


대외적으로 돌궐(突厥)과 토욕혼(吐谷渾)을 정복하고 고구려에도 조공사신을 보냈으나 당시 고구려의 영양왕이 이를 거절해서 고구려를 정벌하고자 했다. 양제가 직접 돌궐에 갔을 때 그 자리에 고구려 사신도 있었고, 그 고구려 사신에게 왕이 항복하게 하라고 했으나 그렇게 되지 않았다. 양제는 고구려 정벌은 3번에 걸쳐서 했는데 이것이 수나라를 멸망에 이르게 한 가장 큰 요소로 작용했다. 게다가 신하들 중에서 목숨걸고 간언하는 충신이 없어서(있어도 좌천되거나 주살되었다) 결국 고구려 원정이 진행되었고 양제는 다음과 같이 선전포고문을 작성했다.


 “고구려 작은 무리들이 사리에 어둡고 공손하지 못하여, 발해(渤海)와 갈석(碣石) 사이에 모여 요동 예맥의 경계를 거듭 잠식하였다. 비록 한(漢)과 위(魏)의 거듭된 토벌[6]로 소굴이 잠시 기울었으나, 난리로 많이 막히자 종족이 또다시 모여들어 지난 시대에 냇물과 수풀을 이루고 씨를 뿌린 것이 번창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저 중화의 땅[7]을 돌아보니 모두 오랑캐의 땅이 되었고, 세월이 오래되어 악이 쌓인 것이 가득하다.


하늘의 도는 음란한 자에게 화를 내리니 망할 징조가 이미 나타났다. 도리를 어지럽히고 덕을 그르침이 헤아릴 수 없고, 간사함을 가리고 품는 것이 오히려 날로 부족하다. 조칙으로 내리는 엄명을 아직 직접 받은 적이 없으며, 조정에 알현하는 예절도 몸소 하기를 즐겨하지 않았다. 도망하고 배반한 자들을 유혹하고 거두어들임이 실마리의 끝을 알 수 없고, 변방을 채우고 개척하여 경비초소를 괴롭히니, 관문의 닦다기가 이로써 조용하지 못하고, 살아있는 사람이 이 때문에 폐업하게 되었다.


옛날에 정벌할 때 천자가 행하는 형벌에서 빠져 이미 앞에 사로잡힌 자는 죽음을 늦추어주고, 뒤에 항복한 자는 아직 죽음을 내리지 않았는데, 일찍이 은혜를 생각하지 않고 도리어 악을 길러, 거란의 무리를 합쳐서 바다를 지키는 군사들을 죽이고, 말갈의 일을 익혀 요서를 침범하였다. 또 청구(靑丘)의 거죽이 모두 직공(職貢)을 닦고, 벽해(碧海)의 물가가 같이 정삭을 받드는데, 드디어 다시 보물을 도둑질하고 왕래를 막고, 학대가 죄 없는 사람들에게 이르고 성실한 자가 화를 당한다. 사명을 받던 수레가 해동에 갔을 때 정절(旌節)이 행차가 번방의 경계를 지나야 하는데, 도로를 막고 왕의 사신을 거절하여, 임금을 섬길 마음이 없으니, 어찌 신하의 예절이라고 하겠는가?


이를 참는다면 누구를 용납하지 않을 것인가? 또 법령이 가혹하고 부세가 번거롭고 무거우며, 힘센 신하와 호족이 모두 권력을 쥐고 나라를 다스리고, 붕당끼리 친하게 지내는 것으로 풍속을 이루고, 뇌물을 주는 것이 시장과 같고, 억울한 자는 말을 못한다. 게다가 여러 해 재난과 흉년으로 집집마다 기근이 닥치고, 전쟁이 그치지 않고 요역이 기한이 없고 힘은 운반하는 데 다 쓰이고 몸은 도랑과 구덩이에 굴러 백성들이 시름에 잠겨 고통스러우니 이에 누가 가서 따를 것인가?


경내(境內)가 슬프고 두려워 그 폐해를 이기지 못할 것이다. 머리를 돌려 내면을 보면 각기 생명을 보존할 생각을 품고, 노인과 어린이도 모두 혹독함에 탄식을 일으킨다. 풍속을 살피고 유주(幽州), 삭주(朔州)에 이르렀으니 무고한 사람들을 위로하고 죄를 묻기 위해 다시 올 필요는 없다.


이에 친히 6사(六師)를 지배하여 9벌(九伐)을 행하고, 저 위태함을 구제하며 하늘의 뜻에 따라 이 달아난 무리를 멸하여 능히 선대의 정책을 잇고자 한다. 지금 마땅히 규율을 시행하여 부대를 나누어서 길에 오르되 발해를 덮어 천둥같이 진동하고, 부여를 지나 번개같이 칠 것이다.


방패를 가지런히 하고 갑옷을 살피고, 군사들에게 경계하게 한 후에 행군하며, 거듭 훈시하여 필승을 기한 후에 싸움을 시작할 것이다. 좌(左) 12군(軍)은 누방(鏤方)·장잠(長岑)·명해(溟海)·개마·건안(建安)·남소·요동·현도·부여·조선·옥저·낙랑 등의 길, 우(右) 12군은 점제(黏蟬)·함자(含資)·혼미(渾彌)·임둔(臨屯)·후성(候城)·제해(提奚)·답돈(踏頓)·숙신·갈석(碣石)·동이(東暆)·대방·양평(襄平) 등의 길로, 연락을 끊지 않고 길을 이어 가서 평양에 모두 집결하라.

                                                               《삼국사기》권제20 고구려본기 제8 三國史記 卷第二十 髙句麗本紀 第八


612년에 제 1차 고구려 원정이 진행되었는데 113만 3천 8백명의 대군을 징집했고 우문술, 우중문, 내호아(수군) 등의 장수들을 동원해 고구려를 침공했다. 고구려와의 국경인 요하에 도착해서 부교를 만들었으나 그 길이가 1장(약 3m)이 모자란 탓에 고구려군의 화살공격으로 많은 수나라 군사들이 죽었다. 양제는 부교 건설을 담당한 장수 우문개를 질타했고 다시 부교를 만들어 요하를 건넜으며 이때 고구려는 1만여명의 군사들을 잃고 요동성으로 퇴각한다. 요동성으로 진격해서 성을 함락시키려고 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하고 시간만 보내게 된다. 그렇게 된 이유는 중국의 성은 벽돌성이었으나 고구려의 성은 돌로 만들어진 석성이었기 때문이며, 수나라의 공성무기 모두 중국 성을 공략하는데에 맞춰져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요동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 게다가 고구려는 청야전술(淸野戰術: 적군이 사용할 만한 모든 군수물자와 식량들을 없애서 적군을 지치게 하는 전략)을 사용하는데다가 양제 자신의 명령이 없이 함부로 움직이지 말라는 명령을 내린 것 역시 한몫 했다(요동성에서 고구려 장수 한 사람이 배신했는데 양제의 명령을 받기 위해 기다리던 사이에 고구려군이 배신자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했다). 시간이 지체되자 양제는 우중문과 우문술로 하여금 30만의 별동대를 편성해서 내호아의 수군과 함께 평양성을 공격하게 했다. 그러나 별동대가 보급받은 식량은 100일치였고, 그것을 직접 몸에 지니고 행군해야 했으며 버리는 자는 군법으로 다스린다고 공포했지만 무게를 견디지 못한 나머지 몰래 땅 속에 묻어서 평양성에 도착했을 때 대부분의 군사들이 기아(飢餓)에 허덕였다. 별동대를 상대한 고구려의 장수는 을지문덕(乙支文德)이었는데 수나라 별동군 진영에 항복을 가장해서 들어와 염탐을 하고 본진으로 돌아갔다. 그럴 수 있었던 것은 우중문과 우문술의 사이가 좋지 않았을 뿐더러 우문술과 별동대에 파견된 장수 유사룡이 을지문덕을 돌려보내자고 했기 때문이었다. 을지문덕이 고구려군 진영으로 돌아간 후 살수(청천강)를 건너 평양성에 도달했으나 식량부족으로 군의 사기가 떨어졌고 을지문덕이 다음의 내용을 갖는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를 써서 우중문에게 보냈다.


神策究天文(신책구천문) 

신묘한 책략은 하늘의 이치를 꿰뚫었고

妙算窮地理(묘산궁지리) 

절묘한 계산은 땅의 이치를 통달했도다

戰勝功旣高(전승공기고) 

싸움에 이겨 공이 이미 높으니

知足願云止(지족원운지) 

원컨대 만족함을 알고 그만두기를 바라노라


이 편지를 읽은 우중문은 식량부족으로 인해 군사들이 사기가 떨어진 것을 알고 퇴각을 결정하나 살수에서 고구려군의 공격을 받아 30만 별동군이 전멸해서 2,700명만 살아남아 돌아갈 수 있었다. 

한편 수군을 지휘하는 내호아는 공훈에 눈이 멀어 우중문의 별동군과 협동을 하는게 아닌 단독으로 평양성을 공격하나 영양왕의 아우인 고건무는 평양성을 비워놓고 빈 성에 재물을 뿌려놓은 다음 매복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내호아는 별 다른 저항없이 평양성에 입성하나 병사들이 평양성에 뿌려진 재물을 보고 달려드는 바람에 대오(隊伍)가 붕괴되었고, 고건무는 이 틈을 타서 내호아의 군사들을 공격해서 절반 이상이 궤멸되어 살아남은 병사들이 수천 뿐이었다. 별동군과 수군의 패전에 분노한 양제는 을지문덕을 살려보낸 유사룡을 처형하고 우중문, 우문술, 내호아 등의 장수들을 쇠사슬로 묶어 고구려에서 철수했다. 이렇게 1차 고구려 원정은 실패로 끝났다.


이듬해인 613년에 양제는 35만 대군으로 2차 고구려 원정을 나서는데 이때는 병역기피가 속출해 효과(驍果)라는 부대가 원정군의 주력이었다. 원정군이 요동성에 도착해서 공격을 개시했고, 효과들의 활약에 힘입어 요동성이 함락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으나 병참을 책임진 양현감(楊玄感, 상서좌복야 양소의 장남)이 10만의 군중을 모아 반란을 일으켜서 후퇴해야 했다. 게다가 양현감의 친구인 병부시랑(지금의 국방장관) 곡사정이 고구려군에 투항해서 몰래 철수하기 위해 군수물자와 식량을 두고 퇴각했는데 고구려가 뒤늦게 추격해서 철수하는 중에 수천명의 수나라 군이 전사했고, 고구려도 1차 원정 때보다 큰 손실을 입었다. 양현감의 난은 수나라 멸망의 도화선으로 작용했다. 


본국으로 후퇴한 양제는 양현감의 난을 진압하고 614년에 다시 군사를 일으켜 고구려 정벌을 감행한다(3차 고구려 원정). 그러나 탈영병의 속출로 제대로 된 전쟁을 할 수 없었는데다가 고구려에서 2차 원정 때 투항한 곡사정을 돌려보내고 (거짓으로) 항복한다는 문서를 보내 원정을 중단한다. 


앞서 대 토목공사에 고구려 원정으로 인해 수나라는 전국적으로 반란이 일어났고, 616년에 장안에서 강도로 피난갔으나 반란을 진압하려고 하기는 커녕 주색잡기에 빠져있었다. 또한 손자인 대왕 양유에게 장안성을, 손자인 월왕 양통에게 낙양성을 맡겼다. 하지만 두 손자들은 너무 어렸고, 결국 장안성에는 황족인 이연, 이세민(훗날의 당태종) 부자가, 낙양성에는 왕세충이 입성하게 되고 허수아비가 된다. 상황이 이렇게 되니 양제는 거울을 보면서 "이 목은 도대체 누가 치게 될까?"하고 중얼거렸다. 결국 618년 3월 11일에 근위장인 우문화급, 우문지급 형제(우문술의 아들들)가 군사들을 선동해서 모반을 일으켜 양제를 시해(弑害: 왕 또는 황제를 죽임)했다. 양제가 시해됬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이연과 왕세충은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올라 이렇게 수나라는 멸망하게 된다. 


참고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_%EB%AC%B8%EC%A0%9C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_%EC%96%91%EC%A0%9C

https://ko.wikipedia.org/wiki/%EC%84%A0%ED%99%94%EB%B6%80%EC%9D%B8

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C%9A%A9

https://namu.wiki/w/%EC%96%91%EC%A0%9C(%EC%88%98)?from=%EC%88%98%EC%96%91%EC%A0%9C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