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반응형

고체의 선팽창계수


실험목적


금속막대의 온도변화에 따른 길이의 변화를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하여 고체의 선팽창계수를 측정한다.


실험원리


고체의 길이나 부피는 온도 t의 함수로서 온도상승에 따라 증가하므로 t의 멱급수로 표시할 수 있다.

l=l0(1+α(tt0)+β(tt0)2+γ(tt0)3+)

여기서 l0t0=0C일 때의 막대의 길이이며, α,β,γ,등은 물질에 따라 다른 매우 작은 상수값이다. β이하의 항은 α에 비해 매우 작아서 측정하는 온도 범위 내에서는 무시할 수 있다. 즉, l=l0(1+α(t1t0))=l0(1+αΔt), Δl=ll0=l0αΔt.


물체의 길이는 온도에 따라 변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선팽창이라 하며, 온도가 t1에서 t2로 변할 때, 길이가 l1에서 l2로 변화했다면

l2=l1+l1α(t2t1)α=l2l1l1((t2t1)=Δll1Δt

가 성립한다. 여기서 α는 그 물체의 선팽창계수이며, 그 값은 온도 t1t2사이의 평균값이다.


부피가 V0=l30인 정육면체를 생각하자. 온도를 Δt만큼 상승시킬 때 모서리의 길이가 Δl만큼 상승한다고 하면 이때의 정육면체의 부피 증가량은 ΔV=VV0=(l0+Δl)3l30=3l20Δl+3l0(Δl)2+(Δl)3=3l30αΔt+3l0(Δl)2+(Δl)3이고, 체적 팽창계수를 β라고 하면 ΔV=βΔt이고 Δl은 매우 작아서 무시가능하므로 ΔV=3V0αΔt이고 따라서 β=3α이다.


실험기구 및 장치


선팽창계수 측정장치, 증기발생기, 디지털온도계, 자, 금속막대


실험방법


(1) 금속막대의 길이를 실온에서 측정한다.


(2) 금속막대를 선팽창계수 측정장치 속에 넣어 한쪽 끝을 고정시키고 온도계를 꽂아 금속막대에 가능한 한 가깝게 놓이도록 장치한 후, 다른 쪽 끝에 부착된 다이얼 게이지를 조정하여 그때의 눈금 l1t1을 읽는다.


(3) 다이얼 게이지의 접점 간격을 두게 하고, 가열기에서 나오는 수증기를 통과시켜 금속막대를 가열한다.


(4) 온도의 상승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약 5~10분 후)의 온도 t2와 그때의 위치 l2를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한다.


(5) 온도의 변화 t2t1에 따른 길이의 변화 l2l1를 구하여 막대의 선팽창계수 α를 구한다.


(6) 금속막대를 물로 식혀 위와 같은 실험을 여러번 반복한다.


*주의사항:

1. 증기발생기에 물이 모자라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증기발생기에 물을 충분히 채운다.

2. 증기발생기와 실험장치에 손을 대면 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손을 대지 않는다.


*이 실험에서는 열손실을 고려하지 않았으나 실제로 열손실로 인해 오차가 발생한다.


실험영상: http://ocw.kookmin.ac.kr/?course=1170


참고자료:

이 공대생을 위한 일반물리학실험, 경기대학교 일반물리학실험 교재편찬위원회, 북스힐

http://genlab.uos.ac.kr/exp_doc/expansion_constant_of_solid/

http://phylab.yonsei.ac.kr/board.php?board=reference&command=body&no=26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Chosun/parksohui/3.pdf

http://eternity21.tistory.com/entry/%EB%AC%BC%EB%A6%AC%EA%B2%B0%EA%B3%BC-%EB%B3%B4%EA%B3%A0%EC%84%9C-%EA%B3%A0%EC%B2%B4%EC%9D%98-%EC%97%B4%ED%8C%BD%EC%B0%BD%EA%B3%84%EC%88%98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