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주파 가열에 의한 철강의 표면 열처리 이론에 사용되는 적분공식



여기서 소개하고자 하는 문제는 Churchill과 Brown의 Complex Variables and Applications에 있는 유수정리(Residue theorem)를 이용하여 이상적분을 계산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의 이상적분식은 고주파 가열에 의한 철강의 표면 열처리 이론에 사용된다고 한다. 그래서 그 내용과 관련된 참고문헌을 찾으려고 구글검색 등의 방법을 이용했으나 제목만 알 뿐 찾지 못했다. 


관련된 참고문헌: Brown, G. H., C. N. Hoyler, and R. A. Bierwirth: "Theory and Application of Radio-Frequency Heating," D. Van Nostrand Company, Inc., New York, 1947.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복소함수 이론을 이용하여 다음의 이상적분 공식이 성립함을 보이는 것이다.$$\int_{0}^{\infty}{\frac{dx}{\{(x^{2}-a)^{2}+1\}^{2}}}=\frac{\pi}{8\sqrt{2}A^{3}}\{(2a^{2}+3)\sqrt{A+a}+a\sqrt{A-a}\}$$여기서 \(a\)는 임의의 실수이고 \(A=\sqrt{a^{2}+1}\)이다. 

이 문제의 피적분함수는 부정적분을 구할 수 없는 함수이기 때문에 복소함수 이론을 이용하여 이상적분을 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x\)축(실수축)과 그 위의 반원으로 둘러싸인 영역에서 해당 함수의 복소적분을 구하고 반원 위에서의 복소적분이 0으로 수렴함을 보여야 한다.

피적분함수는 \(\displaystyle f(x)=\frac{1}{\{(x^{2}-a)^{2}+1\}^{2}}\)이고, 이 함수를 복소변수 \(z\)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f(z)=\frac{1}{\{(z^{2}-a)+1\}^{2}}$$\(q(z)=\{(z-a)^{2}+1\}\)라고 하고 방정식 \(q(z)=0\)의 근을 구하자. 먼저 \(z^{2}\)에 대한 방정식으로 보고 \(z^{2}\)에 대한 근을 구하면 \(a\pm i\)이다. 즉 \(z^{2}=a\pm i\). 

다음으로 \(z\)에 대한 방정식 \(z^{2}=a\pm i\)의 근을 구하자.

먼저 방정식 \(z^{2}=a+i\)의 근을 구하면$$a+i=\sqrt{a^{2}+1}\left(\frac{a}{\sqrt{a^{2}+1}}+i\frac{1}{\sqrt{a^{2}+1}}\right)=Ae^{i\alpha}\,(\alpha=\text{Arg}(a+i))$$이므로 \(A=\sqrt{a^{2}+1}\)이라고 하면 방정식 \(z^{2}=a+i\)의 근은 \(\pm\sqrt{A}e^{i\frac{\alpha}{2}}\)이다. 이때$$\cos\alpha=\frac{a}{A},\,\sin\alpha=\frac{1}{A}$$이므로$$\cos^{2}\frac{\alpha}{2}=\frac{1+\cos\alpha}{2}=\frac{A+a}{2A},\,\sin^{2}\frac{\alpha}{2}=\frac{1-\cos\alpha}{2}=\frac{A-a}{2A}$$이고 따라서 방정식 \(z^{2}=a+i\)의 근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z=\pm\frac{1}{\sqrt{2}}(\sqrt{A+a}+i\sqrt{A-a})$$

같은 방법으로 방정식 \(z^{2}=a-i\)의 근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z=\pm\frac{1}{\sqrt{2}}(\sqrt{A+a}-i\sqrt{A-a})$$\(\displaystyle z_{0}=\frac{1}{\sqrt{2}}(\sqrt{A+a}+i\sqrt{A-a})\)라 하자. 그러면 \(z_{0}\)와 \(-z_{0}\)는 \(a+i\)의 제곱근이고, \(\overline{z_{0}}\)와 \(-\overline{z_{0}}\)는 \(a-i\)의 제곱근이고, 이때 \(z_{0}\)와 \(-\overline{z_{0}}\)는 반평면 \(\text{Im}z\geq0\)위에 있고, \(\pm z_{0}\)와 \(\pm\overline{z_{0}}\)는 방정식 \(q(z)=0\)의 근이다.


앞에서 \(\displaystyle f(z)=\frac{1}{\{q(z)\}^{2}}\)로 나타내었고, \(f(z)\)의 \(z=z_{0}\), \(z=-\overline{z_{0}}\)에서의 유수를 구하자.  

\(q(z)=(z-z_{0})g(z)\)(\(g(z)\)는 \(z=z_{0}\)에서 해석적이고 \(g(z_{0})\neq0\))라 하자. 그러면 \(f(z)\)는 \(z=z_{0}\)에서 2차 극을 가지므로 \(\displaystyle\phi(z)=\frac{1}{\{g(z)\}^{2}}\)라 할 때 \(\phi'(z_{0})\)가 \(f(z)\)의 \(z=z_{0}\)에서의 유수이다.$$\phi'(z)=\frac{-2g'(z)g(z)}{\{g(z)\}^{4}}=-\frac{2g'(z)}{\{g(z)\}^{3}}$$이고$$q'(z)=g(z)+(z-z_{0})g'(z),\,q''(z)=2g'(z)+(z-z_{0})g''(z)$$이므로 \(q'(z_{0})=g(z_{0})\), \(q''(z_{0})=2g'(z_{0})\)이고 따라서 \(\displaystyle\phi'(z_{0})=-\frac{q''(z_{0})}{\{q'(z_{0})\}^{3}}\)이다. 

\(f(z)\)의 \(z=z_{0}\)에서의 유수를 \(B_{1}\)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다.$$\begin{align*}B_{1}&=-\frac{12z_{0}^{2}-4a}{\{4z_{0}(z_{0}^{2}-a)\}^{3}}=-\frac{3z_{0}^{2}-a}{16z_{0}^{3}(z_{0}^{2})^{3}}=-\frac{3(a+i)-a}{16(a+i)z_{0}i^{3}}\\&=-\frac{(2a+3i)(a-i)}{16z_{0}(a+i)(a-i)i^{3}}=-\frac{(2a^{2}+3)+ai}{16z_{0}(a^{2}+1)(-i)}\\&=\frac{a-(2a^{2}+3)i}{16A^{2}z_{0}}\end{align*}$$같은 방법으로 \(f(z)\)의 \(z=-\overline{z_{0}}\)에서의 유수를 \(B_{2}\)라고 하면 다음과 같다.$$\begin{align*}B_{2}&=-\frac{12\overline{z_{0}}^{2}-4a}{\{-4\overline{z_{0}}(\overline{z_{0}}^{2}-a)\}^{3}}=\frac{3\overline{z_{0}}^{2}-a}{16\overline{z_{0}}^{3}(\overline{z_{0}}^{2}-a)^{3}}=\frac{3(a-i)-a}{16(a-i)\overline{z_{0}}(-i)^{3}}\\&=\frac{(2a-3i)(a+i)}{16\overline{z_{0}}(a-i)(a+i)i}=\frac{(2a^{2}+3)-ai}{16\overline{z_{0}}(a^{2}+1)i}\\&=\frac{-a-(2a^{2}+3)i}{16A^{2}\overline{z_{0}}}\end{align*}$$이때 \(B_{2}=-\overline{B_{1}}\)이고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B_{1}+B_{2}=2\text{Im}B_{1}=\frac{1}{8A^{2}i}\text{Im}\left(\frac{-a+i(2a^{2}+3)}{z_{0}}\right)$$이때$$\frac{1}{z_{0}}=\frac{\sqrt{2}}{\sqrt{A+a}+i\sqrt{A-a}}=\frac{\sqrt{A+a}-i\sqrt{A-a}}{\sqrt{2}A}$$이므로$$\begin{align*}\frac{-a+(2a^{2}+3)i}{z_{0}}&=\frac{\{(-a+i(2a^{2}+3))\}(\sqrt{A+a}-i\sqrt{A-a})}{\sqrt{2}A}\\&=\frac{\{(2a^{2}+3)\sqrt{A-a}-a\sqrt{A+a}\}+\{(2a^{2}+3)\sqrt{A+a}+a\sqrt{A-a}\}i}{\sqrt{2}A}\end{align*}$$이고 따라서$$B_{1}+B_{2}=\frac{1}{8\sqrt{2}A^{3}i}\{(2a^{2}+3)\sqrt{A+a}+a\sqrt{A-a}\}$$이다. 

유수를 구했으니 \(x\)축(실수축)과 그 위의 반원으로 둘러싸인 영역에서의 선적분을 구하자. 양의 실수 \(R(>|z_{0}|)\)에 대하여 실수축 \([-R,\,R]\)과 반평면 \(\text{Im}z\geq0\) 위에서의 반원 \(C_{R}\)로 둘러싸인 영역에서의 복소적분은 유수정리에 의해$$\int_{-R}^{R}{\frac{1}{\{(x^{2}-a)^{2}+1\}^{2}}dx}+\int_{C_{R}}{f(z)dz}=2\pi i(B_{1}+B_{2}$$이고, \(|z|=R\)일 때 삼각부등식에 의해$$|z\pm z_{0}|\geq||z|-|z_{0}||=R-|z_{0}|$$이고$$|q(z)|=|(z-z_{0})(z+z_{0})(z-\overline{z_{0}})(z+\overline{z_{0}})|\geq(R-|z_{0}|)^{4}$$이므로$$|f(z)|=\frac{1}{\{q(z)\}^{2}}\leq\frac{1}{(R-|z_{0}|)^{8}}$$이고$$\left|\int_{C_{R}}{f(z)dz}\right|\leq\int_{C_{R}}{|f(z)|dz}\leq\frac{2\pi R}{(R-|z_{0}|)^{8}}$$이며 \(\displaystyle\lim_{R\,\rightarrow\,\infty}{\frac{2\pi R}{(R-|z_{0}|)^{8}}}=0\)이므로 \(\displaystyle\lim_{R\,\rightarrow\,\infty}{\int_{C_{R}}{f(z)dz}}=0\)이다. 

따라서 다음의 등식을 얻고$$\int_{-\infty}^{\infty}{\frac{1}{\{(x^{2}-a)^{2}+1\}^{2}}dx}=2\pi i(B_{1}+B_{2})=\frac{\pi}{4\sqrt{2}A^{2}}\{(2a^{2}+3)\sqrt{A+a}+a\sqrt{A-a}\}$$이때 \(\displaystyle\frac{1}{\{(x^{2}-a)^{2}+1\}^{2}}\)는 우함수이므로 다음과 같이 원하는 결과를 얻었다.$$\int_{0}^{\infty}{\frac{1}{\{(x^{2}-a)^{2}+1\}^{2}}dx}=\frac{\pi}{8\sqrt{2}A^{3}}\{(2a^{2}+3)\sqrt{A+a}+a\sqrt{A-a}\}$$이상으로 철강의 열처리에 사용되는 적분공식의 유도를 마쳤다.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