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소해석학-대학원] 1. 사상(1)



실변수 함수는 그래프를 그려서 쉽게 함수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지만 복소함수의 경우 2변수(실수부, 허수부)함수이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 그러나 \(w=f(z)\)로 두고, 2개의 복소평변(\(z\)에 대한 복소평면, \(w=f(z)\)에 대한 복소평면)을 이용해 \(f\)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함수 \(f\)를 사상(mapping) 또는 변환(transformation)이라고 한다. 함수 \(f\)의 정의역 \(S\)상의 점 \(z\)에 대해 \(w=f(z)\)를 \(z\)의 상(image)이라 하고, \(S\)의 부분집합 \(T\)에 속한 점의 상 전체의 집합을 \(T\)의 상이라고 한다. 정의역 전체의 상을 \(f\)의 치역(range), \(f\)의 정의역에 속하고 \(w\)를 상으로 하는 점 \(z\)전체의 집합을 \(w\)의 역상(원상, inverse image)이라고 한다.

특정한 사상의 주요한 기하학적 성질을 설명할 때 평행이동(translation), 회전(rotation), 반사(선대칭이동, reflection)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이 경우는 \(z\)와 \(w\)의 평면이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평행이동: \(z=x+iy\), \(w=z+1=(x+1)+iy\)일 때 \(w\)는 각 점 \(z\)들을 오른쪽으로 1만큼의 평행이동이다. 

-회전: \(z=re^{i\theta}\), \(w=iz=re^{i\left(\theta+\frac{\pi}{2}\right)}\)일 때 \(w\)는 0이 아닌 각 점 \(z\)들을 나타내는 동경벡터를 원점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circ}\)회전시킨다.

-반사: \(z=x+iy\), \(w=\overline{z}=x-iy\)일 때 \(w\)는 각 점 \(z\)들을 실수축에 대해 대칭인 점으로 반사시킨다.      


사상 \(w=z^{2}\)을 다음과 같이 \(xy\)평면에서 \(uv\)평면으로의 변환이라고 볼 수 있다.$$u=x^{2}-y^{2},\,v=2xy$$다음의 쌍곡선의 가지 각각이 연직선 \(u=c_{1}\)위로 일대일로 사상된다.$$x^{2}-y^{2}=c_{1}\,(c_{1}>0)$$

\(z=x+iy\)가 한 가지에 놓인 점일 때 \(u=c_{1}\)(실선)이고 특히 오른쪽 가지에 놓인 점일 때 \(v=2y\sqrt{y^{2}+c_{1}}\)이다. 그러므로 오른쪽 가지의 상(\(x=\sqrt{y^{2}+c_{2}}\))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u=c_{1},\,v=2y\sqrt{y^{2}+c_{1}}\,(-\infty<y<\infty)$$오른쪽 가지에 있는 점 \(z\)가 그 가지를 따라 위로 움직일 때 \(z\)의 상은 직선 \(u=c_{1}\)전체를 따라 위로 움직인다. 마찬가지로 쌍곡선에서 왼쪽 가지의 상(\(x=-\sqrt{y^{2}+c_{2}}\))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u=c_{1},\,v=-2y\sqrt{y^{2}+c_{1}}\,(-\infty<y<\infty)$$왼쪽 가지에 있는 점 \(z\)가 그 가지를 따라 아래로 움질일 때 \(z\)의 상은 직선 \(u=c_{1}\)전체를 따라 위로 움직인다.  

다음의 쌍곡선의 가지는 수평선 \(v=c_{2}\)(점선)위로 사상된다.$$2xy=c_{2}\,(c_{2}>0)$$\(z\)가 1사분면에 있다고 하면 \(\displaystyle y=\frac{c_{2}}{2x}\)이므로 이 가지의 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u=x^{2}-\frac{c^{2}}{4x^{2}},\,v=c_{2}\,(0<x<\infty)$$이때 다음이 성립한다.$$\lim_{x\,\rightarrow\,0+}{u}=-\infty,\,\lim_{x\,\rightarrow\,\infty}{u}=\infty$$\(u\)는 \(x\)에 관한 연속함수이므로 \(z\)가 쌍곡선 \(2xy=c_{2}\)의 위쪽 가지 전체를 따라 아래로 움직이면, 그 상은 수평선 \(v=c_{2}\)전체를 따라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아래쪽 가지의 상(\(\displaystyle x=\frac{c_{2}}{2y}\))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u=\frac{c_{2}^{2}}{4y^{2}}-y^{2},\,v=c_{2}\,(-\infty<y<0)$$이때 다음이 성립한다.$$\lim_{y\,\rightarrow\,-\infty}{u}=-\infty,\,\lim_{y\,\rightarrow\,0-}{u}=\infty$$아래쪽 가지 전체를 따라 위로 움직이면, 그 상은 직선 \(v=c_{2}\)전체를 따라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영역 \(x>0,\,y>0,\,xy<1\)은 \(0<c<2\)일 때 곡선족 \(2xy=c\)에 속한 쌍곡선의 위쪽 가지에 놓인 점 전체로 이루어진다.

\(xy\)평면의 한 점이 가지 중 하나를 따라 아래로 움직이면 변환 \(w=z^{2}\)에 의한 그 점의 상은 직선 \(v=c\)전체를 따라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0<c<2\)인 모든 \(c\)에 대해 이런 가지들은 영역 \(x>0\), \(y>0\), \(xy<1\)을 완전히 채우므로, 그 영역은 수평 띠 \(0<y<2\)위로 사상된다.

사상 \(w=z^{2}\)는 \(z=iy\)를 \(w=-y^{2}\)로 사상한다. 그러므로 \(z\)가 \(y\)축을 따라 원점을 향해 아래로 움직이면 그 상은 \(uv\)평면에서 음의 \(u\)축을 따라 오른쪽으로 움직여 원점에 도착한다. 같은 방법으로 \(z=x\)는 \(w=x^{2}\)로 사상되므로 \(z\)가 \(x\)축을 따라 원점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그 상은 \(u\)축을 따라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쌍곡선 \(xy=1\)의 위쪽 가지의 상은 수평선 \(v=2\)이다. 이 사실로부터 닫힌구역 \(x\geq0\), \(y\geq0\), \(xy\leq1\)은 닫힌 띠 \(0\leq v\leq2\)위로 사상된다. 


\(z=re^{i\theta}\)일 때 사상 \(w=z^{2}\)는 \(w=r^{2}e^{i2\theta}\)로 나타낼 수 있다. 원 \(r=r_{0}\)에 있는 점 \(z=r_{0}e^{i\theta}\)은 원 \(\rho=r_{0}^{2}\)에 있는 점 \(w=r_{0}^{2}e^{i2\theta}\)로 사상된다. 그러므로 \(w=\rho e^{\phi}\)라고 하면 \(\rho=r^{2}\), \(\phi=2\theta\)이다. 

따라서 변환 \(w=z^{2}\)은 위의 그림에 나타낸대로 \(xy\)평면의 1사분면 \(r\geq0\), \(\displaystyle0\leq\theta\leq\frac{\pi}{2}\)를 \(uv\)평면의 상반평면 \(\rho\geq0\), \(0\leq\phi\leq\pi\)로 보내는 일대일 사상이다. 점 \(z=0\)은 점 \(w=0\)으로 사상된다. 변환 \(w=z^{2}\)에 의해 \(xy\)평면의 상반평면 \(r\geq0\), \(0\leq\theta\leq\pi\)가 \(uv\)평면 전체로 사상되나 일대일은 아니다. 그 이유는 \(xy\)평면의 양의 실수축과 음의 실수축이 모두 \(uv\)평면의 양의 실수축 위로 사상되기 때문이다. 


변환 \(w=e^{z}\)는 \(z=x+iy\)이므로 \(w=e^{z}=e^{x}e^{iy}\)로 나타낼 수 있고, \(\rho=e^{x}\), \(\phi=y\)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연직선 \(x=c_{1}\)(실선)상의 점 \(z=c_{1}+iy\)는 \(w=e^{c_{1}}e^{iy}\)로 사상되고, 그 상은 반지름이 \(e^{c_{1}}\)인 원이며 이 원의 각 점들은 연직선을 따라 \(2\pi\)만큼 떨어져 있는 무수히 많은 점들의 사상이다.

수평선 \(y=c_{2}\)(점선)상의 점 \(z=x+ic_{2}\)는 \(w=e^{x}e^{ic_{2}}\)로 사상되고, 그 상은 반직선 \(\phi=c_{2}\)전체를 따라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앞에서 언급한 변환 \(w=e^{z}\)는 직사각형 구역 \(a\leq x\leq b\), \(c\leq y\leq d\)를 구역 \(e^{a}\leq\rho\leq e^{b}\), \(c\leq\phi\leq d\)로 사상한다.

또한 이 변환에 대한 무한 띠 \(0\leq y\leq\pi\)의 상은 \(uv\)평면의 상반평면 \(v\geq0\)이다.


참고자료:

Complex Variables and Applications 8th edition, Brown, Churchill, McGraw-Hill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