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반응형

[기초전자회로실험] 12. JFET 특성



1. 실험목적


실험을 통해 JFET 트랜지스터의 출력특성, 드레인 특성, 전달특성곡선을 그린다.


2. 실험이론


JFET(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은 다수 캐리어에 의해서만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단일(unipolar) 소자이다.

(왼쪽: n채널 JFET, 오른쪽: JFET 실물)


n채널 JFET의 다수 캐리어는 전자이고, p채널 JFET의 다수 캐리어는 정공이다.(아래 그림 참고)

n채널 JFET에서 전류의 경로는 n형으로 도핑된 게르마늄 또는 실리콘이고, p채널 JFET에서 전류의 경로는 p형으로 도핑된 게르마늄 또는 실리콘이다.

전류의 흐름은 채널 내부에서 서로 반대로 도핑된 영역 사이에 생기는 공핍영역에 의해 조절된다. 채널은 각각 드레인(D)과 소스(S)로 불리는 두개의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n채널 JFET의 경우, 드레인이 +전압에, 소스가 -전압에 연결되어 채널에 전류의 흐름이 형성된다. p채널 JFET의 경우 인가전압의 극성은 n채널 JFET와 반대이다.

게이트로 불리우는 세 번째 단자는 공핍영역과 채널의 폭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이용하여 드레인과 소스 사이로 흐르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n채널 JFET에서는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이 -전압으로 될 수록 채널의 폭이 좁아지며 드레인에서 소스로 흐르는 전류량은 작아지게 된다.


3. 실험


1) 실험장비 및 부품


DMM, 커브 트레이서(가능한 경우), 100,1k,10kΩ, 5kΩ, 1MΩ 전위차계, 2N4416 JFET(또는 등가의 JFET), 직류전원, 9V건전지, 홀더


2) 실험과정


포화전류 IDSS와 핀치 오프 전압 Vp측정   


(1) 2N4416 JFET를 이용해 아래의 그림대로 회로를 구성하고, DMM으로 저항 R=Rmeas을 측정한다.

(입력회로의 10kΩ저항의 용도는 9V 건전지의 극성이 잘못 연결되고 전위차계가 최대로 설정되어 있을 때, 게이트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이다)

(2) VGS=0V가 될 때 까지 1MΩ 전위차계를 조정한다(VGS=0V일 때, ID=IDSS).

(3) VDS=8V가 될 때 까지 5kΩ 전위차계를 조정하고, 전압 VR을 측정한다.

(4) 실험 (3)에서 측정한 전압 VR과 DMM으로 측정한 저항 R의 값으로부터 다음의 식을 이용해 IDSS를 계산한다.IDSS=ID=VRR

(5) VDSS=8V로 유지하고 VR=1mV가 될 때 까지 VGS를 감소시킨다. 이때ID=VRR=1mV100Ω=10μA0mA이고, 핀치 오프 전압 VpID=0mA가 되게 하는 전압 VGS의 값이다. 핀치 오프 전압 Vp를 측정한다.

(6) 실험 (4)의 IDSS값과, 실험 (5)의 Vp값, Shockley 방정식ID=IDSS(1VGSVp)2을 이용해 JFET의 전달특성곡선을 그린다.


특성곡선


(1) 위 회로에서 VGS=0V,VDS=0V가 되게끔 두 개의 전위차계를 조절한다. 또한 DMM으로 저항 R=Rmeas을 측정하고,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ID를 계산해 아래의 표에 기록한다.ID=VRR

(2) VGS=0V로 유지하고 VDS1V 간격으로 14V까지 증가시키며 ID의 계산값을 기록한다.

(3) VGS=1V가 될 때 까지 1MΩ 전위차계를 조절하고 VGS를 이 값으로 유지한다. 이때 VDS0V부터 14V까지 1V간격으로 변화시키면서 ID를 계산해 아래의 표에 기록한다.

(4) 실험 (3)의 결과를 아래의 표에 나와있는 VGS에 대해 반복하고 Vp를 넘어서게 되면 중단한다.

VGS(V) 

-1.0 

-2.0 

-3.0 

-4.0 

-5.0 

-6.0 

VDS(V) 

ID(mA) 

ID(mA) 

ID(mA) 

ID(mA) 

ID(mA) 

ID(mA) 

ID(mA) 

0.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5) 위의 표를 이용하여 JFET의 출력특성곡선을 그린다(가로축: VDS, 세로축: ID).

(6) VGS0V부터 6V까지 1V간격으로 변화시키면서 ID의 값을 계산해 아래의 표에 기록한다.

(7) 실험 (6)을 VDS=6,9,12V인 경우에 대해 반복한다.

VDS 

3V 

6V 

9V 

12V 

VGS 

ID(mA) 

ID(mA) 

ID(mA) 

ID(mA) 

0V 

 

 

 

 

1V 

 

 

 

 

2V 

 

 

 

 

3V 

 

 

 

 

4V 

 

 

 

 

5V 

 

 

 

 

6V 

 

 

 

 

(8) 각각의 VDS값에 대하여 IDVGS그래프(가로축: VGS, 세로축: ID)를 그린다.


커브 트레이서를 이용한 JFET 특성곡선 측정


(1) 커브 트레이서를 이용하여 2N4416 JFET의 출력특성곡선(IDVDS)을 그린다.

(2) 실험 (1)의 결과를 특성곡선의 실험(5)와 비교한다.

(3) 실험 (1)의 결과를 이용하여 전달특성곡선을 그리고 특성곡선의 실험 (8)과 비교한다.


(Pspice를 이용한 특성곡선 실험)


(특성곡선 실험을 위한 회로. J2N4393 JFET를 사용하였다)

(출력특성곡선)

(전달특성곡선)


참고자료:

Laboratory Manual to accompany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ory 11th edition, Boylestad, Nashelsky, Monssen, Pearson

http://mece347.cankaya.edu.tr/uploads/files/lab%204%20-%20JFET.pdf

ftp://ftp.ni.com/pub/gdc/tut/llab5.pdf

http://web.yonsei.ac.kr/hgjung/Lectures/ENE301/5%20FET.pdf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