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전자회로실험] 1. 오실로스코프와 함수발생기 동작법
1. 실험목적
오실로스코프와 함수발생기를 사용하여 여러 전압 신호의 크기와 주기를 계산하고 측정한다.
2. 실험이론
-오실로스코프
실제로 전기를 육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텔레비전(TV)의 화면출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회로 또는 시스템의 동작 특성 정보를 전압 신호로 나타내어 화면에 출력하는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신호를 육안으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현파(사인파) 또는 비정현파의 신호의 평균값, 실효값, 주파수, 주기를 측정할 수 도 있다. 화면은 수직, 수평방향으로 센티미터(cm) 눈금으로 나누어진다(1cm/div). 수직 감도는 1V/div, 수평 눈금은 시간 t(s/div)로 되어 있다.
예를들어 어떤 신호가 5mV/div의 수직 감도에서 6div의 수직 눈금을 차지하면, 신호의 전압 크기는 전압 감도(V/div)와 수직 칸수(div)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즉Vs=(5mV/div)(6div)=30mV동일한 신호의 한 주기가 수평 감도 5μs/div에서 수평 눈금이 8div 이면, 신호의 주기는 수평 감도(s/div)와 수평 칸수(div)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고, 주파수는 주기의 역수이므로 다음과 같다.T=(5μs/div)(8div)=40μsf=1T=140μs=25kHz오실로스코프는 약간 무리한 조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하게 다이얼을 설정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은 오실로스코프의 조절 단자 또는 부분에 대한 기능과 용도이다.
화면조정과 전원부
(1) 전원 스위치
(2) 전원램프: 장비에 전원이 공급되면 점등
(3) Intensity(휘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밝기가 증가한다.
(4) Focus(초점): 화면상의 휘선이 가장 가늘고 선명하게 되도록 조정
(5) Trace rotation: CRT의 수평선과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수직증폭부
(6) 채널 1, X 입력 커넥터
(7) 채널 2, Y 입력 커넥터
(8)(9) AC-GND-DC
AC(교류): 입력 커넥터와 수직증폭기 사이의 축전기(커패시터)로 신호의 DC(직류)성분을 차단해 교류 성분만 표시한다.(직류 차단)
GND(접지): 수직증폭기 입력단을 정지시켜 GND가 기준점이 된다.(입력신호 차단)
DC(직류): 입력 커넥터와 수직증폭기를 직접 연결한다.
(10)(11) VOLT/DIV: 수직편향감도를 선택하는 단계별 감쇠기로, 입력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파형관측이 가능하게 한다. 화면 상의 세로 방향의 한 눈금이 단위를 선택한다.
(12)(13) VARIABLE: 수직편향감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때 사용하는 미세조정기로서 손잡이를 당기면 수직 축 감도는 5배가 된다.
(14)(15) POSITION: 수직 축 파형을 이동시킬 때 사용한다.
(16) V. MODE: 수직축의 표시형태를 선택한다.
CH 1: CH 1에 입력된 신호만 출력한다.
CH 2: CH 2에 입력된 신호만 출력한다.
DUAL: CH 1과 CH 2에 입력된 두 신호를 동시에 출력.
(CHOP: TIME/DIV: 0.2s∼5ms, ALT: TIME/DIV: 2ms∼0.2μs)
ADD: CH 1과 CH 2의 휘선이 대수적인 합으로 나타난다.
소인과 동기부
(17) TIME/DIV: 교정된 주시간 간격, 지연소인동작을 위한 지연시간을 선택한다.
(18) VARIABLE: 교정된 위치로부터 소인시간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때 사용한다.
PULL×10MAG: 스위치를 당기면 소인시간이 10배로 확대된다.
(19) HORI. POSITION: 수평위치의 지정에 사용되며 파형의 시간측정과는 무관하다.
(20) TRIGGER MODE
AUTO: 소인은 자동적으로 발생하며 동기신호가 있을 때 파형은 정지한다.
NORM 낮은 주파수(약 25 Hz 이하)에서 효과적인 동기를 시키고자 할 때 사용한다.
TV-V: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 합성신호 측정 시 사용한다.
TV-H: 주사선 단위의 비디오 합성신호 측정 시 사용한다.
(21) TRIGGER SOURCE
CH 1: CH 1을 트리거 소스로 할 때 사용한다.
CH 2: CH 2를 트리거 소스로 할 때 사용한다.
LINE: AC 전원의 주파수에 동기되는 신호를 관측할 때 사용되며 측정신호에 포함되는 전원에 의한 성분을 안정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EXT: 외부신호가 동기신호원이 되며 수직 축 신호에 무관하게 동기시킬 때 사용한다.
(22) TRIG LEVEL: 동기신호의 시작점을 선택한다.
(23) EXT TRIG IN: 외부동기신호를 TRIGGER회로에 연결할 때 사용한다.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
오실로스코프에서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방법으로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다.
(1) 전선 사용: 전선이 차폐되어 있지 않아 잡음이 포함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2) 동축 케이블 사용: 신호원의 임피던스와 케이블의 용량을 알아야 한다.
(3) 전용 프로스 사용: ×10 프로브가 가장 범용으로 사용된다.
×10의 위치에서는 입력 임피던스가 증가되어 입력신호가 110으로 감쇄되므로 측정단위(V/div)에 10을 곱해야 올바른 전압 크기를 구할 수 있다.
-함수발생기
(함수발생기 내부회로)
내부의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넓은 범위의 주파수와 크기를 갖는 정현파, 구형파, 삼각파를 제공하는 전압파형 공급장비이다.
적절한 다이얼의 위치조정과 연관된 배율기로 전압 파형의 주파수와 크기를 설정할 수 있고,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함수발생기의 경우처럼 무리한 조작을 해도 기기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함수발생기로 만들어지는 파형)
다음은 함수발생기의 조절 단자 또는 부분에 대한 기능과 용도이다.
(1) 전원 스위치(Power)
(2) 출력(Output): 파형 선택 단자로 선택된 파형의 출력 연결부이다.
(3) 파형선택 단자: 정현파, 삼각파, 구형파 선택 단자 중 1개를 누르면 원하는 파형을 조정할 수 있다.
(4) 주파수 범위 선택 단자: 7개의 범위 중 1개를 선택하여 원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한다.
(주파수 범위)
(5) 주파수 다이얼: 다이얼을 조정하면 주파수 범위 검파기가 정해진 범위 안에서 출력 주파수를 결정한다.
(6) 진폭/Pull -20dB 조절단자: 단자를 조정하여 출력신호의 진폭을 조절한다.
(반시계 방향의 경우 최대 20dB까지 출력신호에 감쇄가 생기면 단자를 당긴 후 반시계 방향으로 최대 40dB까지 감쇄가 가능하다)
(7) SWEEP PULL ON 조절단자: 단자를 당기면 내부 SWEEP가 선택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SWEEP 폭이 최소(1:1)가 되며,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SWEEP폭이 최대(100:1)가 된다. 최대 SWEEP 폭을 얻기 위해서는 주파수 다이얼의 눈금을 최소 눈금(0.2 눈금 이하)으로 둔다. 단자를 누르면 외부 SWEEP 전압이 VCF IN으로 인가될 때 나타나는 SWEEP이 선택된다.
(8) 대칭성 조절나사: 단자를 당긴 후 회전시키면, 원하는 출력 파형의 대칭성(또는 Duty Cycle)을 조정할 수 있다.
(9) DC OFFSET 조절 단자: 단자를 당기면 신호에 DC(직류)전압이 인가된다.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전압이 더해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전압이 더해진다.
3. 실험
1) 사용장비 및 부품
: 오실로스코프, 함수발생기, 디지털 멀티미터
2) 실험과정
(1) 오실로스코프의 전원을 입력하기 전에 GND상태로 수평, 수직방향의 VARIABLE다이얼을 CAL 위치로 끝까지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2) 오실로스코프의 전원을 켠 후 초점, 휘도 등을 조정하여 선명한 상이 되도록 한다. 프로브를 10:1로 하고 CH-1의 INPUT단자에 연결하고 프로브의 끝을 CAL 0.5Vp-p(또는 1Vp-p)출력단자에 연결한 후 AC-GND-DC스위치를 DC에 놓는다.
(3) 이때 1kHz의 0.5Vp-p(또는 1Vp-p)구형파임을 확인한 후 다음 측정실험을 한다.
정현파의 측정
(1) 함수 발생기의 출력을 오실로스코프의 입력단자와 연결하고, 신호발생기의 주파수 조절 스위치를 조정하여 1kHz의 정현파가 되도록 한다.
(2) 신호 발생기의 전압조절 다이얼을 조절하여 오실로스코프에서 정현파의 진폭이 1V가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실로스코프의 V/div가 0.5인 경우, 진폭이 화면 상의 눈금으로 2칸을 가리키도록 조정한다)
(3) 전압 진폭은 1V로 계속 고정하고 신호 발생기의 주파수를 50kHz,100kHz,500kHz,1MHz로 변화시키면서 오실로스코프의 화면(CRT) 상에 나타난 파형을 관측하고 진폭과 주기를 측정해서 주파수를 계산한다.
구형파의 측정
(1) 함수 발생기의 출력을 오실로스코프의 입력단자와 연결하고, CRT화면을 보면서 1Vp-p,1kHz인 구형파를 발생하도록 설정한다.
(2) 멀티미터를 교류전압 측정모드로 설정하고 신호 발생기에서 나오는 신호의 전압을 측정하여 표에 기록한다.
(3) 함수 발생기의 주파수를 1kHz에서 50kHz,100kHz,500kHz,1MHz로 변화시키면서 파형을 관측하고, 주기를 측정한다.
참고자료:
Laboratory Manual to accompany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ory 11th edition, Boylestad, Nashelsky, Monssen, Pearson
https://home.jbnu.ac.kr/_ezaid/board/genBoardRecord.ez?method=download&pfkHomepageNo=1434&fkBoardEntryPkNo=54&attacheFileChoice=1&pkNo=199
http://genlab.uos.ac.kr/files/attach/manual/%EC%8B%A4%ED%97%98%EB%A7%A4%EB%89%B4%EC%96%BC(%EB%AC%BC%EB%A6%AC%ED%95%99%EB%B0%8F%EC%8B%A4%ED%97%982)/1.%EB%A9%80%ED%8B%B0%EB%AF%B8%ED%84%B0%EB%B0%8F%EC%98%A4%EC%8B%A4%EB%A1%9C%EC%8A%A4%EC%BD%94%ED%94%84%EC%9E%91%EB%8F%99%EB%B2%95.pdf
http://phya.snu.ac.kr/php/subject_list/Notice/data/1411690746.pdf
https://ko.wikipedia.org/wiki/%ED%95%A8%EC%88%98_%EB%B0%9C%EC%83%9D%EA%B8%B0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C%8B%A4%EB%A1%9C%EC%8A%A4%EC%BD%94%ED%94%84
'전자공학 > 기초전자회로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전자회로실험] 6. 클리퍼 회로 (0) | 2019.01.06 |
---|---|
[기초전자회로실험] 5. 전파 정류 회로, 전파 중심-탭 변압기 회로 (0) | 2019.01.05 |
[기초전자회로실험] 4. 반파 정류 회로 (0) | 2019.01.04 |
[기초전자회로실험] 3. 직, 병렬 다이오드 회로 (0) | 2019.01.03 |
[기초전자회로실험] 2. 다이오드의 특성 (0) | 2019.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