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 FET 회로에서 내부저항과 부하저항의 영향, 직렬구조, 능동부하를 갖는 MOS증폭기



내부저항과 부하저항이 포함된 BJT의 회로해석과 같은 방법으로 해석을 하면 된다. 다만 FET의 소스(Source)와 구별하기 위해 내부저항을 \(R_{\text{sig}}\)(signal)로 나타낸다. FET 교류해석에 있어서 두가지 방법으로 해석하는데 그 중 하나는 FET 자리에 교류 등가회로를 대치하여 해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2포트 시스템 방법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BJT와 같은 결론이 나오는데 가장 큰 이득은 무부하 이득, 부하이득은 항상 무부하 이득보다 작고, 전원저항은 전체 이득을 항상 감소시킨다. 즉 \(A_{vNL}>A_{v_{L}}>A_{v_{s}}\).

BJT구조에서 출력저항(\(Z_{o}\))은 전원저항(\(R_{s}\))의 영향을 받고, 입력저항(\(Z_{i}\))은 부하저항(\(R_{L}\))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FET구조에서 게이트(Gate) 단자와 channel 사이의 높은 저항으로 인해 입력저항은 부하저항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출력저항도 전원저항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귀환(피드백) 구조의 경우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R_{L}\)과 \(R_{\text{sig}}\)를 갖는 JFET 증폭기:

FET 교류등가회로를 이용하여 회로해석을 하면 \(V_{i}=V_{gs}\), \(V_{o}=-g_{m}V_{gs}(r_{d}||R_{D}||R_{L})\)이므로 \(\displaystyle A_{v_{L}}=\frac{V_{o}}{V_{i}}=-g_{m}(r_{d}||R_{D}||R_{L})\)이고, \(Z_{i}=R_{G}\), \(Z_{o}\)를 구하기 위해 \(V_{s}=0\)이라 하면 \(\displaystyle V_{i}=\frac{R_{G}}{R_{\text{sig}}+R_{G}}V_{s}=0\)이므로 \(V_{gs}=V_{i}=0\)이고 \(g_{m}V_{gs}=0\)이 되어 \(Z_{o}=(r_{d}||R_{D})\)이다. \(\displaystyle V_{i}=\frac{R_{G}}{R_{\text{sig}}+R_{G}}V_{s}\)이므로 \(\displaystyle A_{v_{s}}=\frac{V_{o}}{V_{s}}=\frac{V_{i}}{V_{s}}\frac{V_{o}}{V_{i}}=\frac{R_{G}}{R_{\text{sig}}+R_{G}}[-g_{m}(r_{d}||R_{D}||R_{L})]\)이다.

2포트 방법을 이용하여 \(A_{v_{L}}\)을 구하면$$A_{v_{L}}=\frac{V_{o}}{V_{i}}=\frac{R_{L}}{R_{L}+Z_{o}}A_{v_{NL}}=\frac{R_{L}}{R_{L}+Z_{o}}[-g_{m}(r_{d}||R_{D})]=-g_{m}(r_{d}||R_{D}||R_{L})$$이고 여기서 \(Z_{o}=(r_{d}||R_{D})\)이다. 앞의 방법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직렬구조:

전체 이득은 위의 Stage 1과 Stage2의 각각의 이득의 곱이다. 이 위의 회로에서 \(r_{d}\)를 무시하면(\(r_{d}=\infty\)) \(\displaystyle A_{v_{1}}=\frac{V_{o_{1}}}{V_{i}}=-g_{m_{1}}(R_{D_{1}}||R_{G_{2}})\simeq-g_{m_{1}}R_{D_{1}}\), \(\displaystyle A_{v_{2}}=\frac{V_{o_{2}}}{V_{o_{1}}}=-g_{m_{2}}R_{D_{2}}\)이므로 \(\displaystyle A_{v}=\frac{V_{o_{2}}}{V_{i}}=\frac{V_{o_{1}}}{V_{i}}\frac{V_{o_{2}}}{V_{o_{1}}}=A_{v_{1}}A_{v_{2}}\)이고 \(Z_{i}=R_{G_{1}}\), \(Z_{o}=R_{D_{2}}\)이다. 


위의 회로에서 \(r_{o}\)와 \(r_{d}\)를 무시한다. \(\displaystyle g_{m}=g_{m_{0}}\left(1-\frac{V_{GS}}{V_{P}}\right)\,\left(V_{GS}=V_{G}-I_{D}R_{S},\,I_{D}=I_{DSS}\left(1-\frac{V_{GS}}{V_{P}}\right)^{2},\,g_{m_{0}}=\frac{2I_{DSS}}{|V_{P}|}\right)\)과 \(\displaystyle r_{e}=\frac{26\text{mV}}{I_{E}}\)는 직류해석으로 구한다.

교류해석을 하면 \(V_{o_{1}}=(-g_{m}V_{gs})(R_{D}||R_{1}||R_{2}||\beta r_{e})\), \(V_{i_{1}}=V_{gs}\)이므로, \(\displaystyle A_{v_{1}}=\frac{V_{o_{1}}}{V_{i_{1}}}=-g_{m}(R_{D}||R_{1}||R_{2}||\beta r_{e})\)이고, \(V_{o_{2}}=R_{C}(-\beta I_{b})\), \(V_{i_{2}}=I_{b}(\beta r_{e})\)이므로 \(\displaystyle A_{v_{2}}=\frac{V_{o_{2}}}{V_{i_{2}}}=-\frac{R_{C}}{r_{e}}\)이다. 그러면 \(\displaystyle A_{v}=A_{v_{1}}A_{v_{2}}\), \(V_{o}=A_{v}V_{i}\)이고 \(Z_{i}=R_{G}\), \(Z_{o}=R_{C}\)이다.


능동부하를 갖는 MOS증폭기:


1. 증가형 부하소자를 갖는 NMOS 증폭기

위의 회로에서 \(V_{gsD}=V_{i}\), \(V_{gsL}=-V_{o}\)이므로 \(V_{o}=(g_{mL}V_{gsL}-g_{mD}V_{gsD})(r_{oD}||r_{oL})\)이고 \(V_{o}[1+g_{mL}(r_{oD}||r_{oL})]=-g_{mD}(r_{oD}||r_{oL})V_{i}\)이므로 \(\displaystyle A_{v}=\frac{V_{o}}{V_{i}}=-\frac{g_{mD}(r_{oD}||r_{oL})}{1+g_{mL}(r_{oD}||r_{oL})}=-g_{mD}\left(\frac{1}{g_{mL}}||r_{oD}||r_{oL}\right)\)이다.


2. 공핍형 부하소자를 갖는 NMOS증폭기

위의 회로에서 \(V_{gsD}=V_{i}\), \(V_{gsL}=0\)이므로 \(V_{o}=(g_{mL}V_{gsL}-g_{mD}V_{gsD})(r_{oD}||r_{oL})=(-g_{mD}V_{i})(r_{oD}||r_{oL})\)이고 따라서 \(\displaystyle A_{v}=\frac{V_{o}}{V_{i}}=-g_{mD}(r_{oD}||r_{oL})\)이다. 


참고자료: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 Theory 11th edition, Boylestad, Nashelsky, Pearson

Microelectronics: Circuit Analysis and Design 4th edition, Neamen, McGraw-Hill  

반응형
Posted by skywalker222